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주의와 인문학의 재정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58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스노우 C.P. Snow는 과학적 문화와 인문적 문화 사이의 의사소통부재 현상을 시정하기 위해 과학 교양교육의 진흥을 주장했다. 그의 처방은 두 문화의 위상이 반전된 지금은 유효하지 않다.
      현재 자연과학에 대한 맹신 즉 ‘과학주의 scientism’도 더 강렬해졌지만, 과학이 현대사회의 유일한 해결책이 되지는 못한다는 비판 또한 강력하다. 20세기 말 유전공학, 정보화의 가속화와 더불어 두 문화간의 갈등이 더욱 깊어진 현재, 그간의 과학의 성취를 부정하지 않으면서, 그 유산을 인문화시킬 방안을 모색해 보려한다.
      과학혁명 이후 과학은 점차 우리 사회의 신화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과학주의는 18세기 계몽운동, 꽁트 Comte 이후 논리실증주의에 이르기까지 출현한다. 과학주의는 과학의 기술적 성공에 대한 경외심에서 비롯되며 과학적 합리성을 유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과학주의적 인간해석인 제거적 유물론은 인문학적 심리설명인 통속심리학을 대체시키려 하나, 그것은 설득력이 있는 입장이 아니며, 철학적 형이상학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과학과 과학주의를 구별하여, 과학적 실천을 보존하면서 유물론, 방법론적 환원주의를 버릴 수 있다. 과학방법론에 대한 최근의 철학적 비판은 과학에 대한 이미지를 바뀌게 한다. 과학의 객관성은 이론에 대한 정당화에서 나오는데, 귀납주의와 연역주의모델은 모두 비판에 부딪혔다. 이런 반성은 과학만이 궁극적 진리를 준다는 과학주의를 취하지 않는다면, 잠정적 지식체계로서의 과학상을 손상시키지는 않는다.
      과학사학자, 페미니스트, 로티의 과학비평은 과학의 객관성과 합리성에 대한 믿음을 훼손하는 극단적인 입장이다. 이 글은 다른 과학의 가능성을 말하거나, 과학전체를 부정하는 포스트모던 과학비평들에 동의하지 않는다. 한편, 과학의 방법론과 객관성에 대한 맹종은 또한 잘못이며, 신화 없는 과학의 이념을 받아들여야 한다. 현대는 테크노폴리 즉 전체주의적 기술주의문화 시대로서, 여기서 기술의 신격화와 과학주의적 사고는 더 거대한 환상으로 자란다. 모든 비현대적인 충동, 현대문명의 갈등이 과학적, 기술적 개선에 의해 제거될 수 없다. 과학기술의 위험성, 과학주의의 맹목성을 인식시키기 위해 스노우와 거꾸로, 인문학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수학과 과학의 모델을 인문학의 모델로 대체시킴으로써 수사학의 복권이 이뤄질 수 있다. 상실된 서사의 전통을 복원하는 데, 종교, 신화, 정치, 철학 등 모든 서사의 원천인 인문학이 기여할 수 있다.
      번역하기

      스노우 C.P. Snow는 과학적 문화와 인문적 문화 사이의 의사소통부재 현상을 시정하기 위해 과학 교양교육의 진흥을 주장했다. 그의 처방은 두 문화의 위상이 반전된 지금은 유효하지 않다. ...

