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배와 연대의 사이에서 -재조일본인 지식인 미야케 시카노스케(三宅鹿之助) = Between Subjugation and Solidarity: Miyake Shikanoske, a Japanese Intellectual in Colonial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3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적으로 강압과 수탈이라는 이미지에 의해 묘사되어 온 일제의 식민지배에 대한 인식에서 식민 지배자와 함께 들어온 민간의 일본인들은 식민 지배자와 동일한 범주로 간주되어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한국의 학계에서 이전에는 생소했던 ‘재조일본인’이라는 단어가 통용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인 1990년대 이후부터이다. 일본이나 미국 등지의 젊은 연구자들과 함께 한국의 연구자들은 일제 시기 재조 일본인 지식인들의 자기정체성과 식민지 조선의 인식에 대한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기존의 연구가 정치와 경제를 중심으로 한 체계와 구조의 거대서사를 구축해 왔다고 한다면, 이들 연구들은 역사와 사회, 문화와 문학, 여성과 이주민 등에 대한 다양하고 혼합적이며 분산적인 포스트모던의 문제의식을 어떠한 형태로든지 반영하면서 진행되고 있다. 1896년 일본에 의한 강제 개국부터 시작된 일본인의 이주는 러일전쟁 이후 3만명을 넘기 시작하여 식민지배의 초기인 1911년에 20만 명을 넘어섰으며, 1930년에는 50만 명을 넘어 1942년에는 75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직업으로보면 이들 대부분은 상업과 교통업 및 공무자유업에 종사하였다. 후자에 속하는 지식인 집단은 주로 학술 연구와 교육, 언론 등의 분야에 종사하였는데, 이중에서도 극히 소수였던 경성제대 교수는 식민지배의 이념을 정당화하고 유지하는 중심 역할을 담당하였다. 재조 일본인들 중에서 극히 소수는 식민 지배에 저항하면서 피지배민에 대한 공감과 연대를 지향하였으며, 재조 일본인 사회는 이들을 매우 비정상적이고 이단적인 인물로 간주하였다. 빈부격차와 궁핍화, 실업이 증대하는 현실을 지켜보면서 미야케는 자본가 계급의 착취를 극복하고 부르주아 계급의 도구로서 국가의 지배를 타파한다는 마르크스의 혁명 이론에 공감하였다. 식민지 조선에서 그는 조선인공산주의자들과 연대하여 이러한 혁명 이론을 실천한 대가로 대학에서 추방되어감옥에 투옥되었으며, 주류 일본인 사회로부터 냉대와 고립을 감수해야 했다.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구분이 뚜렷하게 설정되어 있었던 식민지 사회에서 미야케는 지배 영역에 속하면서도 피지배 진영에 자발적으로 가담하였다. 경성제국대학의 교수로서 미야케가 “조국을 배반하고” 조선인의 혁명운동에 참가한 사실은 매우충격적이고 센세이셔널한 사건이었다. 이로 인해 그는 이후 평생에 걸쳐 자신과 가족의 총체적인 몰락과 불행을 감수해야 했다. 식민지에서 그가 보낸 시간은 10년이 채 안된다고 하더라도 일본인임에도 불구하고 그가 치러야 했던 가혹한 대가와 지배블록의 보복은 어둡고 암울했던 식민지 시기의 실상과 아울러 나아가서는 지구적 차원에서 파시즘과 제국주의의 본질을 적나라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번역하기

      전통적으로 강압과 수탈이라는 이미지에 의해 묘사되어 온 일제의 식민지배에 대한 인식에서 식민 지배자와 함께 들어온 민간의 일본인들은 식민 지배자와 동일한 범주로 간주되어 연구자...

