1 김종훈, "해방기 시어의 일면 - 정지용과 조지훈 시의 경우" 한국시학회 (42) : 45-67, 2015
2 김경훈, "한국현대시가사" 연변대학출판사 111-112, 2006
3 김경훈, "한국현대시가사" 연변대학출판사 141-150, 2013
4 勾肃, "한국어교수와 연구" 69-76, 2019
5 지수용, "한국문학작품선독" 上海外语教育出版社 171-, 2015
6 김영금, "한국문학작품선독" 外语教育与研究出版社 11-15, 2008
7 임국웅, "한국문학약사"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6-198, 2013
8 한위성, "한국문학간사와 직품선독" 大连理工大学出版社 111-113, 2006
9 장영우, "채동선 가곡과 정지용 시의 변개" 한국문예창작학회 13 (13): 35-58, 2014
10 김병민, "조선문학사(근현대부분)" 연변대학출판사 290-292, 1994
1 김종훈, "해방기 시어의 일면 - 정지용과 조지훈 시의 경우" 한국시학회 (42) : 45-67, 2015
2 김경훈, "한국현대시가사" 연변대학출판사 111-112, 2006
3 김경훈, "한국현대시가사" 연변대학출판사 141-150, 2013
4 勾肃, "한국어교수와 연구" 69-76, 2019
5 지수용, "한국문학작품선독" 上海外语教育出版社 171-, 2015
6 김영금, "한국문학작품선독" 外语教育与研究出版社 11-15, 2008
7 임국웅, "한국문학약사"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6-198, 2013
8 한위성, "한국문학간사와 직품선독" 大连理工大学出版社 111-113, 2006
9 장영우, "채동선 가곡과 정지용 시의 변개" 한국문예창작학회 13 (13): 35-58, 2014
10 김병민, "조선문학사(근현대부분)" 연변대학출판사 290-292, 1994
11 채미화, "조선문학" 연변교육출판사 238-239, 2002
12 박은숙, "조선-한국근현대문학사" 外国语教育与研究出版社 123-146, 2016
13 리순옥, "제19회 정지용문학상 수상작품집" 연변인민출판사 109-, 2015
14 김진희, "정지용의 후기시와 『문장』: 화단((畵壇)과 문단(文壇)의 교류를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3) : 85-101, 2009
15 이송, "정지용의 시에 나타난 어휘문체론적 수법에 대한 연구" 연변대학교 2013
16 김병민, "정지용의 시가창작과 이미지즘 관련에 대하여" (1) : 197-201, 1999
17 한숙향, "정지용의 시 「유선애상」 고찰" 한국비평문학회 (40) : 349-381, 2011
18 조항범, "정지용의 시 「鄕愁」에 쓰인 몇 가지 言語의 의미에 대하여" 한국시학회 (20) : 429-459, 2007
19 홍용희, "정지용의 미의식과 윤동주의 지각 - 정지용 시의 윤동주 시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27 (27): 89-116, 2019
20 이수정, "정지용의 「바다2」, 혼돈에서 질서로" 우리어문학회 (75) : 89-118, 2023
21 김응교, "정지용의 <카페・프란스>와 타자로서의 일본" 한국언어문화학회 (68) : 55-87, 2019
22 심재휘, "정지용과 윤동주 시의 장소 비교 -일본에서의 창작시를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72) : 367-398, 2021
23 최정례, "정지용과 백석이 수용한 전통의 언어 - 시어 선택과 시적 태도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48 : 11-386, 2003
24 황사랑, "정지용 초기시의 실존 의식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6 (26): 63-86, 2022
25 노춘기, "정지용 초기시의 ‘감각’과 근대 표상 인식 - 『학조』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51 (51): 139-165, 2015
26 남기혁, "정지용 중·후기시에 나타난 풍경과 시선, 재현의 문제 - 식민지적 근대와 시선의 계보학(4)" 국어문학회 47 (47): 111-148, 2009
27 김명숙, "정지용 『백록담』에서 본 전통 이미지에 대한 차용과 개조" 한중인문학회 (47) : 23-47, 2015
28 김응교, "시혼으로 만난 윤동주와 정지용, 윤동주와 걷는 새로운 길 23호" 184-, 2014
29 尹海燕, "韩国现代名诗选读" 民族出版社 73-85, 2006
30 이시활, "韓中 현대문학에 나타난 고향의식 비교-현진건과 魯迅, 정지용과 戴望舒를 중심으로-" 영남중국어문학회 (41) : 2003
31 庄庆涛, "郑芝溶诗歌与中国古典诗歌的关联研究" 山东大学 2018
32 卢锦淑, "郑芝溶现代诗中东西方思想文化的交融" (2) : 63-70, 2017
33 刘介民, "转型期的朝鲜-韩国文学研究综述" (1) : 74-80, 2011
34 金柄珉, "试论朝鲜解放前现代派诗人郑芝溶的诗歌创作" (1) : 54-57, 2002
35 王巨川, "试论余光中与郑芝溶的现代乡愁诗之异同" (1) : 2011
36 郑圣恩, "现当代诗歌:中韩学者对话会论文集" 15-, 2007
37 王巨川, "现当代诗歌:中韩学者对话会论文集" 19-, 2007
38 林哲权, "沁透男人心灵的哀愁—以郑芝溶的《乡愁》和余光中的《乡愁》为中心" 113-117, 2018
39 金明淑, "接受与转化:论韩国诗人郑芝溶对古典意象的处理" (2) : 88-, 2021
40 蔡清辉, "建交以来中韩文学交流的回顾与展望" (3) : 84-93, 2014
41 定倩如, "卞之琳和郑芝溶诗歌意象的东方传承与西方新思" 湖南师范大学 2016
42 严红花, "中韩诗歌的手工艺术美探究—以卞之琳和郑芝溶的诗为例" (5) : 60-65, 2013
43 玄春妍, "中韩现代主义诗人卞之琳和郑芝溶诗歌之比较研究" 延边大学 2009
44 牛林杰, "中韩建交二十年来中国的韩国现代文学研究综述" 3 : 30-31, 2012
45 의무교육조선족학교교과서, "8학년 상권" 연변교육출판사 56-57, 2020
46 金豪, "1930年代朝鲜意象主义诗歌研究—以金起林、郑芝溶、金光均为中心" 延边大学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