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조선시대 석비를 대표하는 선사비(禪師碑)․신도비(神道碑)․유허비(遺墟碑)․사적비(事蹟碑)를 대상으로, 석비의 표제에 해당하는 비액의 서예미를 조명하는 데 목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시대 석비를 대표하는 선사비(禪師碑)․신도비(神道碑)․유허비(遺墟碑)․사적비(事蹟碑)를 대상으로, 석비의 표제에 해당하는 비액의 서예미를 조명하는 데 목적...
본 논문은 조선시대 석비를 대표하는 선사비(禪師碑)․신도비(神道碑)․유허비(遺墟碑)․사적비(事蹟碑)를 대상으로, 석비의 표제에 해당하는 비액의 서예미를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각 비액에 나타난 서체의 용필법(用筆法)․결구법(結構法)․장법(章法) 등을 서예학적으로 분석하고, 비액의 서체에 내재된 필력(筆力)․필세(筆勢)․필의(筆意) 등을 탐구하여 조선시대 비액의 서체적 특징과 예술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규명하였다.
비액은 제목이며, 비주의 얼굴이므로 글씨에 많은 정성을 기울였다. 때문에 비액은 당시의 사상체계와 정신미․서예미가 응축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형식과 내용면에서도 품위에 조응하고 있다. 그러므로 비액의 서체와 서사자를 통하여 많은 서사정보와 함께 서예의 역사적 사실과 미적 특징을 이해하고 밝힐 수 있다. 특히 서체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서예사적 의의와 그 시대를 대표하는 서가들의 서풍 및 한국서예의 미학적 가치를 인식하고, 한국서예의 연원과 정체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그 결과 조선시대 비액의 서예미 연구에서 선사비는 ‘초예미’, 신도비는 ‘개성미’, 유허비는 ‘충담미’, 사적비는 ‘유동미’로 요약된다.
아울러 조선시대 비액의 서체는 그 종류를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용필과 결구가 초솔하고, 장법상 비균제와 무의도적 변화가 많으며, 필세가 유동적이고 필의의 즉흥성이 강하다. 즉, 대자연에 순응하면서 역동과 풍류를 지향하는 민족적 미감이 조선시대 비액의 서체로 응축되어 ‘천취자연(天趣自然)의 서예미’가 발현되었다고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calligraphic beauty of epigraph, a title of a stela, on representative steli of Joseon including stupa (禪師碑), memorial stone (神道碑), memorial stone at a historic site (遺墟碑) and memorial stone on a histo...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calligraphic beauty of epigraph, a title of a stela, on representative steli of Joseon including stupa (禪師碑), memorial stone (神道碑), memorial stone at a historic site (遺墟碑) and memorial stone on a historical landmark (事蹟碑). It attempts to analyze ways of using a brush (用筆法), letter construction (結構法) and sentence standards (章法) of chirography on each epigraph in a calligraphic manner; explore power of brush stroke (筆力), stroke of a brush (筆勢) and significance of brush stroke (筆意) inherent in epigraph’s chirography and; comprehensively clarify calligraphic features and To sum up, epigraph is a title and serves as a visage of memorial stone’s protagonist and consequently, much devotion was put into its lette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epigraph is the essence of the then system of thought and calligraphic beauty and its form and contents accord to the dignity as well. Thus, plenty of narrative information, historical facts and aesthetic features of calligraphy can be understood and clarified through chirography and narrators of epigraph. Analyzing chirography one by one particularly provides important keys to perceive significance of calligraphic history, calligraphic trends of representative calligraphers and aesthetic values of Korean calligraphy and to clarify the origin and identity of Korean calligraphy. As a result, this study on calligraphic beauty on Joseon epigraph can be summarized as ‘transcendental beauty’ for stupa; ‘individual beauty’ for memorial stone; ‘loyal and plain beauty' for memorial stone at a historic site and; ’flowing beauty’ for memorial stone on a historical landmark.
