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부하를 갖는 ESS에서 인버터는 계통이상 시 독립운전으로 전환하여 중요부하에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여야 한다. 기존 제어 방식은 독립운전 시 전압제어를 계통연계 시 전류제어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993022
서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학위논문(석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 전기정보공학과 , 2016
2016
한국어
563.1 판사항(6)
621.312 판사항(23)
서울
iii, 34장 : 삽화, 도표 ; 30 cm
지도교수: 최세완
참고문헌: 장 32-3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요부하를 갖는 ESS에서 인버터는 계통이상 시 독립운전으로 전환하여 중요부하에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여야 한다. 기존 제어 방식은 독립운전 시 전압제어를 계통연계 시 전류제어를 ...
중요부하를 갖는 ESS에서 인버터는 계통이상 시 독립운전으로 전환하여 중요부하에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여야 한다. 기존 제어 방식은 독립운전 시 전압제어를 계통연계 시 전류제어를 하기 때문에 모드 전환 시 과도 상태가 발생하고, 단독운전 검출 전에도 부하의 전압과 주파수가 변동하여 중요부하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드 전환 시 과도상태를 최소화하면서 단독운전 검출 전에도 부하 전압의 크기와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접전류제어 기반의 인버터에서 무효전력변동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단독운전방지 기법을 제안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ergy Storage System with critical loads should be able to supply continuous and stable voltage to critical loads even during the grid fault. The conventional control method which performs current control for grid-connected mode and voltage control f...
Energy Storage System with critical loads should be able to supply continuous and stable voltage to critical loads even during the grid fault. The conventional control method which performs current control for grid-connected mode and voltage control for stand-alone mode leads into the critical load voltage variation during grid fault. Moreover, the critical load voltage may have larger transient when the inverter does not detect the islanding occurrence. This paper proposes an anti-islanding techniques using the reactive power variation based on the indirect current control to maintain constant amplitude and frequency of the load voltage during grid fault and to minimize the transient state during mode transfer.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