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舍利靈應記』 재검토 - 편찬자와 특징을 중심으로 - = A Reexamination on the Sariyeongeunggi(『舍利靈應記』) : Focusing on a Compiler and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91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ariyeongeunggi, the record on the Gyengchanhoe(慶讚會) which was the ceremony for the completion of Buldang next to the Moonsojeon(文昭殿) in 1448, the author is known as Kim Suon and, was Buddhist materials in the early Joseon, which was printed in metal type for the kapin font. The Sariyeongeunggi was included in the Sigu chip, Collected Works of Kim Suon in the same title, but was very different in scale and content. The Sariyeongeunggi and the Sigu chip were the same record on the establishment of Buldang and the process of the Gyengchanhoe, but the former contained the list of leading Buddhist monks, the Sambulyechammun(三佛禮懺文) writing the whole process of the ceremony, the titles and contents of the Akjang(樂章) which were composed by King Sejong, the two votive inscriptions(疏) on the ceremony, and the attendance list. but there were no such records in the latter.
      Especially, the Sambulyechammun was the record of the ritual procedure in Buddhist ceremony, and the Suryuk Uiryemun(水陸儀禮文) of Beopgye Seongbeom Suryuk Seunghwe Sujae Uigwe(『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 and the Chunji Myungyang Suryuk Saeui Chanyo(『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which was published around the same time was the different name from the former but was written the procedure of the Suryuk in regular sequence.
      Therefore, the Sariyeongeunggi is very same as the general form of Uigwe(儀軌) in regard of the processes, the persons in charge of the ceremony, and the ritual procedures.
      번역하기

      The Sariyeongeunggi, the record on the Gyengchanhoe(慶讚會) which was the ceremony for the completion of Buldang next to the Moonsojeon(文昭殿) in 1448, the author is known as Kim Suon and, was Buddhist materials in the early Joseon, which was p...

      The Sariyeongeunggi, the record on the Gyengchanhoe(慶讚會) which was the ceremony for the completion of Buldang next to the Moonsojeon(文昭殿) in 1448, the author is known as Kim Suon and, was Buddhist materials in the early Joseon, which was printed in metal type for the kapin font. The Sariyeongeunggi was included in the Sigu chip, Collected Works of Kim Suon in the same title, but was very different in scale and content. The Sariyeongeunggi and the Sigu chip were the same record on the establishment of Buldang and the process of the Gyengchanhoe, but the former contained the list of leading Buddhist monks, the Sambulyechammun(三佛禮懺文) writing the whole process of the ceremony, the titles and contents of the Akjang(樂章) which were composed by King Sejong, the two votive inscriptions(疏) on the ceremony, and the attendance list. but there were no such records in the latter.
      Especially, the Sambulyechammun was the record of the ritual procedure in Buddhist ceremony, and the Suryuk Uiryemun(水陸儀禮文) of Beopgye Seongbeom Suryuk Seunghwe Sujae Uigwe(『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 and the Chunji Myungyang Suryuk Saeui Chanyo(『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which was published around the same time was the different name from the former but was written the procedure of the Suryuk in regular sequence.
      Therefore, the Sariyeongeunggi is very same as the general form of Uigwe(儀軌) in regard of the processes, the persons in charge of the ceremony, and the ritual proced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448년(세종30) 文昭殿 옆에 건립한 佛堂의 落成을 기념하여 행한 慶讚會에 대해 기록한 『舍利靈應記』는 金守溫이 저자로 알려져 있고, 금속활자인 初鑄 甲寅字로 인쇄한 조선 초기의 불교 전적이다. 『사리영응기』는 김수온의 문집인 『拭疣集』에도 동일한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으나 규모와 내용 면에서 매우 다른 기록이다. 『사리영응기』에는 경찬회를 주도한 승려의 명단, 信眉와 김수온의 공동 저작으로경찬회의 절차를 모두 기록한 「三佛禮懺文」, 세종이 새로 작곡한 新聲 7곡의 제목과 그의 가사인 9개의 악장, 저자를 확정할 수 없는 경찬회의 발원문인 疏 2편, 법회 참석자 261명의 명단인 「精勤入場人名」이 小字雙行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식우집』에는 없는 내용이다.
      특히 「삼불예참문」은 법회의 의식 절차에 대한 일종의 의식집인데, 이는 비슷한 시기에 간행된 수륙재 의식집인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 『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등이 명칭은 다르지만 수륙재 절차를 차례대로 기록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형태이다.
      그러므로 『사리영응기』는 김수온의 저작이 아니라 문소전 불당 건설부터 경찬회까지의 일련의 과정에 관련된 기록을 모아 편찬한 전적이다. 불당은 유교적 추모 공간인 문소전에 짝하는 불교적 추모 공간이므로, 『사리영응기』는 불당에서 행하는 추모 의례의 전 과정을 기록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는 특정 의례의 진행을 위해 설치된 都監에 관련된 모든 내역을 담고 있는 조선 시대 관찬 의궤의 특징과 일치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1448년(세종30) 文昭殿 옆에 건립한 佛堂의 落成을 기념하여 행한 慶讚會에 대해 기록한 『舍利靈應記』는 金守溫이 저자로 알려져 있고, 금속활자인 初鑄 甲寅字로 인쇄한 조선 초기의 불교 ...