      스노우 C.P. Snow는 과학적 문화와 인문적 문화 사이의 의사소통부재 현상을 시정하기 위해 과학 교양교육의 진흥을 주장했다. 그의 처방은 두 문화의 위상이 반전된 지금은 유효하지 않다.
      현재 자연과학에 대한 맹신 즉 ‘과학주의 scientism’도 더 강렬해졌지만, 과학이 현대사회의 유일한 해결책이 되지는 못한다는 비판 또한 강력하다. 20세기 말 유전공학, 정보화의 가속화와 더불어 두 문화간의 갈등이 더욱 깊어진 현재, 그간의 과학의 성취를 부정하지 않으면서, 그 유산을 인문화시킬 방안을 모색해 보려한다.
      과학혁명 이후 과학은 점차 우리 사회의 신화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과학주의는 18세기 계몽운동, 꽁트 Comte 이후 논리실증주의에 이르기까지 출현한다. 과학주의는 과학의 기술적 성공에 대한 경외심에서 비롯되며 과학적 합리성을 유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과학주의적 인간해석인 제거적 유물론은 인문학적 심리설명인 통속심리학을 대체시키려 하나, 그것은 설득력이 있는 입장이 아니며, 철학적 형이상학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과학과 과학주의를 구별하여, 과학적 실천을 보존하면서 유물론, 방법론적 환원주의를 버릴 수 있다. 과학방법론에 대한 최근의 철학적 비판은 과학에 대한 이미지를 바뀌게 한다. 과학의 객관성은 이론에 대한 정당화에서 나오는데, 귀납주의와 연역주의모델은 모두 비판에 부딪혔다. 이런 반성은 과학만이 궁극적 진리를 준다는 과학주의를 취하지 않는다면, 잠정적 지식체계로서의 과학상을 손상시키지는 않는다.
      과학사학자, 페미니스트, 로티의 과학비평은 과학의 객관성과 합리성에 대한 믿음을 훼손하는 극단적인 입장이다. 이 글은 다른 과학의 가능성을 말하거나, 과학전체를 부정하는 포스트모던 과학비평들에 동의하지 않는다. 한편, 과학의 방법론과 객관성에 대한 맹종은 또한 잘못이며, 신화 없는 과학의 이념을 받아들여야 한다. 현대는 테크노폴리 즉 전체주의적 기술주의문화 시대로서, 여기서 기술의 신격화와 과학주의적 사고는 더 거대한 환상으로 자란다. 모든 비현대적인 충동, 현대문명의 갈등이 과학적, 기술적 개선에 의해 제거될 수 없다. 과학기술의 위험성, 과학주의의 맹목성을 인식시키기 위해 스노우와 거꾸로, 인문학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수학과 과학의 모델을 인문학의 모델로 대체시킴으로써 수사학의 복권이 이뤄질 수 있다. 상실된 서사의 전통을 복원하는 데, 종교, 신화, 정치, 철학 등 모든 서사의 원천인 인문학이 기여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iddle of the last century, C.P. Snow raised an issue regarding the 'two cultures' and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m. In our day, the situation is more complicated owing to two things. One is the stronger belief in the unique truthfulness of science and the downfall of the humanities. The other is a deeper reflection of the limit of modern science and the crisis it causes. How can we 'humanitize' the achievements of science without involving scientism?
      Science itself has become a myth of our culture ever since modern scientific revolutions. Scientism is a religion of science, the method of science. It emerges from the suc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counts its method and rationality as the only legitimate things. Eliminative materialism, so called scientific explanation of human behavior and consciousness is hard to be persuasive. It intends to replace the folk psychology, the humanitarian explanation of mind, but it won't work well. Inductive model and deductive model of scientific justification fail as well. The relation of theory and evidence is not linear, but involves underdetermination. So we have to distinguish science practise and scientism effectively. Science should be regarded as a tentative knowledge claim.
      All the three kinds of Postmodern cirticism of science deteriorate the fame of scientific objectivity and rationality. The viewpoints of T. Kuhn, R. Rorty and some feminists are extremists in that they are mentioning the alternative science, and the total deny of ongoing science. I do not agree with them for it negates the efficacy and success of science. But we should wake up from the illusion of scientism grown up in technopoly, realizing science is not the only one solution. On the contrary of the C.P. Snow's prescription, education of the Humanities should be stressed more. For the Humanities can resurrect the great tradition of the narrative and the rhetoric lost in an era of technopoly and scientism.
      번역하기

      In the middle of the last century, C.P. Snow raised an issue regarding the 'two cultures' and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m. In our day, the situation is more complicated owing to two things. One is the stronger belief in the unique truthf...

      In the middle of the last century, C.P. Snow raised an issue regarding the 'two cultures' and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m. In our day, the situation is more complicated owing to two things. One is the stronger belief in the unique truthfulness of science and the downfall of the humanities. The other is a deeper reflection of the limit of modern science and the crisis it causes. How can we 'humanitize' the achievements of science without involving scientism?
      Science itself has become a myth of our culture ever since modern scientific revolutions. Scientism is a religion of science, the method of science. It emerges from the suc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counts its method and rationality as the only legitimate things. Eliminative materialism, so called scientific explanation of human behavior and consciousness is hard to be persuasive. It intends to replace the folk psychology, the humanitarian explanation of mind, but it won't work well. Inductive model and deductive model of scientific justification fail as well. The relation of theory and evidence is not linear, but involves underdetermination. So we have to distinguish science practise and scientism effectively. Science should be regarded as a tentative knowledge claim.
      All the three kinds of Postmodern cirticism of science deteriorate the fame of scientific objectivity and rationality. The viewpoints of T. Kuhn, R. Rorty and some feminists are extremists in that they are mentioning the alternative science, and the total deny of ongoing science. I do not agree with them for it negates the efficacy and success of science. But we should wake up from the illusion of scientism grown up in technopoly, realizing science is not the only one solution. On the contrary of the C.P. Snow's prescription, education of the Humanities should be stressed more. For the Humanities can resurrect the great tradition of the narrative and the rhetoric lost in an era of technopoly and scient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두 문화』 그 이후
      • 2. 과학주의
      • 3. 과학의 이미지
      • 4. 과학기술 시대의 인문학
      • 요약문
      • 1. 『두 문화』 그 이후
      • 2. 과학주의
      • 3. 과학의 이미지
      • 4. 과학기술 시대의 인문학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