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滄浪詩話, 詩辨》 二題 = Two subjects of discussion about Cang Lang Shi Hua·Shi Bi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279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엄우의 《청랑시화시변》은 중국문학이론사상 중요한 시론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시변>의 핵심적 내용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識'이다. 이는 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바른 견해를 강조한다. '識'은 '바른 파악'이다. 둘째는 '入神'이다. 이는 시인의 정신과 자연의 섭리가 융합한 경지이다. 장자의 '物化'나 공자의 '마음 가는 대로 해도 법도를 벗어남이 없는' 경계인 것이다. 셋째, 시는 선과 통한다는 견해이다. 선적 경지가 시적 경지를 창출해 낸다는 것이다. 여기서 詩는 왜 福과 동시에 거론되는 지를 논할 필요가 대두된다. 사실 《창랑시화 시변》의 핵심은 이 문제에 있다. 엄우의 견해를 따르면, 시인은 자신의 '생각'으로 시를 짓지 말고 '마음'으로 시를 지어야 한다. 송대의 시인은 대부분 '생각'으로 시를 지었기 때문에 부실하고, 당대의 시인은 '마음'으로 시를 지어 좋은 작품이 많은 것이다. 이는 순수의식을 통해 자연의 보이지 않는 질서를 포착한다는 禪의 이론과 같은 이치이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이런 이론은 엄우의 독창이 아니라, 그 이전에도 있었던 것이며 특히 엄우가 비판한 소식이나 황정견이 강조한 예술이론이었다. 이것이 엄우의 손에 이르러 선명하게 강조된 셈이다. 그러므로 《창랑시화시변》에 대한 깊은 이해는 중국 시학 이론이 도약하는 중요한 한 마디를 되짚어 보는 의미 있는 작업이다.
      번역하기

      엄우의 《청랑시화시변》은 중국문학이론사상 중요한 시론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시변>의 핵심적 내용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識'이다. 이는 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바른 ...

      엄우의 《청랑시화시변》은 중국문학이론사상 중요한 시론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시변>의 핵심적 내용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識'이다. 이는 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바른 견해를 강조한다. '識'은 '바른 파악'이다. 둘째는 '入神'이다. 이는 시인의 정신과 자연의 섭리가 융합한 경지이다. 장자의 '物化'나 공자의 '마음 가는 대로 해도 법도를 벗어남이 없는' 경계인 것이다. 셋째, 시는 선과 통한다는 견해이다. 선적 경지가 시적 경지를 창출해 낸다는 것이다. 여기서 詩는 왜 福과 동시에 거론되는 지를 논할 필요가 대두된다. 사실 《창랑시화 시변》의 핵심은 이 문제에 있다. 엄우의 견해를 따르면, 시인은 자신의 '생각'으로 시를 짓지 말고 '마음'으로 시를 지어야 한다. 송대의 시인은 대부분 '생각'으로 시를 지었기 때문에 부실하고, 당대의 시인은 '마음'으로 시를 지어 좋은 작품이 많은 것이다. 이는 순수의식을 통해 자연의 보이지 않는 질서를 포착한다는 禪의 이론과 같은 이치이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이런 이론은 엄우의 독창이 아니라, 그 이전에도 있었던 것이며 특히 엄우가 비판한 소식이나 황정견이 강조한 예술이론이었다. 이것이 엄우의 손에 이르러 선명하게 강조된 셈이다. 그러므로 《창랑시화시변》에 대한 깊은 이해는 중국 시학 이론이 도약하는 중요한 한 마디를 되짚어 보는 의미 있는 작업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一, 《詩辨》要義詮解
      • 1. 詩之 '識'
      • 2. 詩法與興趣
      • 3. 詩與禪
      • 4. 別材與別趣
      • 一, 《詩辨》要義詮解
      • 1. 詩之 '識'
      • 2. 詩法與興趣
      • 3. 詩與禪
      • 4. 別材與別趣
      • 二, 嚴羽論詩與蘇黃詩論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