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디지털스토리텔링과 미디어고스트 = Digitalstorytelling and Media Gho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700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웹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대중심리와 미디어 성향이 변화하고 있다. 이는 미디어권력의 불확실성 성향에 대한 논증이다. 과거와는 달리 대상에 대한 옳고 그름, 좋고 나쁨에 대한 판단이 다수의 개인에게 옮겨 갔으며, 이 개인들 또한 자신과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선택적인 분류의 흐름에 빠지게 됨을 본 논문에선 지적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스토리텔링 이론을 바탕으로 미디어의 성격을 재정립하고, 현대 미디어의 특성에 따른 정세변화예측을 시도하였다.
      디지털스토리텔링의 리좀구조를 따라 부유하는 텍스트의 변형성과 자기실현을 위해 진실에 가까워 보이는 가치를 지닌 텍스트의 선택 및 습득, 그리고 표출이라는 존재경험(Being Experience)이 만나 새로운 텍스트경향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부유성 텍스트의 현혹성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를 미디어 고스트라 명명하였다. 부유하는 텍스트의 변형성과 각자의 의도에 따른 프레이밍, 진실에 다가가기 위한, 혹은 진실과 유사해지기 위한 분절된 텍스트들의 집합은 미디어 고스트의 여론적 성향을 부추겨 스펙터클과 진실성에 기초한 권력세력을 만들게 한다. 이런 유사관점의 커뮤니티 안에서의 텍스트는 미디어 고스트현상을 통해 새롭게 구성된 텍스트를 만들고 유사 공동체들의 텍스트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영향력을 가진 미디어 고스트는 앞으로의 디지털미디어시대의 중요 현상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번역하기

      웹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대중심리와 미디어 성향이 변화하고 있다. 이는 미디어권력의 불확실성 성향에 대한 논증이다. 과거와는 달리 대상에 대한 옳고 그름, 좋고 나쁨에 대한 판단이 다...

      웹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대중심리와 미디어 성향이 변화하고 있다. 이는 미디어권력의 불확실성 성향에 대한 논증이다. 과거와는 달리 대상에 대한 옳고 그름, 좋고 나쁨에 대한 판단이 다수의 개인에게 옮겨 갔으며, 이 개인들 또한 자신과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선택적인 분류의 흐름에 빠지게 됨을 본 논문에선 지적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스토리텔링 이론을 바탕으로 미디어의 성격을 재정립하고, 현대 미디어의 특성에 따른 정세변화예측을 시도하였다.
      디지털스토리텔링의 리좀구조를 따라 부유하는 텍스트의 변형성과 자기실현을 위해 진실에 가까워 보이는 가치를 지닌 텍스트의 선택 및 습득, 그리고 표출이라는 존재경험(Being Experience)이 만나 새로운 텍스트경향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부유성 텍스트의 현혹성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를 미디어 고스트라 명명하였다. 부유하는 텍스트의 변형성과 각자의 의도에 따른 프레이밍, 진실에 다가가기 위한, 혹은 진실과 유사해지기 위한 분절된 텍스트들의 집합은 미디어 고스트의 여론적 성향을 부추겨 스펙터클과 진실성에 기초한 권력세력을 만들게 한다. 이런 유사관점의 커뮤니티 안에서의 텍스트는 미디어 고스트현상을 통해 새롭게 구성된 텍스트를 만들고 유사 공동체들의 텍스트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영향력을 가진 미디어 고스트는 앞으로의 디지털미디어시대의 중요 현상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a change of mass psychology and media inclination by web media development. This means demonstration about uncertainty propensity of media authority. I point out that judgement on text is moved to a individual, and this is fell into a flow of selective classification by comparison of oneself with an another. On this, I studied media's character through digital-storytelling theory and tried an estimate of situation change by modern media property.
      Text's transformation floating along the rhizome structure in digital-storytelling, truth selection and picking for self-realization and expression that means being experience make new trend of community. I aimed at dazzlement of floating text, so named this 'media ghost'. Transform of floating text, framing on self-intention and gathering divided text for truth stir the trend of public opinion and make power structure based on spectacle and truth. The text of a view point of similarity makes newly structured text through the media ghost and affects other communities' text continually. Media ghost, which has this influence, will take its place as an important phenomenon in digital media age.
      번역하기

      There is a change of mass psychology and media inclination by web media development. This means demonstration about uncertainty propensity of media authority. I point out that judgement on text is moved to a individual, and this is fell into a flow of...

