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수연, "현실의 비극을 거느린 향토 풍경"
2 구건서, "향토성, 서정적 시작 꾸준히"
3 한상철, "해방기 문학의 이념적 분화와 박용래의 초기 시- 오장환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81) : 217-242, 2021
4 송석홍, "청람" 제일출판사 1971
5 하유상, "인생은 눈물겹습니다" 1983
6 박용래, "우리 물빛 사랑이 풀꽃으로 피어나면" 문학세계사 1985
7 피에르 부르디외, "예술의 규칙" 동문선 1999
8 최현식, "식민지 조선의 민요, 원시와 전통의 경계: 일제 사진엽서 소재 민요의 경우" 상허학회 49 : 197-268, 2017
9 김현정, "시인 박용래-그의 삶과 문학" 소명출판 2015
10 고형진, "새로 찾은 박용래의 발표작과 미발표 유작" 31 : 2021
1 박수연, "현실의 비극을 거느린 향토 풍경"
2 구건서, "향토성, 서정적 시작 꾸준히"
3 한상철, "해방기 문학의 이념적 분화와 박용래의 초기 시- 오장환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81) : 217-242, 2021
4 송석홍, "청람" 제일출판사 1971
5 하유상, "인생은 눈물겹습니다" 1983
6 박용래, "우리 물빛 사랑이 풀꽃으로 피어나면" 문학세계사 1985
7 피에르 부르디외, "예술의 규칙" 동문선 1999
8 최현식, "식민지 조선의 민요, 원시와 전통의 경계: 일제 사진엽서 소재 민요의 경우" 상허학회 49 : 197-268, 2017
9 김현정, "시인 박용래-그의 삶과 문학" 소명출판 2015
10 고형진, "새로 찾은 박용래의 발표작과 미발표 유작" 31 : 2021
11 고형진, "박용래 시의 미학과 시적 기법" 우리어문학회 (57) : 7-36, 2017
12 장파,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2001
13 박수연, "논쟁과 구성- 전여해와 대전 지역 해방공간의 시적 정체성" 한국비평문학회 (83) : 135-156, 2022
14 염인수, "깊은 강은 흐른다" 심지 1989
15 송재영, "강아지풀" 민음사 1975
16 北原白秋, "朝鮮民謠集" 新潮社 1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