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송상 화해의 한일비교 –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300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recognizing it generally concerning the legal consciousness, it is said that Korean will not resolve a dispute by settlement compared with Japanese. In the reason why such a difference is caused, what are something and the method of losing it? It is a purpose of this study to consider this problem.
      Korea with a similar civil justice system to Japan shows the great disparity at the use level of settlement. Legal consciousness that doesn't try to compromise is thought as the cause because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system. However, the cause cannot explain the use level of settlement is low enough. Even if such legal consciousness becomes an answer, it is necessary to devise the method of mending it.
      Increasing the chance of the negotiation of the party becomes a promotion of settlement. The use level will rise if justice and attorney positively solicits settlement at the chance of such a negotiation. However, such a chance has not been installed enough in civil procedure. Therefore a necessary thing is that justice and attorney positively solicits settlement making the place of the negotiation.
      번역하기

      According to recognizing it generally concerning the legal consciousness, it is said that Korean will not resolve a dispute by settlement compared with Japanese. In the reason why such a difference is caused, what are something and the method of losin...

      According to recognizing it generally concerning the legal consciousness, it is said that Korean will not resolve a dispute by settlement compared with Japanese. In the reason why such a difference is caused, what are something and the method of losing it? It is a purpose of this study to consider this problem.
      Korea with a similar civil justice system to Japan shows the great disparity at the use level of settlement. Legal consciousness that doesn't try to compromise is thought as the cause because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system. However, the cause cannot explain the use level of settlement is low enough. Even if such legal consciousness becomes an answer, it is necessary to devise the method of mending it.
      Increasing the chance of the negotiation of the party becomes a promotion of settlement. The use level will rise if justice and attorney positively solicits settlement at the chance of such a negotiation. However, such a chance has not been installed enough in civil procedure. Therefore a necessary thing is that justice and attorney positively solicits settlement making the place of the negoti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중선, "화해권고에 관한 일고찰" 5 (5): 1998

      2 김명재, "화해권고결정제도를 중심으로 본 신모델 하에서의 화해ㆍ조정 활용방안, In 실무연구자료 5권" 2003

      3 강석원, "화해ㆍ조정 권하는 재판정"

      4 강민구, "손해배상사건과 조정(화해권고)에 관한 소고 : 자동차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의 조정ㆍ화해 등 ADR의 적극적 활용방안" 전문분야 법관연수 자료집

      5 김두얼, "소액사건심판제도의 개선방안: 재판외 분쟁해결제도 활성화안와 법무사 소송대리권 부여안의 비판적 검토" 한국법경제학회 4 (4): 197-213, 2007

      6 박세일, "법경제학[개정판]" 박영사 2000

      7 문흥수, "민사조정ㆍ화해제도의 이념과 그 활성화방안, 21세기 한국민사법학의 과제와 전망: 심당 송상현교수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2002

      8 강 민 구, "민사조정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실무노트" 법조협회 54 (54): 213-259, 2005

      9 김도현, "민사소송의 변호사 대리율 현황과 그 추이" 법과사회이론학회 (37) : 159-185, 2009

      10 이규홍, "단독재판부 재판장의 효율적인 신모델 운영방안" 106 : 2005

      1 심중선, "화해권고에 관한 일고찰" 5 (5): 1998

      2 김명재, "화해권고결정제도를 중심으로 본 신모델 하에서의 화해ㆍ조정 활용방안, In 실무연구자료 5권" 2003

      3 강석원, "화해ㆍ조정 권하는 재판정"

      4 강민구, "손해배상사건과 조정(화해권고)에 관한 소고 : 자동차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의 조정ㆍ화해 등 ADR의 적극적 활용방안" 전문분야 법관연수 자료집

      5 김두얼, "소액사건심판제도의 개선방안: 재판외 분쟁해결제도 활성화안와 법무사 소송대리권 부여안의 비판적 검토" 한국법경제학회 4 (4): 197-213, 2007

      6 박세일, "법경제학[개정판]" 박영사 2000

      7 문흥수, "민사조정ㆍ화해제도의 이념과 그 활성화방안, 21세기 한국민사법학의 과제와 전망: 심당 송상현교수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2002

      8 강 민 구, "민사조정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실무노트" 법조협회 54 (54): 213-259, 2005

      9 김도현, "민사소송의 변호사 대리율 현황과 그 추이" 법과사회이론학회 (37) : 159-185, 2009

      10 이규홍, "단독재판부 재판장의 효율적인 신모델 운영방안" 106 : 2005

      11 김두얼, "경제성장을 위한 사법적 기반의 모색(Ⅰ): 민사소송의 현황과 정책과제" 2007

      12 加藤新太郞, "当事者は民事裁判に何を求めるか?(上)" (1290) : 2009

      13 草野芳郞, "和解技術論[第2版]" 信山社 2005

      14 Robert Cooter, "Law and Economics(3th ed)" 2000

      15 Richard A. Posner, "Economic Analysis of Law(5th ed)" 1998

      16 加藤新太郞, "ADRとその普及の條件 - 訴訟上の和解との比較において -, In ADRの實際と理論Ⅱ" 中央大學出版部 2005

      17 이준상, "ADR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한국민사소송법학회 10 (10): 240-287,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0.60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