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세기 초 전통 가곡의 근대적 변모와 실현 : 라디오방송을 통해 향유된 가곡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 MODERN TRANSFORMATIONS AND ACTUAL PERFORMANCES OF TRADITIONAL GAGOK IN THE EARLY 20TH CENTURY : FOCUSING ON THE GAGOK REPERTOIRE ENJOYED THROUGH A RADIO BROADCAS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세기 초 라디오에서 방송되었던 전통 가곡의 연행 및 향유 양상을 살펴보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2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라디오방송은 다양한 전통 예...

      이 글은 20세기 초 라디오에서 방송되었던 전통 가곡의 연행 및 향유 양상을 살펴보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2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라디오방송은 다양한 전통 예술들의 대중적 지평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가곡은 본래 소수 애호가들에 의해 향유되던 상층의 풍류 음악으로 대중적 차원에서는 활발히 전승되지 못했다. 하지만 라디오방송으로 인해 단절되어 가던 전통 가곡 문화를 새롭게 계승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라디오방송 초창기에는 한두 악곡의 작품들이 전파를 탔고 그 방송 횟수도 적었지만, 1930년대로 넘어가면서부터는 대여섯 악곡 작품들이 레퍼토리를 이루어 가곡 편가(한바탕)의 방식으로 방송되었다. 이후 방송 횟수도 점차 늘어나며 1936년에는 한 해 동안 50회에 걸쳐 방송되기도 하였다. 가곡창 라디오방송은 여창 가곡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었고 남녀 교환창은 이벤트성이 강한 성격을 띠며 방송되었다. 조선 후기 주도적이었던 남창 가곡은 이 시기 들어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를 통해 볼 때, 20세기 초 라디오방송의 가곡 레퍼토리들은 조선 후기 전통 가곡 문화의 연장선상에서 그 편가 구성 방식들을 계승하였고, 근대 매체로 수용되어 전달되는 특징으로 인해 20세기적 변모 양상 또한 반영되어 연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erformance and enjoyment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song[Gagok] broadcast on radio in the 20th century and to identify the meaning of cultural history for them. Various traditional cultures had been wid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erformance and enjoyment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song[Gagok] broadcast on radio in the 20th century and to identify the meaning of cultural history for them. Various traditional cultures had been widely popularized thanks to a radio broadcast started from the middle of 1920s. Gagok was not popularly passed down to the public because the only minor enthusiasts of the high class enjoyed the Gagok. However, the radio broadcast was a starting point for inheriting the traditional Gagok culture.
      One or two music played on the radio and the number of radio broadcast was rare in the early of the broadcast. However, a repertoire of several music as a set of Gagok was broadcast on the radio in the 1930s. After that, the number of radio broadcast was increased and then the broadcast was 50 times in 1936. The radio broadcast of Gagok-Chang included mostly female song programs and Male-female antiphonal song consisted of pop-up programs. Male songs which were the main song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declined.
      Taken together, a Gagok repertoire broadcast on radio in the 20th century succeed the formats of a set of Gagok with an extension of traditional Gagok culture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Moreover, the Gagok repertoire reflects the aspects of 20th century’s transformation because of the transfer method through a modern broadcasting media along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학성, "한국 시가의 담론과 미학" 보고사 2004

      2 "조선일보"

      3 박용규, "일제하 라디오 방송의 음악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1930년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7 (47): 134-172, 2010

      4 김영희, "일제시기 라디오의 출현과 청취자" 한국언론학회 46 (46): 6-183, 2002

      5 정영진, "일제강점기 전통음악의 전개양상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2

      6 박지애, "유성기음반과 라디오방송을 통해 향유된 시조의 양상과 특징" 한국시조학회 (44) : 7-28, 2016

      7 "여성(女性)"

      8 존 스토리,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1994

      9 "매일신보"

      10 유은선, "라듸오 국악방송사-국악방송황금기와 미군정기" 민속원 2017

      1 김학성, "한국 시가의 담론과 미학" 보고사 2004

      2 "조선일보"

      3 박용규, "일제하 라디오 방송의 음악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1930년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7 (47): 134-172, 2010

      4 김영희, "일제시기 라디오의 출현과 청취자" 한국언론학회 46 (46): 6-183, 2002

      5 정영진, "일제강점기 전통음악의 전개양상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2

      6 박지애, "유성기음반과 라디오방송을 통해 향유된 시조의 양상과 특징" 한국시조학회 (44) : 7-28, 2016

      7 "여성(女性)"

      8 존 스토리,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1994

      9 "매일신보"

      10 유은선, "라듸오 국악방송사-국악방송황금기와 미군정기" 민속원 2017

      11 "동아일보"

      12 신경숙, "근대 초기 가곡 교습 - 초기 조선정악전습소를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47) : 213-244, 2007

      13 김은규, "근대 잡지를 통해 본 1920/30년대 ‘라디오 방송’의 수용에 관한 연구 :《별건곤》과 《삼천리》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41 (41): 5-34, 2015

      1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경성방송국국악방송곡목록" 민속원 2000

      15 고은지, "경성방송국 프로그램에 기록된 20세기 ‘시조예술’의 연행 양상과 특징" 한국시가학회 26 : 157-186, 2009

      16 강경호, "가집 <협률대성>의 편찬 특성과 전승·향유의 문화적 의미" 한국시조학회 (40) : 31-57, 2014

      17 이병기, "가람일기 II" 신구문화사 1976

      18 이고은, "가곡보감 연구" 연세대 2015

      19 서재길, "JODK 경성방송국의 설립과 초기의 연예방송" 서울학연구소 (27) : 147-173, 2006

      20 강경호, "20세기 초 전통 가곡 문화의 변화상과 공연의 실제(2) - 1920년대 전후 연행된 가곡창 자료들을 중심으로 -" 반교어문학회 (44) : 181-222, 2016

      21 박지애, "20세기 전반기 잡가의 향유 방식과 변모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22 이혜구, "1930년대의 국악 방송" 국립국악원 9 :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7 1.721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