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자력 정책과정에서 옹호연합 신념과 위협경직성 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dvocacy Coalition Beliefs and Threat Rigidity Strategy in Nuclear Energy Policy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397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dvocacy coalitions and strategies within the nuclear subsystem in Korea after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dvocacy coalitions were identified using content analysis and fuzzy clustering. The strategies of the advocacy coalition were identified through the minutes of the National Assembly meet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nti-Nuclear coalition (cluster 1), the Pro-Nuclear coalition (cluster 2), and the unassociated actors (2 people) were deriv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Nuclear coalition used a threat rigidity strategy. They suggested that the impact of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on Korea is small and that they are safe. In addition, responses were standardized through meetings centered on top decision makers. As a strategy of the Pro-Nuclear coalition, a minor policy change occurred,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nuclear regulatory laws and institutions.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confirmed the advocacy coalitions and beliefs within the nuclear subsystem. In addition, it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has been confirmed that even if they belong to the same political party or organization, they can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advocacy coalitions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the actor.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dvocacy coalitions and strategies within the nuclear subsystem in Korea after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dvocacy coalitions were identified using content analysis and fuzzy clustering. The strategies of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dvocacy coalitions and strategies within the nuclear subsystem in Korea after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dvocacy coalitions were identified using content analysis and fuzzy clustering. The strategies of the advocacy coalition were identified through the minutes of the National Assembly meet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nti-Nuclear coalition (cluster 1), the Pro-Nuclear coalition (cluster 2), and the unassociated actors (2 people) were deriv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Nuclear coalition used a threat rigidity strategy. They suggested that the impact of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on Korea is small and that they are safe. In addition, responses were standardized through meetings centered on top decision makers. As a strategy of the Pro-Nuclear coalition, a minor policy change occurred,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nuclear regulatory laws and institutions.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confirmed the advocacy coalitions and beliefs within the nuclear subsystem. In addition, it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has been confirmed that even if they belong to the same political party or organization, they can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advocacy coalitions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the act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한국의 원자력 하위시스템 내 옹호연합과 전략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옹호연합은 내용분석과 퍼지클러스터링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옹호연합의 전략은 국회회의록을 통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원자력 반대연합(1군집), 원자력 찬성연합(2군집), 경계 행위자(2명)로 도출되었다. 특히 원자력 찬성연합이 위협경직성 전략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합들은 원전사고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며, 안전하다는 점을근거로 제시하였다. 또한, 상위 의사결정자를 중심으로 한 회의를 통해, 대응을 표준화하였다.
      원자력 찬성연합의 전략으로, 원자력 규제 법률과 기관의 신설이라는 정책변동이 일어났다. 본연구는 원자력 하위시스템 내부의 옹호연합과 신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의의를 지닌다. 또한, 동일한 정당이나 기관에 속하더라도 행위자의 성격에 따라 다른 연합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한국의 원자력 하위시스템 내 옹호연합과 전략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옹호연합은 내용분석과 퍼지클러스터링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옹호연합의 전략...

      본 연구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한국의 원자력 하위시스템 내 옹호연합과 전략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옹호연합은 내용분석과 퍼지클러스터링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옹호연합의 전략은 국회회의록을 통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원자력 반대연합(1군집), 원자력 찬성연합(2군집), 경계 행위자(2명)로 도출되었다. 특히 원자력 찬성연합이 위협경직성 전략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합들은 원전사고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며, 안전하다는 점을근거로 제시하였다. 또한, 상위 의사결정자를 중심으로 한 회의를 통해, 대응을 표준화하였다.
      원자력 찬성연합의 전략으로, 원자력 규제 법률과 기관의 신설이라는 정책변동이 일어났다. 본연구는 원자력 하위시스템 내부의 옹호연합과 신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의의를 지닌다. 또한, 동일한 정당이나 기관에 속하더라도 행위자의 성격에 따라 다른 연합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태형 ; 전영준,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국내 원자력정책의 변화: 정책옹호연합모형의 적용" 한국행정연구소 53 (53): 245-269, 2015