      There is a change of mass psychology and media inclination by web media development. This means demonstration about uncertainty propensity of media authority. I point out that judgement on text is moved to a individual, and this is fell into a flow of selective classification by comparison of oneself with an another. On this, I studied media's character through digital-storytelling theory and tried an estimate of situation change by modern media property.
      Text's transformation floating along the rhizome structure in digital-storytelling, truth selection and picking for self-realization and expression that means being experience make new trend of community. I aimed at dazzlement of floating text, so named this 'media ghost'. Transform of floating text, framing on self-intention and gathering divided text for truth stir the trend of public opinion and make power structure based on spectacle and truth. The text of a view point of similarity makes newly structured text through the media ghost and affects other communities' text continually. Media ghost, which has this influence, will take its place as an important phenomenon in digital media 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 1.1 문제제기 = 1
      • 1.1.1 디지털미디어시대 = 1
      • 1.1.2 커뮤니케이션 = 2
      • 1.1.3 비판과 행동 = 3
      • 제 1 장 서론 = 1
      • 1.1 문제제기 = 1
      • 1.1.1 디지털미디어시대 = 1
      • 1.1.2 커뮤니케이션 = 2
      • 1.1.3 비판과 행동 = 3
      • 1.2 연구방향 = 3
      • 제 2 장 디지털스토리텔링 = 4
      • 2.1 디지털스토리텔링 기초연구 = 4
      • 2.1.1 스토리텔링의 시작 = 4
      • 2.1.2 구조주의와 미디어 = 5
      • 2.1.3 디지털스토리텔링의 의미 = 7
      • 2.2 디지털스토리텔링의 구조 = 8
      • 2.2.1 하이퍼텍스트와 리좀구조 = 8
      • 2.2.2 하이퍼텍스트의 역할 = 9
      • 2.2.3 디지털스토리텔링의 텍스트 분절 = 11
      • 2.3 미디어프레이밍 = 12
      • 2.3.1 컬트현상과 스펙터클 = 12
      • 2.3.2 잘려나간 스토리 = 14
      • 2.3.3 선택성의 스토리텔링 = 15
      • 제 3 장 미디어 가속 = 17
      • 3.1 새로운 미디어 성향 = 17
      • 3.1.1 집단형성 = 17
      • 3.1.2 집단사고 = 18
      • 3.2 미디어가속 = 20
      • 3.2.1 미디어발달 = 20
      • 3.2.2 속도권력 = 21
      • 3.2.3 정보권력의 흩어짐 = 23
      • 3.2.4 여론과 가속도 = 25
      • 제 4 장 미디어 고스트 = 26
      • 4.1 텍스트 부유현상 = 26
      • 4.1.1 텍스트와 웹 = 26
      • 4.1.2 텍스트 부유 = 27
      • 4.2 미디어 고스트의 형성 = 28
      • 4.2.1 미디어 고스트의 의미 = 28
      • 4.2.2 미디어 고스트의 사례 = 29
      • 4.3 미디어 고스트의 영향 = 31
      • 4.3.1 미디어 고스트와 커뮤니티 = 31
      • 4.3.2 미디어 고스트의 이동 = 33
      • 제 5 장 결 론 = 34
      • 5.1 미디어공동체의 미래 = 34
      • 5.2 정리 = 34
      • 참고문헌 = 3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