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성에 관한 실태 분석 = Investigation over Autonomy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School Level Curriculum by Special Educational Basic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03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2012 부분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포함) 중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전국의 특수학교에서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을 살펴보는데 목...

      본 연구는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2012 부분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포함) 중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전국의 특수학교에서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 있는 특수학교 중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133개의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 하여 2014학년도 학교 교육과정을 수집하였다. 수립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립유형, 지역별, 장애유형, 학교급별 변인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 특수학교의 수업 일수는 지역별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는 시수를 기준으로 초등학교 1∼2학년군, 초등학교 3∼4학년군, 중학교군, 고등학교군 모두에서 국립학교가 공립학교, 사립학교와 비교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시수를 많이 편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군에서는 지체장애 학교가 정신지체 학교와 비교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시수를 많이 편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전 학년군에서 국어, 사회, 수학, 과학과 같은 인지적 영역의 비중이 큰 교과들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초등학교 3∼4학년군의 체육과 예술 교과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 고등학교군의 진로와 직업, 예술교과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로 기능적인 영역의 비중이 큰 교과들 간에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선택 교과의 경우 많은 학교가 2개 이상의 과목을 편성 하였으며, 대부분 기본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선택 교과의 과목을 편성하는 양상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ion over autonomy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school level curriculum by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1(and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2). A total inspection of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ion over autonomy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school level curriculum by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1(and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2). A total inspection of the 133 special schools to applied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in all parts of the country for this purpose to collect the school level curriculum in 2014. Established data were analyzed by IBM SPSS Statistics 21.0. An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post-test and correlation were analyzed by factors on type of founded, region and disabilities.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chool days of special school that organizing and implementing by basic curriculum were different depending on regional factors. Second, elementary 1st∼2nd grade group, elementary 3rd∼4th grade group, middle school group and high school group in all of them, based on the nation level curriculum, showed that nation schools were more organizing the instruction time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ompared with public schools and private schools. And the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more organizing the instruction time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ompared with the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high school group. Third, analyzed about inter-subject correlations, A large proportion of the subjects of the cognitive domain such as Korean language, Society, Mathematics and Science h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in all groups. And a large proportion of the subjects of the functional domain such as physical education, career and vocation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3rd∼4th grade group and h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and vocation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in middle school group. Fourth, Many schools were organized for more than two elective course, most schools were organized elective course by basic curriculu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특수교육원, "한국 특수학교 교육과정 변천사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994

      2 백은희, "특수학교 중·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서의 내용·체계 개발 및 타당성 검토"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391-411, 2014

      3 이미경, "특수학교 여가활용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교사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45-68, 2012

      4 원상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서 “신체표현활동”의 의미와 방향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 25 (25): 29-51, 2014

      5 정찬기오,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교과 「도형」영역의 내용체계 분석" 24 : 151-173, 2012

      6 강경숙,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39-167, 2015

      7 전병운,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각론에 대한 연구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7 (7): 139-168, 2014

      8 윤광보,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학년군 개선 방안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77-202, 2014

      9 고진복,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1-2학년군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통합교육학회 9 (9): 185-208, 2014

      10 정주영,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에 대한 초등 특수교사의 인식 -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용 도서를 중심으로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5-55, 2014

      1 국립특수교육원, "한국 특수학교 교육과정 변천사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994

      2 백은희, "특수학교 중·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서의 내용·체계 개발 및 타당성 검토"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391-411, 2014

      3 이미경, "특수학교 여가활용 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교사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45-68, 2012

      4 원상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서 “신체표현활동”의 의미와 방향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 25 (25): 29-51, 2014

      5 정찬기오,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교과 「도형」영역의 내용체계 분석" 24 : 151-173, 2012

      6 강경숙,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39-167, 2015

      7 전병운,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각론에 대한 연구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7 (7): 139-168, 2014

      8 윤광보,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학년군 개선 방안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77-202, 2014

      9 고진복,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1-2학년군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통합교육학회 9 (9): 185-208, 2014

      10 정주영,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에 대한 초등 특수교사의 인식 -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용 도서를 중심으로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5-55, 2014

      11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32호"

      12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501호"

      13 권순황,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기본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267-283, 2013

      14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적 체험활동 중·고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미래앤 2013

      15 송승민, "지체장애 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요소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93-217, 2015

      16 전병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국어 교육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과학교육연구소 52 (52): 474-488, 2013

      17 이숙정,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현황 연구" 한독교육학회 19 (19): 187-211, 2014

      18 오세웅,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기본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107-131, 2014

      19 국립특수교육원,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2

      20 국립특수교육원,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수·학습자료 개발 기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3

      21 Klein, N. K., "정신지체아 교육과정과 지도" 대구대학교 출판부 1988

      22 고진복, "정신지체 특수학교 초등학생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쓰기 영역의 수행수준 실태"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219-244, 2013

      23 홍정숙, "일본 지적장애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본 한국 기본교육과정에의 시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253-279, 2013

      24 한경근,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83-102, 2014

      25 채희태, "마이크로티칭 분석에 기초한 예비특수교사의 기본교육과정 실과 수업관찰 및 반성적 평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9 (19): 1-23, 2013

      26 도성화, "기본교육과정 체육과 교육과정 체제 변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329-350, 2014

      27 박희찬, "기본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수‧학습 방법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33-53, 2014

      28 도성화, "기본교육과정 직업 관련 교과 연계성 분석- 실과, 진로와 직업, 재활 교과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331-355, 2014

      29 탁나경,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내용에 대한 정신지체학교 사회 담당 교사의 인식 특성" 15 (15): 1-23, 2013

      30 김경신, "기본교육과정 1~2학년군 국어과와 수학과 교과서의 적용 실제와 과제" 한국발달장애학회 17 (17): 1-25, 2013

      31 강현석, "국가 교육과정 대강화의 방향과 과제: 교육과정 체제의 개정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4 (54): 221-252, 2006

      32 정희섭,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95-121, 2009

      33 정희섭,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 과정의 주요 쟁점과 향후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71-93, 2008

      34 Falvey, M. A., "Community based curriculum: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ever handicaps" Paul H-Brookes Publishing. co 1989

      35 교육과학기술부,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발표"

      36 국립특수교육원, "2015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 개정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4

      37 교육과학기술부, "2014 특수교육 통계" 2014

      38 한국특수교육총연합회, "2014 전국 특수학교 일람표"

      39 정해시, "2012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운영 실제와 과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6 (6): 1-23, 2013

      40 도성화, "2011년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교과서 수업목표 분석 -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471-492, 2014

      41 오은주,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도 및 관심수준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283-301, 2014

      42 이동원,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과학과 교과서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만족도 및 요구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23, 2014

      43 전병운,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운영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 -대전, 충남지역의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203-225, 2014

      44 김정연,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 방안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05-128, 2013

      45 고진복,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기본교육과정초등학교 국어과 성취기준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93-21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8-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6-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지체연구 -> 지적장애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연구회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4 1.71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