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유아 수학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07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research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response to the current emphasis and promotion of research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16 research studies that have focused specifically 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ere reviewed. The general trends within this area of research, by classifying each study according to date, type, participants and result were described. As the result single subject research and group comparison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were currently mostly concerned with measuring the improvement and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education. Also these research was focused on certain subject areas in mathematics, particularly numbers and operations and number sense. Child-led activities and teacher-l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evenly applied across the different math activities that have been designed to improve mathematical abilities. Based on the result further develop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and directions of research that are appliabl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ere proposed.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research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response to the current emphasis and promotion of research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16 research studi...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research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response to the current emphasis and promotion of research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16 research studies that have focused specifically 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ere reviewed. The general trends within this area of research, by classifying each study according to date, type, participants and result were described. As the result single subject research and group comparison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were currently mostly concerned with measuring the improvement and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education. Also these research was focused on certain subject areas in mathematics, particularly numbers and operations and number sense. Child-led activities and teacher-l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evenly applied across the different math activities that have been designed to improve mathematical abilities. Based on the result further develop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and directions of research that are appliabl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ere propo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 장애유아를 위한 수학교육 연구의 활성화가 강조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장애유아 수학교육의 연구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장애유아 수학교육 분야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 실시된 총 16편의 장애유아 수학교육 연구를 살펴보았다. 분석대상 연구는 연구시기,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결과 등으로 구분하여 전체적인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교육 연구에서는 단일대상과 집단비교 연구를 통한 수학교육의 효과성 증진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고, 수학교육 영역은 수 감각을 포함한 수와 연산영역을 주로 다루고 있었다. 수학능력 향상을 위한 수학활동으로는 유아주도 활동과 교사주도 활동이 고르게 적용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 장애유아를 위한 수학교육 연구의 활성화가 강조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장애유아 수학교육의 연구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장애유아 수학교육 분야의 발전 방향을 제...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 장애유아를 위한 수학교육 연구의 활성화가 강조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장애유아 수학교육의 연구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장애유아 수학교육 분야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 실시된 총 16편의 장애유아 수학교육 연구를 살펴보았다. 분석대상 연구는 연구시기,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결과 등으로 구분하여 전체적인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교육 연구에서는 단일대상과 집단비교 연구를 통한 수학교육의 효과성 증진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고, 수학교육 영역은 수 감각을 포함한 수와 연산영역을 주로 다루고 있었다. 수학능력 향상을 위한 수학활동으로는 유아주도 활동과 교사주도 활동이 고르게 적용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옥려, "활동중심 수감각 학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0 (20): 215-232, 2010

      2 임동진, "협력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수학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6 : 35-55, 2004

      3 유영미, "학습장애 분야 국내 중재연구 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45-65, 2013

      4 정광조, "특수학급에서 적용 가능한 수학과 교수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0 (50): 199-221, 2007

      5 윤신명, "특수교사 지원으로 일반교사가 실행하는 활동 중심 삽입교수가 통합된 장애 유아의수세기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173-199, 2015

      6 김윤옥, "초등학교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사회과 성취도 향상을 위한 정보기억전략 교수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167-185, 2005

      7 방정숙, "초등학교 학생들의 계산 능력과 수감각(Number Sense)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8 (8): 423-444, 2005

      8 이병혁, "초ㆍ중등 특수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관한 지식의 차이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251-273, 2015

      9 장효민, "청각장애학교 교사의청각장애유아 수학교과 교수방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4 (4): 55-74, 2013

      10 곽은미, "지적장애영유아의 수학개념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7): 1-15, 2010

      1 강옥려, "활동중심 수감각 학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0 (20): 215-232, 2010

      2 임동진, "협력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수학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6 : 35-55, 2004

      3 유영미, "학습장애 분야 국내 중재연구 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45-65, 2013

      4 정광조, "특수학급에서 적용 가능한 수학과 교수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0 (50): 199-221, 2007

      5 윤신명, "특수교사 지원으로 일반교사가 실행하는 활동 중심 삽입교수가 통합된 장애 유아의수세기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5 (15): 173-199, 2015

      6 김윤옥, "초등학교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사회과 성취도 향상을 위한 정보기억전략 교수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167-185, 2005

      7 방정숙, "초등학교 학생들의 계산 능력과 수감각(Number Sense)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8 (8): 423-444, 2005

      8 이병혁, "초ㆍ중등 특수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관한 지식의 차이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251-273, 2015