      전통적으로 강압과 수탈이라는 이미지에 의해 묘사되어 온 일제의 식민지배에 대한 인식에서 식민 지배자와 함께 들어온 민간의 일본인들은 식민 지배자와 동일한 범주로 간주되어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한국의 학계에서 이전에는 생소했던 ‘재조일본인’이라는 단어가 통용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인 1990년대 이후부터이다. 일본이나 미국 등지의 젊은 연구자들과 함께 한국의 연구자들은 일제 시기 재조 일본인 지식인들의 자기정체성과 식민지 조선의 인식에 대한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기존의 연구가 정치와 경제를 중심으로 한 체계와 구조의 거대서사를 구축해 왔다고 한다면, 이들 연구들은 역사와 사회, 문화와 문학, 여성과 이주민 등에 대한 다양하고 혼합적이며 분산적인 포스트모던의 문제의식을 어떠한 형태로든지 반영하면서 진행되고 있다. 1896년 일본에 의한 강제 개국부터 시작된 일본인의 이주는 러일전쟁 이후 3만명을 넘기 시작하여 식민지배의 초기인 1911년에 20만 명을 넘어섰으며, 1930년에는 50만 명을 넘어 1942년에는 75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직업으로보면 이들 대부분은 상업과 교통업 및 공무자유업에 종사하였다. 후자에 속하는 지식인 집단은 주로 학술 연구와 교육, 언론 등의 분야에 종사하였는데, 이중에서도 극히 소수였던 경성제대 교수는 식민지배의 이념을 정당화하고 유지하는 중심 역할을 담당하였다. 재조 일본인들 중에서 극히 소수는 식민 지배에 저항하면서 피지배민에 대한 공감과 연대를 지향하였으며, 재조 일본인 사회는 이들을 매우 비정상적이고 이단적인 인물로 간주하였다. 빈부격차와 궁핍화, 실업이 증대하는 현실을 지켜보면서 미야케는 자본가 계급의 착취를 극복하고 부르주아 계급의 도구로서 국가의 지배를 타파한다는 마르크스의 혁명 이론에 공감하였다. 식민지 조선에서 그는 조선인공산주의자들과 연대하여 이러한 혁명 이론을 실천한 대가로 대학에서 추방되어감옥에 투옥되었으며, 주류 일본인 사회로부터 냉대와 고립을 감수해야 했다.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구분이 뚜렷하게 설정되어 있었던 식민지 사회에서 미야케는 지배 영역에 속하면서도 피지배 진영에 자발적으로 가담하였다. 경성제국대학의 교수로서 미야케가 “조국을 배반하고” 조선인의 혁명운동에 참가한 사실은 매우충격적이고 센세이셔널한 사건이었다. 이로 인해 그는 이후 평생에 걸쳐 자신과 가족의 총체적인 몰락과 불행을 감수해야 했다. 식민지에서 그가 보낸 시간은 10년이 채 안된다고 하더라도 일본인임에도 불구하고 그가 치러야 했던 가혹한 대가와 지배블록의 보복은 어둡고 암울했던 식민지 시기의 실상과 아울러 나아가서는 지구적 차원에서 파시즘과 제국주의의 본질을 적나라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panese civilian immigrants in Korea remained to many scholars a subject long undistinguished from the subjugators who simultaneously entered Korea, reflecting conventional imag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established by prevalent descriptions through coercion and exploitation. It is relatively recent, the 1990s, that “jae-jo ilbonin” (Japanese residents/immigrants in colonial Korea) became a commonly used term in Korean academia. Young scholars in Korea, together with those in the US and Japan, started to focus on the self-identity of Japanese immigrant intellectuals in colonial Korea as well as their representation of the region. While studies have developed a grand narrative of politics and economics based on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approaches, the new studies are showing progresses embracing diverse, hybrid, and dispersive post-modern awareness on history and society, culture and literature, women and immigrants. Japanese immigration to Korea was triggered in 1896 by forced opening of the country by the Japanese. Their numbers reached over 30,000 after the Russo-Japanese War, over 200,000 by 1911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and over 500,000 by 1930. In 1942, the Japanese immigrants numbered up to 750,000. Categorized by occupation, the majority was devoted to commerce, transportation, and officials and professionals Intellectuals as a part of the last category were usually devoted to academic research, education, and journalism. Within that group of intellectuals, professors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were an extreme minority of the subcategory but played a central role to legitimatize and maintain the colonial regime. However, there has been another meager amount of the Japanese immigrants in Korea, taking a stance against the colonial regime and showing sympathy and solidarity with the subjugated. To the Japanese immigrant society in general, they were regarded abnormal, even heretic. At the sight of increasing economic inequalities, pauperization, and unemployment, Miyake concurred with the Marxist revolution theory against the capitalist domination and exploitation by the state as a tool for the bourgeois class. He engaged himself with Korean communists in colonial Korea and practiced the revolution theory, which eventually led to his expel from the university, his imprisonment, as well as cold isolation from the mainstream Japanese society. In a colonial society with clear distinction of the subjugator and the subjugated, Miyake was a former who voluntarily engaged himself to the latter. A professor of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betraying his home country” to join the Korean revolutionary movements was a tremendously shocking, sensational event. For the rest of his life, Miyake himself and his family saw their household crumble into nothing. Though he spent less than a decade of his life and activity in the colony, retaliation of the imperial state and severe consequences he had to suffer, despite his status as a Japanese, succinctly shows the true face of fascism and imperialism in a global level.
      번역하기