      1448년(세종30) 文昭殿 옆에 건립한 佛堂의 落成을 기념하여 행한 慶讚會에 대해 기록한 『舍利靈應記』는 金守溫이 저자로 알려져 있고, 금속활자인 初鑄 甲寅字로 인쇄한 조선 초기의 불교 전적이다. 『사리영응기』는 김수온의 문집인 『拭疣集』에도 동일한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으나 규모와 내용 면에서 매우 다른 기록이다. 『사리영응기』에는 경찬회를 주도한 승려의 명단, 信眉와 김수온의 공동 저작으로경찬회의 절차를 모두 기록한 「三佛禮懺文」, 세종이 새로 작곡한 新聲 7곡의 제목과 그의 가사인 9개의 악장, 저자를 확정할 수 없는 경찬회의 발원문인 疏 2편, 법회 참석자 261명의 명단인 「精勤入場人名」이 小字雙行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이들은 『식우집』에는 없는 내용이다.
      특히 「삼불예참문」은 법회의 의식 절차에 대한 일종의 의식집인데, 이는 비슷한 시기에 간행된 수륙재 의식집인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 『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등이 명칭은 다르지만 수륙재 절차를 차례대로 기록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형태이다.
      그러므로 『사리영응기』는 김수온의 저작이 아니라 문소전 불당 건설부터 경찬회까지의 일련의 과정에 관련된 기록을 모아 편찬한 전적이다. 불당은 유교적 추모 공간인 문소전에 짝하는 불교적 추모 공간이므로, 『사리영응기』는 불당에서 행하는 추모 의례의 전 과정을 기록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는 특정 의례의 진행을 위해 설치된 都監에 관련된 모든 내역을 담고 있는 조선 시대 관찬 의궤의 특징과 일치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데이테베이스"

      2 "한국문집총간해제 1" 민족문화추진회 1991

      3 "한국고전종합DB"

      4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5 조윤호, "조선전기 김수온가의 불교신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6 한영우, "조선왕조의궤" 일지사 2005

      7 "조선왕조실록"

      8 김문식, "조선시대사 연구와 의궤" 조선시대사학회 (79) : 119-152, 2016

      9 송일기, "조선시대 금속활자본 불교서적의 서지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9 (49): 223-246, 2015

      10 곽동화, "조선 전기 왕실본에 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8

      1 "한국사데이테베이스"

      2 "한국문집총간해제 1" 민족문화추진회 1991

      3 "한국고전종합DB"

      4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5 조윤호, "조선전기 김수온가의 불교신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6 한영우, "조선왕조의궤" 일지사 2005

      7 "조선왕조실록"

      8 김문식, "조선시대사 연구와 의궤" 조선시대사학회 (79) : 119-152, 2016

      9 송일기, "조선시대 금속활자본 불교서적의 서지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9 (49): 223-246, 2015

      10 곽동화, "조선 전기 왕실본에 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8

      11 곽동화, "조선 전기 왕실 발원 불교전적에 관한 연구" 한국서지학회 (74) : 207-237, 2018

      12 송혜진, "조선 전기 왕실 佛事의 전승과 음악 문화 연구" 56 : 2014

      13 심효섭, "조선 전기 수륙재의 설행과 의례" 40 : 2004

      14 이종찬, "역주 사리영응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3

      15 권오성, "세종조 불교 음악 관계 문헌의 연구" 2 : 1987

      16 박범훈, "세종대왕이 창제한 불교음악 연구-사리영응기를 중심으로-" 23 : 1999

      17 이정주, "세종 31년(1449) 刊 舍利靈應記 所載 精勤入場人 분석" 한국고문서학회 31 : 131-164, 2007

      18 송일기, "불교의례서 「中禮文」의 編纂考" 한국서지학회 (43) : 115-149, 2009

      19 박범훈, "불교음악의 전래와 한국적 전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9

      20 고상현, "고려시대 수륙재 연구"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0) : 1-49, 2011

      21 김수현, "고려시대 밀교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2

      22 정상훈, "甲寅字本 『舍利靈應記』에 대하여: 고유인명 표기를 중심으로" 7 : 1994

      23 金守溫, "拭疣集" 민족문화추진회 1988

      24 김우진, "『사리영응기』 소재 악공 연구" 한국국악학회 45 : 59-87, 2009

      25 송혜진, "『사리영응기』 소재 「삼불예참문」과 세종친제 불교음악" 한국동양예술학회 (30) : 105-128, 2016

      26 손성필, "16·17세기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동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27 金永國, "15세기 국어의 四聲體系와 傍点에 대한 연구 : 四聲體系와 傍点의 生成要因을 중심으로" 京畿大學校 大學院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국사학회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영문명 : Dongguk Historical Society -> Dongguk history & culture institut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 0.75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