      2 유정호 ; 김민길 ; 조민효, "한국적 맥락에서 옹호연합모형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외국인 고용허가제 도입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6 (26): 259-294, 2017

      3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2014

      4 김대은 ; 엄석진, "정책옹호연합 간 정책아이디어의 차이와 시기별 변동 분석: 긴급재난지원금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6 (56): 133-166, 2022

      5 서인석, "정책신념 변화는 시간의 전유물인가: ACF 정책신념의 변화에 대한 한국적 검토" 한국행정학회 50 (50): 39-70, 2016

      6 김순양, "정책과정분석과 옹호연합모형-이론적・실천적 적실성 검토" 한국정책학회 19 (19): 35-70, 2010

      7 박수경 ; 장동현, "원자력 정책 변동에 관한 연구: 후쿠시마 원전 사고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22-235, 2019

      8 원숙연 ; 이혜경, "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한 감정노동자 보호 정책의 변동: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2 (52): 151-184, 2018

      9 김모모 ; 이찬구, "역동적 외적변수로 인한 정책옹호연합의 신념체계 변화와 정책변동: COVID-19사태와 원격의료 허용 정책 사례" 한국정책학회 30 (30): 451-490, 2021

      10 대한수학회, "수학백과 – 안장점"

      1 권태형 ; 전영준,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국내 원자력정책의 변화: 정책옹호연합모형의 적용" 한국행정연구소 53 (53): 245-269, 2015

      2 유정호 ; 김민길 ; 조민효, "한국적 맥락에서 옹호연합모형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외국인 고용허가제 도입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6 (26): 259-294, 2017

      3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2014

      4 김대은 ; 엄석진, "정책옹호연합 간 정책아이디어의 차이와 시기별 변동 분석: 긴급재난지원금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6 (56): 133-166, 2022

      5 서인석, "정책신념 변화는 시간의 전유물인가: ACF 정책신념의 변화에 대한 한국적 검토" 한국행정학회 50 (50): 39-70, 2016

      6 김순양, "정책과정분석과 옹호연합모형-이론적・실천적 적실성 검토" 한국정책학회 19 (19): 35-70, 2010

      7 박수경 ; 장동현, "원자력 정책 변동에 관한 연구: 후쿠시마 원전 사고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22-235, 2019

      8 원숙연 ; 이혜경, "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한 감정노동자 보호 정책의 변동: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2 (52): 151-184, 2018

      9 김모모 ; 이찬구, "역동적 외적변수로 인한 정책옹호연합의 신념체계 변화와 정책변동: COVID-19사태와 원격의료 허용 정책 사례" 한국정책학회 30 (30): 451-490, 2021

      10 대한수학회, "수학백과 – 안장점"

      11 Yin, R. K.,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6

      12 홍덕화, "발전국가와 원전산업의 형성한국전력공사 중심의 원전산업구조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6 (26): 273-308, 2016

      13 노은경 ; 배수호, "물관리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물관리기본법 제정사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14 (14): 137-166, 2019

      14 뉴시스, "동해시의회 “생존권 위협하는 삼척 원전유치 철회하라”"

      15 전치혁, "데이터마이닝 기법과 응용" 한나래 2012

      16 김영준 ; 이찬구,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원자력 규제정책의 의제설정과정 분석: 2011년 원자력안전법안 형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7 (27): 233-276, 2018

      17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공공기관 현황"

      18 Weible, C. M., "Why advocacy coalitions matter and practical insights about them" 46 (46): 325-343, 2018

      19 Janis, I. L., "Victims of groupthink: A psychological study of foreign-policy decisions and fiascoes" 1972

      20 Sabatier, P. A.,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189-217, 2007

      21 Jenkins-Smith, H. C., "The study of public policy processes" Jones and Barlett Publishers, Inc 1993

      22 Schattschneider, E. E., "The semisovereign people: A realist's view of democracy in ameri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75

      23 Nohrstedt, D., "The politics of crisis policymaking : Chernobyl and swedish nuclear energy policy" 36 (36): 257-278, 2008

