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행 7차 교육과정 중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있어서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교과내용을 분석하고,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및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333366
2006
-
KCI등재
학술저널
157-172(16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행 7차 교육과정 중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있어서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교과내용을 분석하고,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및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
본 연구는 현행 7차 교육과정 중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있어서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교과내용을 분석하고,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및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실천적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구성에 기여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있어서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내용은 중학교 3학년의 ‘상차림과 식사예절’, 고등학교 1학년의 ‘초대와 행사의 계획과 준비’, 고등학교 2-3학년의 ‘음식문화와 음식마련’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고등학생들은 한국 전통 음식문화에 대해 자긍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실제 가정생활에서는 적용하지 못하였고 특히 ‘명절과 세시풍속의 의미’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전통 음식문화의 교과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전통 음식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가정 내에서의 계승여부, 인식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요구도의 하위변인(필요도, 흥미도, 활용도) 간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한국 전통 음식문화의 교육은 고등학생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교육영역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내용으로는 만드는 방법이, 교육방법으로는 조리실습과 음식문화 체험활동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content related with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covered in the section of Food and Nutrition of 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the current 7th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content related with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covered in the section of Food and Nutrition of 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the current 7th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needs for education on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is, we tried to present basic data contributing to the construction of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 in relation to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in the section of Food and Nutrition covered by Home Economics textbooks consisted of ‘Setting the Table and Table Manners’ for the third graders of middle school, ‘Planning and Preparing Invitation and Events’ for the freshman of high school, and ‘Food Culture and Preparation of Food’ for the second and third graders of high school. High school students were proud of themselves on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but fail to apply their knowledge to real household life. In particular, it was proved they didn't understand ‘Korean Festival Holidays and Annual Customs.’ The need on the content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pride on traditional food culture, its succession in the families and one's recognition. And it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demands, interest, utiliza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is an area that is demanded and how to cook Korean traditional food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 for education and practice of cooking and experience of food culture should be dealt with as the educational method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행자, "女中生의 韓國 傳統 食生活에 대한 實態 調査" 10 : 155-201, 1998
2 김종덕, "현대 음식문화의 반성과 슬로푸드 운동" 30 : 48-61, 2001
3 "한국식품학입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4 "한국 전통 식생활 예절에 대한 인식 및 실천정도" 20 (20): 459-467, 2005
5 "한국 전통 식생활 분야에 대한 실과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2004
6 "한국 음식문화의 형성과 특징" 13 (13): 1-8, 1998
7 "초중고등학생의 한국 전통음식의 선호성 인식에 대한 연구" 16 (16): 3-15, 2005
8 봉공진 외 5명, "중 3 기술가정" 형설출판사 2005
9 김판욱 외 8명, "중 3 기술가정" 지학사 2006
10 "중 3 기술가정" 금성출판사 2005
1 김행자, "女中生의 韓國 傳統 食生活에 대한 實態 調査" 10 : 155-201, 1998
2 김종덕, "현대 음식문화의 반성과 슬로푸드 운동" 30 : 48-61, 2001
3 "한국식품학입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4 "한국 전통 식생활 예절에 대한 인식 및 실천정도" 20 (20): 459-467, 2005
5 "한국 전통 식생활 분야에 대한 실과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2004
6 "한국 음식문화의 형성과 특징" 13 (13): 1-8, 1998
7 "초중고등학생의 한국 전통음식의 선호성 인식에 대한 연구" 16 (16): 3-15, 2005
8 봉공진 외 5명, "중 3 기술가정" 형설출판사 2005
9 김판욱 외 8명, "중 3 기술가정" 지학사 2006
10 "중 3 기술가정" 금성출판사 2005
11 "중 3 기술가정" 교학사 2006
12 "중 3 기술가정" 천재교육 2006
13 "중 3 기술가정" 두산 2006
14 "중 3 기술가정" 교학연구사 2004
15 송해균 외 7명, "중 3 기술가정" 대한교과서 2004
16 성화경 외 9명, "중 3 기술가정" 동화사 2004
17 복혜자,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도 조사" 14 (14): 74-82, 2004
18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 분석" 50 : 323-334, 2002
19 강향숙, "전통 식생활 교육을 위한 문제 중심형 교수-학습 과정안과 웹 사이트 개발" 2003
20 "전통 식사 계승을 위한 식생활 교육 방안" 6 (6): 868-876, 2001
21 "일상식과 의례식에 담긴 식문화 교육" 25 : 385-417, 2003
22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13 (13): 243-288, 2002
23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 교육의 수업모형과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우리나라 전통 식문화 중심" 13 (13): 329-384, 2002
24 "식생활 단원 내 식문화 영역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2002
25 "서천지역 고등학생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의식 및 기호도 조사" 2000
26 "남녀 중학생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지식 의식 및 기호도 조사연구 - 서울지역 3학년을 중심으로" 2000
27 김기숙, "교양을 위한 음식과 식생활 문화" 13-15, 1997
28 김판욱 외 8명, "고등학교 기술가정" 지학사 2006
29 "고등학교 기술가정" 천재교육 2006
30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학연구사 2005
31 "고등학교 기술가정" 두산 2004
32 봉공진 외 5명, "고등학교 기술가정" 형설출판사 2005
33 송해균 외 7명, "고등학교 기술가정" 대한교과서 2004
34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학사 2005
35 "고등학교 기술가정" 금성출판사 2006
36 박병렬, "강원도 전통음식의 관광 상품화 방안" 30 : 193-213, 2000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외모에 대한 태도와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
고등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
자아존중감, 부모관계, 친구관계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9-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3 | 1.43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37 | 1.63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