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準備運動에 따른 反復運動後의 時間別 體前屈値 變化硏究 = (The) changes of athlete and non-athlete middle-school-students' value of the forward flextion of trunk standing with the passage of time after its repeated exerci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177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全南大學校 大學院 , 體育學科 體育學專攻 , 1985. 2

      • 발행연도

        198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92.9 판사항(3)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29 p. : 삽도 ; 26 cm.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용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體前要因中 하나인 유연성을 體前屈測定으로 하여 이 體前屈 成績이 準備運動前과 體前屈反復運動을 準備運動으로 250回 實施한 直後, 성적, 그리고 準備運動이 끝나고 休息을 취하는 동안 體前屈成績이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男·女 中學生 120名 (運動學生40名, 一般學生80名)을 對象으로 선정하여 硏究目的에 따라 운동학생과 일반학생이 休息을 취할때 靜的休息群과 動的休息群으로 각각 나누어 測定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反復運動 직전과 직후 체전굴치 성적은 운동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높은 성적을 보였으며 검증결과 운동학생 남·여에서 각각 유의한 차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자는 퍽 유의한 차로 나타났다.
      2. 반복운동후 휴식시간에 따른 체전굴성적의 변화는
      1) 운동학생 남자는 정적휴식군 25분에, 동적휴식군은 30분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2) 운동학생 여자는 정적휴식군 20분에, 동적휴식군 35분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3) 일반학생 남자는 정적휴식군 15분에, 동적휴식군 25분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4) 일반학생 여자는 정적휴식군 20분에, 동적휴식군 25분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3. 종합적으로 보면 일반학생보다는 운동학생에서 준비운동후 동적휴식 (Waring-up)을 취할 때, 준비운동후 그 효과를 오래까지 지속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體前要因中 하나인 유연성을 體前屈測定으로 하여 이 體前屈 成績이 準備運動前과 體前屈反復運動을 準備運動으로 250回 實施한 直後, 성적, 그리고 準備運動이 끝나고 休息을 취하는 동안 ...

      體前要因中 하나인 유연성을 體前屈測定으로 하여 이 體前屈 成績이 準備運動前과 體前屈反復運動을 準備運動으로 250回 實施한 直後, 성적, 그리고 準備運動이 끝나고 休息을 취하는 동안 體前屈成績이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男·女 中學生 120名 (運動學生40名, 一般學生80名)을 對象으로 선정하여 硏究目的에 따라 운동학생과 일반학생이 休息을 취할때 靜的休息群과 動的休息群으로 각각 나누어 測定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反復運動 직전과 직후 체전굴치 성적은 운동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높은 성적을 보였으며 검증결과 운동학생 남·여에서 각각 유의한 차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자는 퍽 유의한 차로 나타났다.
      2. 반복운동후 휴식시간에 따른 체전굴성적의 변화는
      1) 운동학생 남자는 정적휴식군 25분에, 동적휴식군은 30분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2) 운동학생 여자는 정적휴식군 20분에, 동적휴식군 35분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3) 일반학생 남자는 정적휴식군 15분에, 동적휴식군 25분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4) 일반학생 여자는 정적휴식군 20분에, 동적휴식군 25분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3. 종합적으로 보면 일반학생보다는 운동학생에서 준비운동후 동적휴식 (Waring-up)을 취할 때, 준비운동후 그 효과를 오래까지 지속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easurement the changes of athlete and non-athlete middle-school-students' value of the forward flextion of trunk standing with. the passage of time after its repeated exercise on 120 persons (athlete group:40 persons, non-athlete group:80 persons) and got the following results;
      1. In the changes of the value of the forward flextion of trunk standing after its repeated exercise, non-athletes best performed at 15 to 20 minutes and athletes at 30 to 35 minutes.
      2. In the changes of the value of the forward flextion of trunk standing after its repeated exercise, the female athletes of active relexation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ith significant difference(p:0.05) and so did the female non-athletes of static relexation.
      3. Non-athletes after the repeated exercise, showed the best performnce it 15 to 20 minutes.
      4. Athletes after the repeated exercise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t 25 to 35 minutes.
      5. Forty minutes after the repeated expeated exercise, both athetes' and non-athletes' performances were strikingly diminished.
      번역하기

      In the measurement the changes of athlete and non-athlete middle-school-students' value of the forward flextion of trunk standing with. the passage of time after its repeated exercise on 120 persons (athlete group:40 persons, non-athlete group:80 pers...

      In the measurement the changes of athlete and non-athlete middle-school-students' value of the forward flextion of trunk standing with. the passage of time after its repeated exercise on 120 persons (athlete group:40 persons, non-athlete group:80 persons) and got the following results;
      1. In the changes of the value of the forward flextion of trunk standing after its repeated exercise, non-athletes best performed at 15 to 20 minutes and athletes at 30 to 35 minutes.
      2. In the changes of the value of the forward flextion of trunk standing after its repeated exercise, the female athletes of active relexation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ith significant difference(p:0.05) and so did the female non-athletes of static relexation.
      3. Non-athletes after the repeated exercise, showed the best performnce it 15 to 20 minutes.
      4. Athletes after the repeated exercise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t 25 to 35 minutes.
      5. Forty minutes after the repeated expeated exercise, both athetes' and non-athletes' performances were strikingly diminish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緖論 = 3
      • II. 理論的 背景 = 5
      • 1. 準備運動의 必要性 = 5
      • 2. 先行硏究 = 6
      • 목차
      • I. 緖論 = 3
      • II. 理論的 背景 = 5
      • 1. 準備運動의 必要性 = 5
      • 2. 先行硏究 = 6
      • 1) 準備運動과 柔軟性의 關係 = 6
      • 2) 準備運動後 效果와 持續時間 = 6
      • III. 硏究內容 및 方法 = 8
      • 1. 硏究計劃 = 8
      • 1) 硏究對象 = 8
      • 2) 硏究期間 = 8
      • 2. 測定方法 = 9
      • 1) 體格 = 9
      • (1) 身長 = 9
      • (2) 體重 = 9
      • 2) 準備運動前 體前屈 測定 = 9
      • 3) 反復運動 = 10
      • 4) 反復運動後 測定 = 10
      • 5) 結果處理 = 10
      • 3. 硏究의 制限點 = 10
      • IV. 硏究의 結果 및 考察 = 12
      • V. 結論 및 提言 = 24
      • 參考文獻 = 26
      • Abstract = 2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