      Japanese civilian immigrants in Korea remained to many scholars a subject long undistinguished from the subjugators who simultaneously entered Korea, reflecting conventional imag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established by prevalent descriptions thr...

      Japanese civilian immigrants in Korea remained to many scholars a subject long undistinguished from the subjugators who simultaneously entered Korea, reflecting conventional imag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established by prevalent descriptions through coercion and exploitation. It is relatively recent, the 1990s, that “jae-jo ilbonin” (Japanese residents/immigrants in colonial Korea) became a commonly used term in Korean academia. Young scholars in Korea, together with those in the US and Japan, started to focus on the self-identity of Japanese immigrant intellectuals in colonial Korea as well as their representation of the region. While studies have developed a grand narrative of politics and economics based on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approaches, the new studies are showing progresses embracing diverse, hybrid, and dispersive post-modern awareness on history and society, culture and literature, women and immigrants. Japanese immigration to Korea was triggered in 1896 by forced opening of the country by the Japanese. Their numbers reached over 30,000 after the Russo-Japanese War, over 200,000 by 1911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and over 500,000 by 1930. In 1942, the Japanese immigrants numbered up to 750,000. Categorized by occupation, the majority was devoted to commerce, transportation, and officials and professionals Intellectuals as a part of the last category were usually devoted to academic research, education, and journalism. Within that group of intellectuals, professors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were an extreme minority of the subcategory but played a central role to legitimatize and maintain the colonial regime. However, there has been another meager amount of the Japanese immigrants in Korea, taking a stance against the colonial regime and showing sympathy and solidarity with the subjugated. To the Japanese immigrant society in general, they were regarded abnormal, even heretic. At the sight of increasing economic inequalities, pauperization, and unemployment, Miyake concurred with the Marxist revolution theory against the capitalist domination and exploitation by the state as a tool for the bourgeois class. He engaged himself with Korean communists in colonial Korea and practiced the revolution theory, which eventually led to his expel from the university, his imprisonment, as well as cold isolation from the mainstream Japanese society. In a colonial society with clear distinction of the subjugator and the subjugated, Miyake was a former who voluntarily engaged himself to the latter. A professor of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betraying his home country” to join the Korean revolutionary movements was a tremendously shocking, sensational event. For the rest of his life, Miyake himself and his family saw their household crumble into nothing. Though he spent less than a decade of his life and activity in the colony, retaliation of the imperial state and severe consequences he had to suffer, despite his status as a Japanese, succinctly shows the true face of fascism and imperialism in a global lev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소영, "호소이 하지메(細井肇)의 조선 인식과 ‘제국의 꿈’" 한국근현대사학회 (45) : 7-46, 2008

