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12672

      • 저자
      • 발행사항

        무안 :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2024. 2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안지혜

      • UCI식별코드

        I804:46002-000000024110

      • 소장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들 요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J도 M시와 M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4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중 미회수된 20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00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Apple & Bredekamp, 1986; Smith & Howes, 1995)를 기초로 한 이정숙(2003)이 수정·보완한 자기보고식 평정척도를 보육교사와 영유아에게 맞도록 수정한 김명신(2017)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구은미, 서보순, 강인자(2016)의 도구를 수정‧보완한 강정원(2022)의 아동권리인식 평정척도를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D'Arienzo, Moraco, Krajeski(1982)가 개발한 교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신혜영(2004)이 보육교사용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집된 설문지 자료로 통계 분석을 하였다.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보육교사의 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권리존중인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정도를 살펴보면 영유아권리존중인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서 보통 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살펴보면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서 보통 3점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보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은 영유아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서적상호작용, 언어적상호작용, 행동적상호작용이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정서적상호작용, 언어적상호작용, 행동적상호작용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상호작용,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보면 직무스트레스는 영유아 상호작용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서적상호작용, 언어적상호작용, 행동적상호작용이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정서적상호작용, 언어적상호작용, 행동적상호작용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전체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므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 지원하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밝힐 수 있었다는 점에 중요한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향상을 위한 다른 변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들 요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J도 M시와 M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4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중 미회수된 20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00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Apple & Bredekamp, 1986; Smith & Howes, 1995)를 기초로 한 이정숙(2003)이 수정·보완한 자기보고식 평정척도를 보육교사와 영유아에게 맞도록 수정한 김명신(2017)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구은미, 서보순, 강인자(2016)의 도구를 수정‧보완한 강정원(2022)의 아동권리인식 평정척도를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D'Arienzo, Moraco, Krajeski(1982)가 개발한 교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신혜영(2004)이 보육교사용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집된 설문지 자료로 통계 분석을 하였다.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보육교사의 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권리존중인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정도를 살펴보면 영유아권리존중인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서 보통 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살펴보면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서 보통 3점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보면 영유아권리존중인식은 영유아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서적상호작용, 언어적상호작용, 행동적상호작용이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정서적상호작용, 언어적상호작용, 행동적상호작용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상호작용,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보면 직무스트레스는 영유아 상호작용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서적상호작용, 언어적상호작용, 행동적상호작용이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정서적상호작용, 언어적상호작용, 행동적상호작용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전체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므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 지원하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밝힐 수 있었다는 점에 중요한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향상을 위한 다른 변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job str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The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eacher-infant interaction depending on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childcare teacher?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job str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2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Mokpo-si and Muan-gun, Jeollanam-do. Among them, 400 copie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in the process of reviewing unrecovered or recov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rvey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the childcare teacher's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a self-report rating scal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Lee Jeong-suk (2003) based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rating scale (Apple & Bredekamp, 1986; Smith & Howes, 1995) was used with the childcare teacher. Kim Myeong-shin (2017)'s measurement tool modified to fit infants and toddlers was used. The research tool used to measur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was based o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questions developed by Hart and Zeider through 'Children's Right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or: Early Findings of a CrossNational Project' in 1993. Heo Eun (2014)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scale used in the study on 'Children's Awareness of Rights' by Seonghee Kang (1997), and the job stress scale for childcare teachers was developed by D'Arienzo, Moraco, and Krajeski (1982). A teacher's job stress measurement tool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Shin Hye-young (2004) to suit childcare teachers was used.
      The survey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7.0 program.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job stress, and trends i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population of childcare teacher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e's post hoc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childcare teachers'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sociological background.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n interaction.
      The mai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level of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overall average of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3 points out of 5.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level of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the overall average was lower than the average 3 points out of 5.
      Secon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infants' interaction, awareness of infants' righ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ter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infants and toddlers' interactio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 Positive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infant-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teacher job stress, job stress appeare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fant-toddler inter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infant-toddler interactio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were observed. It was found to be a negative correla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also fou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Third,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ll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infant/toddler interaction. Results showing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action were found.
      As the importance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is increasingly emphasi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ble to reveal what variables are supported to effectively promote teacher-infant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o conduct research on other variables to improve teacher-infant interac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job str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The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eacher-infant interaction depending on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childcare teacher?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job str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2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Mokpo-si and Muan-gun, Jeollanam-do. Among them, 400 copie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in the process of reviewing unrecovered or recov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rvey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the childcare teacher's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a self-report rating scal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Lee Jeong-suk (2003) based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rating scale (Apple & Bredekamp, 1986; Smith & Howes, 1995) was used with the childcare teacher. Kim Myeong-shin (2017)'s measurement tool modified to fit infants and toddlers was used. The research tool used to measur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was based o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questions developed by Hart and Zeider through 'Children's Right Perspectives of Youth and Educator: Early Findings of a CrossNational Project' in 1993. Heo Eun (2014)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scale used in the study on 'Children's Awareness of Rights' by Seonghee Kang (1997), and the job stress scale for childcare teachers was developed by D'Arienzo, Moraco, and Krajeski (1982). A teacher's job stress measurement tool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Shin Hye-young (2004) to suit childcare teachers was used.
      The survey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7.0 program.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job stress, and trends in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population of childcare teacher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e's post hoc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childcare teachers' interactions with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sociological background.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n interaction.
      The mai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level of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overall average of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3 points out of 5.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level of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the overall average was lower than the average 3 points out of 5.
      Secon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infants' interaction, awareness of infants' righ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ter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infants and toddlers' interactio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 Positive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also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infant-toddler interaction and childcare teacher job stress, job stress appeare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fant-toddler inter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infant-toddler interactio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were observed. It was found to be a negative correla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also fou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Third,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ll sub-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espect for infants' rights and job stress were related to teacher-infant/toddler interaction. Results showing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action were found.
      As the importance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is increasingly emphasi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ble to reveal what variables are supported to effectively promote teacher-infant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o conduct research on other variables to improve teacher-infant inter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Ⅰ. 서 론 1
      • 목차
      • 국문초록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7
      • 가. 영유아권리존중인식의 개념 7
      • 나. 영유아권리존중인식의 구성요인 9
      • 다.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에 관한 선행연구 10
      • 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12
      • 가. 직무스트레스의 개념 12
      • 나. 직무스트레스의 구성요인 14
      • 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 18
      • 3. 보육교사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20
      • 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개념 20
      • 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구성요인 22
      • 다. 보육교사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관한 선행연구 23
      • Ⅲ. 연구방법 25
      • 1. 연구대상 25
      • 2. 연구도구 27
      • 3. 연구절차 30
      • 4. 자료분석 31
      • Ⅳ. 연구결과 32
      • 1.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32
      • 2.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37
      • 3.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41
      • Ⅴ. 결론 및 제언 47
      • 1. 결론 및 논의 47
      • 2. 제언 52
      • 참고문헌 53
      • ABSTRACT 68
      • 부 록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