      9 장효민, "청각장애학교 교사의청각장애유아 수학교과 교수방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4 (4): 55-74, 2013

      10 곽은미, "지적장애영유아의 수학개념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7 (7): 1-15, 2010

      11 강혜경, "중도·중복장애학생 의사소통 관련 연구 동향과 과제 : 2000년 이후의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2 (12): 269-287, 2013

      12 서효정,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IEP) 협의 과정 참여를 증진하기 위한 미국 중재연구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435-464, 2015

      13 노진아, "장애유아를 위한 삽입된 학습기회의 개념 및 수행전략 고찰" 4 (4): 5-27, 2004

      14 구효진, "일상생활 속 구체물 조작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수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115-134, 2011

      15 김현숙, "유치원 교육과정 탐구생활 영역의 ‘수학적 기초능력 기르기’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서울 및 경기지역 유아특수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 조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135-167, 2010

      16 김성애, "유아특수교육과정 내용 및 운영 방향" 22 (22): 1-19, 2006

      17 정정인, "유아수학교육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8 홍혜경, "유아기관 일과를 통한 수학교육" 한국유아교육학회 75-91, 2014

      19 박재국, "유아교사의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1 (11): 1-34, 2011

      20 홍혜경, "유아 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양서원 2010

      21 구효진, "유아 수감각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25-57, 2012

      22 구효진, "유아 수감각 검사도구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259-284, 2012

      23 최지선, "우리나라 초등학교 1-2학년 수학에서의 수 감각 지도 내용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9 (19): 513-530, 2009

      24 박나리, "순환학습모형에 따른 유치원 수학활동의 교육과정 수정이 통합된 장애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53-82, 2012

      25 김자경,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RAN과 수감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79-96, 2015

      26 김동일,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 판별을 위한 수감각 검사의 적용 가능성 고찰" 교육연구소 10 (10): 103-122, 2009

      27 김은윤, "수학동화를 활용한 수학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수학성취도,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3 (13): 133-162, 2013

      28 김정현, "수학게임 활동이 시각장애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8 (28): 229-245, 2012

      29 이윤미, "수감각 발달을 위한 조기 수학 교수가 수학 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개념과 연산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87-312, 2008

      30 하정숙, "수 감각, 핵심어, 문제 만들기를 강조한 수학 문장제 해결 전략의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51-71, 2015

      31 김희선, "수 감각 발달을 위한 학습프로그램 개발연구: 초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4) : 219-240, 2000

      32 이미영, "수 감각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수 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9 (9): 113-138, 2014

      33 구효진, "발달지체 유아의 수 개념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209-228, 2014

      34 김민경,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유아들의 학습준비도에 관한 중재연구 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281-305, 2016

      35 김소희, "발달적 산술장애(Developmental Dyscalculia)의 교육 신경과학적 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71-91, 2012

      36 윤영신, "발달상 학습장애 위험유아의 특성에 대한 일반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4 (4): 53-70, 2007

      37 김경민, "동요중심 중재를 통한 수학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수 개념 습득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49-67, 2011

      38 구효진, "기억훈련이 지적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213-229, 2009

      39 노진아, "국내 유아특수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창간호부터 2008년 6월까지 국내 유아특수교육 관련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32, 2009

      40 김영한, "구체물 활용에 의한 활동중심 학습이 뇌성마비아의 수 개념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113-133, 2005

      41 이소현, "개별화교육과정" 학지사 2011

      42 한옥정, "가베(Gabe)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공간조망능력에 미치는 영향" 2 (2): 123-143, 2010

      43 교육과학기술부,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수학’,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 ‘더불어 함께하는 수학’ 구현을 위한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발표"

      44 Case, R., "The role of central conceptual structur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though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45 Dehaene, S., "The number sense: how the mind creates mathema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6 Duncan, G. J.,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43 (43): 1428-1446, 2007

      47 NCTM,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2000

      48 Gersten, R., "Number sense : Rethinking arithmetic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mathematical disability" 33 : 18-28, 1999

      49 신현기, "Number Worlds 프로그램 교수가수학 저성취 유아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73-92, 2007

      50 National Research Council, "Mathematics learning in early childhood: Paths toward excellence and equity"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9

      51 Alarcon, M., "A twin study of mathematics disability" 30 : 617-623, 1997

      52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유치원교육과정해설Ⅲ"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