      2 한홍구, "한국민족해방운동사자료총서" 경원문화사 1988

      3 김경일,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운동" 문학과지성사 2004

      4 "중앙일보 1932년 11월 11일자"

      5 안용식, "조선총독부하 일본인관료 연구" 2003

      6 김경일, "제국의 시대와 동아시아 연대" 창비 2011

      7 헬렌 리, "제국의 딸로서 죽는다는 것" 아세아문제연구소 51 (51): 80-105, 2008

      8 이규수, "재조일본인의 추이와 존재형태 - 수량적 검토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25) : 37-64, 2013

      9 이형식, "재조일본인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일본학연구소 37 : 245-283, 2013

      10 하라 토모히로, "재조일본인 교원의 조선체험 -어느 사범학교교원의 사례-" 한국사연구회 (153) : 311-341, 2011

      1 윤소영, "호소이 하지메(細井肇)의 조선 인식과 ‘제국의 꿈’" 한국근현대사학회 (45) : 7-46, 2008

      2 한홍구, "한국민족해방운동사자료총서" 경원문화사 1988

      3 김경일,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운동" 문학과지성사 2004

      4 "중앙일보 1932년 11월 11일자"

      5 안용식, "조선총독부하 일본인관료 연구" 2003

      6 김경일, "제국의 시대와 동아시아 연대" 창비 2011

      7 헬렌 리, "제국의 딸로서 죽는다는 것" 아세아문제연구소 51 (51): 80-105, 2008

      8 이규수, "재조일본인의 추이와 존재형태 - 수량적 검토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25) : 37-64, 2013

      9 이형식, "재조일본인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일본학연구소 37 : 245-283, 2013

      10 하라 토모히로, "재조일본인 교원의 조선체험 -어느 사범학교교원의 사례-" 한국사연구회 (153) : 311-341, 2011

      11 김종식, "재조선 일본인의 일본인식: 재조일본인 정치가 마키야마 고죠를 중심으로" 2013

      12 김경남, "재조선 일본인들의 귀환과 전후의 한국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1) : 305-359, 2008

      13 변은진, "일제말 조선사회와 민족해방운동" 일송정 1991

      14 김승, "일제강점기 이종률의 민족혁명운동" 부경역사연구소 (18) : 5-54, 2006

      15 스가와라 유리, "일제 강점기 후치자와 노에(淵澤能惠: 1850~1936)의 조선에서의 활동" 일본학연구소 35 : 53-89, 2012

      16 기유정, "일본제국과 제국적 주체의 정체성 -『綠旗』(『錄人』) 속 모리타 요시오(森田芳夫)의 국체론과 정체성 분석을 중심으로-" 일본학연구소 35 : 119-154, 2012

      17 김경일, "이재유, 나의 시대 나의 혁명" 푸른역사 2007

      18 김혜숙, "이마무라 도모[今村]의 朝鮮風俗 연구와 在朝日本人"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8) : 75-122, 2006

      19 이소가와 스에지(磯谷季次), "우리 청춘의 조선: 일제하 노동운동의 기록(わが靑春の朝鮮)" 사계절 1988

      20 안태윤, "식민지에 온 제국의 여성: 재조선 일본여성 쯔다 세츠코를 통해서 본 식민주의와 젠더" 한국여성학회 24 (24): 5-33, 2008

      21 권숙인,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화류계 여성― 한 게이샤 여성의 생애사를 통해 본 주변부 여성 식민자" 한국사회사학회 (103) : 153-192, 2014

      22 다바타 가야, "식민지 조선에서 살았던 일본 여성들의 삶과 식민주의 경험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23 전명혁, "산수 이종률의 민족해방운동과 민족통일전선론" 수선사학회 (24) : 305-335, 2005

