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지난 시대의 음악을 정통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음악인들은 많은 탐구를 한다. 시대별로 작곡자의 의도하는 바가 다르며, 시대적인 관습과 주법을 정확히 알고 연주에 임해야 한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6533661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기악학과 피아노전공 , 1996
1995
한국어
676.5 판사항(3)
서울
i, 79p. : 삽도,악보 ; 26cm.
참고문헌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지난 시대의 음악을 정통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음악인들은 많은 탐구를 한다. 시대별로 작곡자의 의도하는 바가 다르며, 시대적인 관습과 주법을 정확히 알고 연주에 임해야 한다. ...
오늘날 지난 시대의 음악을 정통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음악인들은 많은 탐구를 한다. 시대별로 작곡자의 의도하는 바가 다르며, 시대적인 관습과 주법을 정확히 알고 연주에 임해야 한다. 작곡가의 의도를 알 수 있는 방법은 2가지의 요소로부터 얻을 수 있다. 하나는 악보에 나타난 표기된 것들과 전통에 의해서 작곡자가 의도하는 바를 추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통이란 음악연주의 모든 연주관습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난 시대, 즉 바로크 시대의 악기들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Piano와는 다르며 주법이나 관습도 여러 면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따라서 하프시코드나 클라비코드를 위한 당시 음악을 피아노로 정통적인 재현을 하는데는 문제점이 있으며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한다. 그렇다면 바로크 음악의 정통 연주에 도달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바로크 시대에 사용되었던 하프시코드와 클라비코드의 구조적 특성과 음악적 특성, 그리고 그 당시 연주자들의 연주관습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바로크 건반음악의 이상적인 연주를 위해서는 우선 악기의 기능과 바로크 시대의 연주관습과 주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꾸밈음의 바른 이해와 해석의 차이로 인한 에디션의 문제점을 연구해 보았다.
바로크 음악을 연주하는데 있어서, 음악가들은 서로 다른 주장과 견해로 의견이 일치되고 있지 않다 크게 나눠보면 현대적인 해석과 바로크 시대에 충실한 2가지 양상을 나타낸다. '어떤방법이 옳다'는 결론을 내릴순 없지만 이 논문에선 현대적인 해석보다는 바로크 시대의 관습과 주법을 음악사적 입장에서 고려하여 어떻게 더욱 바르게 연주할 수 있는가의 주법상의 차이점과 해석의 차이로 인한 에디션을 비교하여 원전판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작곡가의 의도에 가깝게 연주하는 것이 바로크 음악의 정통연주을 위한 연주자의 자세라고 생각한다.
연주자의 견해와 주관적인 해석도 중요하지만 불변할 수 없는 바로크의 요소들은 주의를 기울여 연주하며, 시대적인 미학과 음악사적 시각에 충실한 해석이, 바로크 작품을 연주함에 있어서, 바로크의 정통적인 재현을 위해 올바른 태도일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quest for authenticity in musical revivals is a strictly twentieth-century phenomenon. A piece ought to be performed the way the composer intended it to be performed. knowledge of his interntions is obtained from two sources:the written notes and...
The quest for authenticity in musical revivals is a strictly twentieth-century phenomenon.
A piece ought to be performed the way the composer intended it to be performed. knowledge of his interntions is obtained from two sources:the written notes and tradition. "Tradition"is here used to mean all the customs of musical performance.
But past instruments are different from a piano and in methods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m. Accordingly, there are many problems in reappearing past musics performed by harpischord and clavichord with a piano. So many studies are needed.
To what extent is authenticity in the performance of Baroque music attainable?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I examined the structural characters of Harpischord. Clavichord and piano that were used in those days and music forms to use them and The Interpretation of musicians in those day.
And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on functions of keybaord instruments, music works and The interpretation in those days in order to perform the music with keyboard instruments is necessary. And ornamentation,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in these days-Edition is problem. So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veral editions.
In conclusion, in performance of baroque keyboard intruments musics firstly, the exact understanding on a sheet music is needed and the establishment of habits and esthetics of performance in those can make most ideal performance.
The writer hopes that this study may be of some help for the performance of Broque keyboard music to reach a goal in which their musical knowledge of the composer's style and their musical intuition of the composer's intent reach a harmonious whol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