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OCED 회원국에 근거한 국방비 지출 추세 연구 = A Study of the National Defense Expense trend based on 30 OECD member st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015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세계 경제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OECD 가입 30개 회원국들의 국방비 지출성향을 분석하고, 이를 한국의 국방비 지출추세와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국방비의 합리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세계 경제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OECD 가입 30개 회원국들의 국방비 지출성향을 분석하고, 이를 한국의 국방비 지출추세와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국방비의 합리적인 지출규모를 예측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국방비지출규모는 OECD회원국의 추세에 훨씬 못 미치는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집행해 왔으며, 향후 국방비의 안정적 수급을 유지하면서 예상되는 안보 불안정성에 탄력적으로 잘 대응해 나가기 위해서는, 국방비 증가율을 2009년의 3.87%, 2010년의 5.8% 보다 높은 적어도 8.8% 이상의 수준으로 조속히 증가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선적으로 '국가역량에 걸 맞는 수준'의 국방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야 하고 또한 국방비는 모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주는 필수경비인 동시에 미래 국가생존성 보장을 위한 정말 귀중한 예산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rst of all analyse the trend of international National Defense Expense of 30 OECD member states and compare it with that of Korea in order to predict an appropriate level of National Defence Expense. As a result of t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rst of all analyse the trend of international National Defense Expense of 30 OECD member states and compare it with that of Korea in order to predict an appropriate level of National Defence Expens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Korea's National Defense Expense has been exploited at 'considerably low level', hence restore its increasing expense rate from 3.87% in 2009 and 5.8% in 2010 to somewhat higher rate, so as to maintain stable supply and demand of National Defense Expense. The reason to the increase of National Defense Expense is to most importantly ensure 'appropriate amount suitable for its national status' and also that National Defense Expense takes up crucial part for protection of not only life and assets of a people but also of national vi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함성득, "한국의국방비영향요인의실증적분석" 한국행정학회 36 (36): 129-145, 2002

      2 전제국, "지식정보화 시대의 전략환경과 국방비" KIDA Press 2005

      3 강성진, "적정국방비수준 및 배분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안보문제연구소 6-16, 1991

      4 이상목, "자주국방과 적정 국방비: 쟁점과 정책 적 함의" 37 : 58-69, 2004

      5 국방부, "열정과 노력으로 만드는 국방비" 계획예산관실 2009

      6 목진휴, "안보환경의 변화와 국방비의 규모" 2001

      7 유승남, "안보환경의 변화와 국방비의 규모" 245-263, 2002

      8 민 진, "국방예산에 관한 의사결정"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1989

      9 백재옥, "국방비지출의 경제적 효과: 2000년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19 (19): 37-67, 2005

      10 구영완, "국방비 지출, 외국인 직접투자, 경제성장의 동태적 인과관계"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49 (49): 105-126, 2006

      1 함성득, "한국의국방비영향요인의실증적분석" 한국행정학회 36 (36): 129-145, 2002

      2 전제국, "지식정보화 시대의 전략환경과 국방비" KIDA Press 2005

      3 강성진, "적정국방비수준 및 배분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안보문제연구소 6-16, 1991

      4 이상목, "자주국방과 적정 국방비: 쟁점과 정책 적 함의" 37 : 58-69, 2004

      5 국방부, "열정과 노력으로 만드는 국방비" 계획예산관실 2009

      6 목진휴, "안보환경의 변화와 국방비의 규모" 2001

      7 유승남, "안보환경의 변화와 국방비의 규모" 245-263, 2002

      8 민 진, "국방예산에 관한 의사결정"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1989

      9 백재옥, "국방비지출의 경제적 효과: 2000년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한국재정학회 19 (19): 37-67, 2005

      10 구영완, "국방비 지출, 외국인 직접투자, 경제성장의 동태적 인과관계"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49 (49): 105-126, 2006

      11 백재옥, "국방부문의 경제적 역 할 분석" 57 : 65-90, 2003

      12 국방부, "국방백서" 정책기획관실 2008

      13 Benjamin E. Goldsmith, "“Bearing the Defense Burden, 1886-1989: Why spend more?”" 47 (47): 551-573, 2003

      14 ACDA, "World Military Expenditures and Arms Transfers"

      15 Landau, D, "The economic Impact of military expenditures,”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World Bank 1993

      16 Geoffrey Harris, "The Determinants of Defense Expenditure in the ASEAN Region" 23 (23): 41-49, 1986

      17 UK Heo, "Modeling the Defense-Growth relation- ship around the Globe" 42 (42): 637-657, 1998

      18 Biswas, B, "Military Expenditures and Economic Growth in Less dveloped Countries : An Augmented Model and Further Evidence" 34 : 361-372, 1986

      19 Deger, S, "Military Expenditure and developing Countries, Handbook of Defense Economics"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75-310, 1995

      20 Deger, S, "Military Expenditure and Growth in less developed countries" 27 (27): 335-353, 1993

      21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Military Expenditure Database"

      22 Christos Kollias, "Growth, Investment and Military expenditure in the European Union-15" 37 (37): 228-240, 2004

      23 Richard C. Eichenberg, "Democratic control of defense budget in the United States and Western Europe" 47 (47): 399-422, 2003

      24 Biswas, B., "Defense Spending and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Defense Spending and Economic Growth" Westview Press 223-235, 1993

      25 Alex Mintz, "Defense Expenditures, Economic Growth, and the Peace Dividend" 39 (39): 283-305, 1999

      26 Chowdhury, "Analysis of Defense Spending and Economic Growth" 35 (35): 1991

      27 Olson, M, "An Economic Theory of Allience" 48 : 266-279, 1996

      28 Altesoglu, H.S, "A Theory of Defense Spending and Economic Growth, Defense Spending and Economic Growth" Westview Press 41-53,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2-04-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