      24 장동표, "산수 이종률의 민족운동과 민족혁명론" 부경역사연구소 (10) : 87-134, 2002

      25 정준영, "경성제국대학 교수들의 귀환과 전후 일본사회" 한국사회사학회 (99) : 75-119, 2013

      26 井上學, "社會運動の昭和史: 語られざる深層" 白順社 2006

      27 咲本和子, "皇民化’政策期の在朝日本人: 京城女子師範學校を中心に" 25 : 1988

      28 高崎宗司, "植民地朝鮮の日本人" 岩波書店 2004

      29 키무라겐지, "植民地下 朝鮮 在留 日本人의 特徵-比較史的 視点에서" 부경역사연구소 0 (0): 251-276, 2004

      30 桶口雄一, "植民地·朝鮮の子どもたちと生きた敎師上甲米太郞" 大槻書店 2010

      31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統計年報, 1914(第1號)"

      32 梶村秀樹, "朝鮮史と日本人" 明石書店 1992

      33 古屋貞雄, "暗黑下日朝人民連帶昭和初期日本人先覺者體驗聞(座談)" 朝鮮硏究所 (8月) : 1966

      34 이연식, "敗戰 後 韓半島에서 돌아간 日本人 女性의 歸還體驗 - 南北間의 地域差를 中心으로 -" 한일민족문제학회 (17) : 139-189, 2009

      35 三宅鹿之助, "感想錄" (4) : 1935

      36 三宅鹿之助, "感想錄" (1) : 1934

      37 三宅鹿之助, "座談: 暗黑下の日朝人民の連帶-昭和初期日本人先覺者の體驗を聞く" (53) : 1966

      38 加納実紀代, "奧村五百子: ‘軍國昭和’に生きた明治一代女" (9月) : 1975

      39 園部裕之, "在朝日本人の參加した共産主義運動: 1930年代における" 26 : 1989

      40 이준식, "在朝 일본인교사 上甲米太郞의 반제국주의 교육노동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49) : 5-40, 2006

      41 三宅鹿之助, "京城帝國大學學友會會報" 1932

      42 三宅鹿之助, "上申書(其一)" (1) : 1934

      43 任展慧, "ドキュメント女の百年5: 女と權力" 平凡社 1978

      44 村田陽一, "コミンテルン資料集 第5卷" 大月書店 1982

      45 이규수, "‘재조일본인’ 연구와 ‘식민지수탈론’" 일본사학회 (33) : 143-171, 2011

      46 박광현, "‘재조선(在朝鮮)’ 일본인 지식 사회 연구" 일본연구소 19 : 119-144, 2006

      47 양지혜, "‘식민자 사상범’과 조선 ―이소가야 스에지 다시 읽기" 역사문제연구소 (110) : 344-377, 2015

      48 Kweon, Sug-In, "Japanese Female Settlers in Colonial Korea:Between the ‘Benefits’ and ‘Constraints’ of the Colonial Society" 17 (17): 2014

      49 Kim, Keongil, "Colonial Rule and Social Change in Korea 1910-1945"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3

      50 Cohen, Nicole, "Children of Empire: Growing up Japanese in Colonial Korea, 1876-1946" Columbia University 2006

      51 Uchida, Jun, "Brokers of Empire: Japanese Settler Colonialism in Korea, 1876-1945"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11

      52 小雄英二, "<日本人>の境界: 沖縄·アイヌ·台湾·朝鮮 植民地支配から復歸運動まで" 新曜社 1998

      53 윤정란, "19세기말 20세기 초 재조선 일본여성의 정체성과 조선여성교육사업: 기독교 여성 후치자와 노에(淵澤能惠, 1850-1936)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73) : 137-172, 2009

      54 전명혁, "1930년대초 코민테른과 미야케(三宅鹿之助)의 정세인식" 역사학연구소 (16) : 57-86, 2006

      55 안홍선, "12살 소녀들을 정신대로 보낸 어느 일본인 교사의 ‘참회의 여정’" 21 : 2006

      56 統監府, "(第2次)統監府統計年報"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1-50)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1 1.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