      24 Nohrstedt, D., "The logic of policy change after crisis: Proximity and subsystem interaction" 1 (1): 1-32, 2010

      25 McBeth, M. K., "The intersection of narrative policy analysis and policy change theory" 35 (35): 87-108, 2007

      26 Sabatier Paul, A.,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n assessment. Theories of the policy process" 117-166, 1999

      27 Jenkins-Smith, H. C.,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n overview of the research program" 135-171, 2018

      28 Sabatier, P. A.,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 Revisions and relevance for europe" 5 (5): 98-130, 1998

      29 Jenkins-Smith, H. C., "The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 Foundations, evolution, and ongoing research" 3 : 183-224, 2014

      30 Hermann, C. F., "Some consequences of crisis which limit the viability of organizations" 61-82, 1963

      31 Rousseeuw, P. J., "Silhouettes : a graphical aid to the interpretation and validation of cluster analysis" 20 : 53-65, 1987

      32 Zafonte, M., "Short-term versus long-term coalitions in the policy process : Automotive pollution control, 1963–1989" 32 (32): 75-107, 2004

      33 Lacy, S., "Sampling error and selecting intercoder reliability samples for nominal content categories" 73 (73): 963-973, 1996

      34 Boin, A., "Public leadership in times of crisis : Mission impossible" 63 (63): 544-553, 2003

      35 Sabatier, P. A., "Policy change over a decade or more" 143-174, 1993

      36 Sabatier, P. A., "Knowledge, policy-oriented learning, and policy change : An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8 (8): 649-692, 1987

      37 Sato-Ilic, M., "Innovations in fuzzy clustering Springer" 2006

      38 Goldstein, J., "Ideas and foreign policy:Beliefs, institutions, and political chang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3

      39 Zadeh, L. A., "Fuzzy sets" 8 (8): 1965

      40 Karim, E., "Fuzzy Clustering Analysis" 2010

      41 Kaufman, L., "Finding groups in data" 1990

      42 Jenkins-Smith, H. C., "Explaining change in policy subsystems: Analysis of coalition stability and defection over time" 851-880, 1991

      43 Schmid, N., "Explaining advocacy coalition change with policy feedback" 48 (48): 1109-1134, 2020

      44 Holsti, O. R., "Crisis, stress, and decisionmaking" 23 : 53-67, 1971

      45 Holsti, O. R., "Crisis decision making. Behavior, society, and nuclear war" 1989

      46 Nohrstedt, D., "Crisis and Policy Reformcraft: Advocacy Coalitions and Crisis-Induced Change in Swedish Nuclear Energy Policy" 2007

      47 Kaid, L. L., "Content analysis, measurement of communication behavior" 1989

      48 Dudley, G., "Competing advocacy coalitions and the process of' frame reflection' : A longitudinal analysis of EU steel policy" 6 (6): 225-248, 1999

      49 STONE, D. A., "Causal stories and the formation of policy agendas" 104 (104): 281-300, 1989

      50 Kuipers, S. L., "Cast in concrete?: The institutional dynamics of belgian and dutch social policy reform" Eburon Academic Publishers 2004

      51 Szarka, J., "Bringing interests back in : Using coalition theories to explain european wind power policies" 17 (17): 836-853, 2010

      52 정주호 ; 유정호 ; 조민효, "ACMS 모형을 활용한 정책변동과정 분석: 4차 공무원연금개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12 (12): 109-139, 2017

      53 "303회 국정감사 지식경제위원회(09.23.)"

      54 "303회 국정감사 교육과학기술위원회(10.04.)"

      55 "301회 6차 법제사법위원회(06.28.)"

      56 "301회 5차 교육과학기술위원회(06.22.)"

      57 "301회 2차 법안심사소위원회(06.17.)"

      58 "301회 1차 법안심사소위원회(06.16.)"

      59 "301회 1차 교육과학기술위원회(06.13.)"

      60 "299회 4차 교육과학기술위원회"

      61 "299회 2차 법안심사소위원회(04.19.)"

      62 "299회 1차 교육과학기술위원회(04.12.)"

      63 "298회 5차 교육과학기술위원회(03.14.)"

      64 "298회 4차 지식경제위원회(03.14.)"

      65 "'日과 같은 사고' 가정해 원전 점검(종합)"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