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몰비용이 높은 교통사업 특성상 교통관련 계획 및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도로수요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의 도로수요는 주로 교통량이나 통행량으로만 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408724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통공학과 , 2014. 2
2014
한국어
534.04 판사항(4)
서울
ⅳ, 55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손의영
참고문헌 : p. 50-5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매몰비용이 높은 교통사업 특성상 교통관련 계획 및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도로수요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의 도로수요는 주로 교통량이나 통행량으로만 표...
매몰비용이 높은 교통사업 특성상 교통관련 계획 및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정확한 도로수요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의 도로수요는 주로 교통량이나 통행량으로만 표현되어 왔으며, 교통량은 특정지점이나 구간의 도로수요를 파악하기에 용이하고 통행량은 개략적인 도로수요를 파악하는데 사용되었다.
하지만 계획이라 함은 몇몇 지점의 도로수요보다는 일정지역 전체의 도로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며,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지표가 차량 총 주행거리라고 생각한다. 차량 총 주행거리는 주어진 도로 위를 주행한 차량들의 이동거리 합으로 일정 지역 내 도로수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교통량이나 통행량보다는 개별차량의 이동거리를 고려한 총 주행거리가 보다 정확한 지역 내 도로수요를 표현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 주행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예측함으로서 장래 총 주행거리를 제시하여 정책 및 계획수립에서의 보다 정확한 도로수요지표로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다중공선성 문제로 다양한 사회경제지표를 모형에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러할 경우 특정 변수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올바른 장래 예측을 하기어렵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능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하였고, 다양한 사회경제지표를 고려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전국 및 5개 지역별로 사용되는 변수는 조금씩 다르지만 자동차 등록대수, 1인당 GRP, 도로용량, 유가, 20~75세인구수 순으로 총 주행거리에 영향력이 존재하였으며 이중 유가에는 음의 영향력이 존재하였다. 또한 이중로그 분석을 실시하여 총 주행거리에 대한 사회경제지표들의 탄력성을 제시하였다.
해당 모형을 가지고 장래 총 주행거리를 예측해본 결과 2012년 대비 2035년까지 지역별로 적게는 0.2%에서 많게는 16.2%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장래 도로 수요는 증가하기 보다는 유지되는 추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교통관련 계획 및 정책 수립 시 이러한 지역 내 도로수요 변화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기존 교통량과 통행량보다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