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전칠기와 LED를 이용한 가로 디자인 펜스의 제작과정연구 = Manufacturing Design Fence - Using LED and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2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is the optimal way of manufacturing street design fence using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and LED. The design fence is not only to protect human from traffic or impending peril but to enhance the quality of urban esthetical environment. In these days, moreover, the interests in public design are of each local government's highest priorities. This study deals with, thereby, two main issues to manufacture street design fence. The first one is how to introduce the traditional materials of mother-of-pearls in outdoor design fence. Those should have durabilities from rain, moist, hot and cold weather conditions, and frequent vandalism as well. The second issue is how to match the design context with the local government's demand. For that demand, three different design fence prototypes are generated and asked in focused group interviews. The outcomes out of this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design materials, the mother-of-pearls as used in indoor spaces, are used and found the proper ways of being durable design fence in outdoor space as well. Thereby satisfied the traditional city image of local government. Second, as of technical development outcomes, this experiment found how to make the durable fixation the mother-of-pearls and LED into design fence body. This technical outcome is the most important to prevent from any complaint after the fence construction. And lastly, for the economic benefits, the design fences with traditional materials and LED are expected to occupy at large market sha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is the optimal way of manufacturing street design fence using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and LED. The design fence is not only to protect human from traffic or impending peril but to enhance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is the optimal way of manufacturing street design fence using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and LED. The design fence is not only to protect human from traffic or impending peril but to enhance the quality of urban esthetical environment. In these days, moreover, the interests in public design are of each local government's highest priorities. This study deals with, thereby, two main issues to manufacture street design fence. The first one is how to introduce the traditional materials of mother-of-pearls in outdoor design fence. Those should have durabilities from rain, moist, hot and cold weather conditions, and frequent vandalism as well. The second issue is how to match the design context with the local government's demand. For that demand, three different design fence prototypes are generated and asked in focused group interviews. The outcomes out of this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design materials, the mother-of-pearls as used in indoor spaces, are used and found the proper ways of being durable design fence in outdoor space as well. Thereby satisfied the traditional city image of local government. Second, as of technical development outcomes, this experiment found how to make the durable fixation the mother-of-pearls and LED into design fence body. This technical outcome is the most important to prevent from any complaint after the fence construction. And lastly, for the economic benefits, the design fences with traditional materials and LED are expected to occupy at large market sha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소재인 나전칠기의 원료인 진주패와 LED를 이용하여 디자인 펜스를 제작하는데 최적의 방법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디자인 펜스는 교통 및 위험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도 하지만 심미적인 가치는 도시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있다. 본 연구가 접근하고자 하는 문제는 크게 두 가지인데 하나는 나전칠기라는 내부공간에서 이용해왔던 소재를 어떻게 외부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내구성 있게 설계하느냐 하는데 있다. 다른 하나는 지자체가 요구하는 그 도시의 특성에 맞는 문화적 맥락과 설계적 특성을 어떻게 접목시키느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성과는 첫째, 전통소재인 나전칠기를 이용하여 디자인 펜스를 비와 습기, 도시의 열기 및 반달리즘에 대처할 수 있도록 외부공간에서 내구성 있는 펜스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기술적인 측면에서 나전칠기와 LED를 본체에 안정적으로 접목시키는 방법을 확보하였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전주를 비롯한 전라북도 시장의 상당한 점유율을 가질 수 있도록 선도적 기술을 확보하였다는 점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소재인 나전칠기의 원료인 진주패와 LED를 이용하여 디자인 펜스를 제작하는데 최적의 방법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디자인 펜스는 교통 및 위험으로부터 보행자를 보...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소재인 나전칠기의 원료인 진주패와 LED를 이용하여 디자인 펜스를 제작하는데 최적의 방법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디자인 펜스는 교통 및 위험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도 하지만 심미적인 가치는 도시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있다. 본 연구가 접근하고자 하는 문제는 크게 두 가지인데 하나는 나전칠기라는 내부공간에서 이용해왔던 소재를 어떻게 외부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내구성 있게 설계하느냐 하는데 있다. 다른 하나는 지자체가 요구하는 그 도시의 특성에 맞는 문화적 맥락과 설계적 특성을 어떻게 접목시키느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성과는 첫째, 전통소재인 나전칠기를 이용하여 디자인 펜스를 비와 습기, 도시의 열기 및 반달리즘에 대처할 수 있도록 외부공간에서 내구성 있는 펜스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기술적인 측면에서 나전칠기와 LED를 본체에 안정적으로 접목시키는 방법을 확보하였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전주를 비롯한 전라북도 시장의 상당한 점유율을 가질 수 있도록 선도적 기술을 확보하였다는 점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동희, "휀스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453-463, 2004

      2 이길순, "환경디자인의 중요 대상으로서 교량연구" 2 (2): 231-, 2001

      3 한국알브론(Albron), "최고급 AL-cast 휀스, 대문, 교량난간, 장식그릴 설계, 생산, 시공"

      4 박기성, "비전타워 펜스아트디자인 프로젝트: 대학교에 그림을 그리다" 플랜탑 2008

      5 이대우, "공공 지역 특성화 펜스 디자인 시뮤레이션 -서울시 문화의 거리를 중심으로-" 한국가구학회 20 (20): 307-316, 2009

      6 이홍, "건설 현장의 환경구조물에 관한 연구-공사장 가설펜스 슈퍼그래픽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2 (22): 163-174, 2009

      7 윤형상, "Solar Cell을 적용한 교통시설물용 휀스의 전원 충전용 컨트롤로에 관한 연구" 1998

      8 Shea, M. Brian, "Silt fence design considerations, Geotechnical Fabrics Report" Geotechnical Fabrics 1994

      9 Bateman, B. Mark, "Model of the Performance of a Roadway Safety Fence and Its Use for Design"

      10 Andrew G. Nancy, "An improved fence design to protect water sources for native ungulates" 25 (25): 823-825, 1997

      1 현동희, "휀스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5 (5): 453-463, 2004

      2 이길순, "환경디자인의 중요 대상으로서 교량연구" 2 (2): 231-, 2001

      3 한국알브론(Albron), "최고급 AL-cast 휀스, 대문, 교량난간, 장식그릴 설계, 생산, 시공"

      4 박기성, "비전타워 펜스아트디자인 프로젝트: 대학교에 그림을 그리다" 플랜탑 2008

      5 이대우, "공공 지역 특성화 펜스 디자인 시뮤레이션 -서울시 문화의 거리를 중심으로-" 한국가구학회 20 (20): 307-316, 2009

      6 이홍, "건설 현장의 환경구조물에 관한 연구-공사장 가설펜스 슈퍼그래픽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2 (22): 163-174, 2009

      7 윤형상, "Solar Cell을 적용한 교통시설물용 휀스의 전원 충전용 컨트롤로에 관한 연구" 1998

      8 Shea, M. Brian, "Silt fence design considerations, Geotechnical Fabrics Report" Geotechnical Fabrics 1994

      9 Bateman, B. Mark, "Model of the Performance of a Roadway Safety Fence and Its Use for Design"

      10 Andrew G. Nancy, "An improved fence design to protect water sources for native ungulates" 25 (25): 823-825,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