In addition, chirography of Joseon epigraph is, regardless of types, generally featured with shabby use of a brush and letter construction and; no symmetry and unintended changes upon sentence standards while stroke of a brush is flowing and significance of brush stroke has strong improvisation. In other words, people’s sense of beauty to obey Mother Nature and seek dynamics and appreciation for arts is condensed as chirography of Joseon epigraph and ‘calligraphic beauty with heaven embracing the nature (天趣自然)’ is manifested. artistic values of Joseon epigraph.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영구, 창암필원, "null", 익산: 신아출판사, 2002
2 고유섭, 진홍섭, 구수한, "역", 서울: 다할미디어, 2005
3 조민환, "筆訣", 서울: 미술문화원, 2012
4 문자학, 조두상, "부산", 부산광역시, 부산대출판부, 1998
5 근역서휘, 한철희, 근역화휘, "명품선", 서울: 돌베게, 2002
6 한영선, "書法書論", 서울: 문성당, 1985
7 김충현, "근역서보", 서울: 한울엠플러스(주), 2016
8 정충락, "서예미학", 미술문화원, 서울: 국민대학교출판국, 1984
9 손환일, "예서집성", 서예문인화, 서울: 서예문인화, 2007
10 최완수, "추사명품", 현암사, 서울: 현암사, 2017
1 김영구, 창암필원, "null", 익산: 신아출판사, 2002
2 고유섭, 진홍섭, 구수한, "역", 서울: 다할미디어, 2005
3 조민환, "筆訣", 서울: 미술문화원, 2012
4 문자학, 조두상, "부산", 부산광역시, 부산대출판부, 1998
5 근역서휘, 한철희, 근역화휘, "명품선", 서울: 돌베게, 2002
6 한영선, "書法書論", 서울: 문성당, 1985
7 김충현, "근역서보", 서울: 한울엠플러스(주), 2016
8 정충락, "서예미학", 미술문화원, 서울: 국민대학교출판국, 1984
9 손환일, "예서집성", 서예문인화, 서울: 서예문인화, 2007
10 최완수, "추사명품", 현암사, 서울: 현암사, 2017
11 김경희, "추사정화", 서울: 지식산업사, 1983
12 권오돈, "신역 禮記", 서울: 홍신문화사, 1982
13 박병천, "書法論硏究", 서울: 일지사, 1985
14 김광욱, "行草書美學", 대구: 계명대출판부, 2010
15 양동숙, 편역, "중국문자학", 학연사, 서울: 학연사, 1987
16 신흥순, "청명 임창순", 서울: 은광인쇄, 2009
17 박문회, "古今歷代法帖", 河東: 하동향교, 1971
18 김언호, "한국의 암각화", 동 학회, 서울: 도서출판 한길사, 1996
19 유홍준, "완당평전 전3권", 서울: 학고재, 2003
20 윤양중, "韓國書藝一百年", 서울: 코리아포토프레스, 1988
21 조동원, "韓國金石文大系", 익산: 원광대출판사, 1985
22 이우태, 임세권, "韓國金石文集成", 안동: 서경문화사, 2002
23 김용선, "고려금석문연구", 서울: 일조각, 2004
24 김광욱, "한국서예시연구", 계명대학교,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25 홍두표, "한국의 미 전24권", 서울: 중앙일보사, 1981
26 김임수, "“고유섭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1990
27 곽노봉, "역. 중국역대서론", 서울: 동문선, 2000
28 정충락, "書形態美比較硏究", 서울: 미술문화원, 1987
29 김광욱, "서예학연구 제29호", 서울: 영진문화사, 2016
30 손환일, "한국, 금석문의 두전", 서울: 서화미디어, 2011
31 한문영, "한국서화가인명사전", 범우사, 서울: 범우사, 2000
32 선해, "寶藏千秋비밀의 계곡", 경남: 해인사출판부, 2015
33 조인숙, "창암 이삼만의 구풍첩", 서예문인화, 서울: 이화출판사, 2008
34 이규복, "한국의 명비를 찾아서", 서예문인화, 서울: 서예문인화, 2007
35 김광욱, "───, 한국 서예학사", 계명대학교출판부,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09
36 김석배, "『한국역대명인필적』", 경인문화사, 서울: 일중사, 1975
37 백영일, "“眞鑑禪師碑篆額攷.”", 대구: 대구서학회, 제9회 전국서학연구발표대 회, 2002
38 김광욱, "“韓國의 論書詩硏究.”",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06
39 한상봉, "다시 볼 수 없는 秘藏碑帖", 서울: 묵가, 2014
40 방웅정, "韓國古代의 文字와 記號遺物", 서울: 통천문화사, 2000
41 박병천, "中國歷代名碑帖之書藝美硏究", 서울: 미술문화원, 1990
42 문정자, "玉洞과 圓嶠의 동국진체 탐구", 서울: 다운샘, 2001
43 이영덕, "藏書閣所藏拓本資料集 古代編", 서울: 精神文化硏究員, 1997
44 조루즈, "장 著. 문자의 역사. 이종인 譯", 서울: 시공사, 1995
45 서돈각, "한국사찰의 편액과 주련 전3권", 서울: 신흥인쇄주식회사, 1999
46 곽승훈, "등. 중국 소재 한국 고대 금석문", 서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47 나타프, 조류즈, "저. 상징ㆍ기호ㆍ표지. 김정란 역", 서울: 열화당, 1987
48 장지훈, "“朝鮮朝後期書藝美學思想硏究.”",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07
49 이상현, "“고려시대 비액의 서체미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014
50 모도야끼, "히로시. 조형심리학 입문. 김수석 역", 서울: 지구문화사, 1992
51 이인숙, "“조선 16세기신도비 비액 전서연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논총 49권, 2011
52 야나기, "무네요시 著. 조선과 그 예술. 이길진 譯", 서울: 신구문화사, 1994
53 고바타, "쥰조우 著. 미와 예술의 논리. 강손근 譯", 서울: 집문당, 1995
54 사또루, "후지 著. 미와 조형의 심리학. 김복영 옮김", 서울: 도서출판 조형사, 1994
55 임실군청, "“오수의견비(獒樹義犬碑) 학술조사 보고서,”", 예원예술대학교 전북 역사문화연구소, 2004
56 박문현, "“통일신라 석비양식과 비액의 서풍변화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