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향토적 서정의 행방- 해방기 박용래 시인 연구 - = The whereabouts of a local lyrici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5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literary contents of purely lyrical poets among the writers who acted in the liberation space of Daejeon.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is Park Yong-rae. He is a lyric poet representing the literary circles of Daejeon after liberation. He interacted with intellectuals regardless of political left and right, and internalized the historical tragedy that followed. At the same time, he was a poet under the influence of Kim So-woon. In the midst of these activities, he proved that the pure lyric poetry of modern literature was the result of bohemian tendencies. Although he had no choice, he was a poet who pursued the perfection of lyric poetry.
      번역하기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literary contents of purely lyrical poets among the writers who acted in the liberation space of Daejeon.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is Park Yong-rae. He is a lyric poet representing the literary circles of Daejeon ...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literary contents of purely lyrical poets among the writers who acted in the liberation space of Daejeon.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is Park Yong-rae. He is a lyric poet representing the literary circles of Daejeon after liberation. He interacted with intellectuals regardless of political left and right, and internalized the historical tragedy that followed. At the same time, he was a poet under the influence of Kim So-woon. In the midst of these activities, he proved that the pure lyric poetry of modern literature was the result of bohemian tendencies. Although he had no choice, he was a poet who pursued the perfection of lyric poe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대전의 해방공간에서 활동한 문인들 중 순수 서정시인들의 문학적 내용을살펴보려는 것이다. 주요 논의 대상은 박용래이다. 그는 해방 이후 대전의 문단을 대표하는 서정시인이다. 그는 정치적 좌우를 가리지 않고 지식인들과 교류했고, 그 후의 역사적 비극을 내면화했다. 이에 관련하여 그를 정치적 시인으로 해석하는 견해가 제출되었지만, 이는 서정시의 보헤미안적 특성과 대전문학의 근대문학 형성적 특징을 고려하지 않는 견해이다. 오히려 그는 김소운의 영향 속에서 서정시의 완성을 추구한 시인이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대전의 해방공간에서 활동한 문인들 중 순수 서정시인들의 문학적 내용을살펴보려는 것이다. 주요 논의 대상은 박용래이다. 그는 해방 이후 대전의 문단을 대표하는 서정시인이...

      이 논문은 대전의 해방공간에서 활동한 문인들 중 순수 서정시인들의 문학적 내용을살펴보려는 것이다. 주요 논의 대상은 박용래이다. 그는 해방 이후 대전의 문단을 대표하는 서정시인이다. 그는 정치적 좌우를 가리지 않고 지식인들과 교류했고, 그 후의 역사적 비극을 내면화했다. 이에 관련하여 그를 정치적 시인으로 해석하는 견해가 제출되었지만, 이는 서정시의 보헤미안적 특성과 대전문학의 근대문학 형성적 특징을 고려하지 않는 견해이다. 오히려 그는 김소운의 영향 속에서 서정시의 완성을 추구한 시인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연, "현실의 비극을 거느린 향토 풍경"

      2 구건서, "향토성, 서정적 시작 꾸준히"

      3 한상철, "해방기 문학의 이념적 분화와 박용래의 초기 시- 오장환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81) : 217-242, 2021

      4 송석홍, "청람" 제일출판사 1971

      5 하유상, "인생은 눈물겹습니다" 1983

      6 박용래, "우리 물빛 사랑이 풀꽃으로 피어나면" 문학세계사 1985

      7 피에르 부르디외, "예술의 규칙" 동문선 1999

      8 최현식, "식민지 조선의 민요, 원시와 전통의 경계: 일제 사진엽서 소재 민요의 경우" 상허학회 49 : 197-268, 2017

      9 김현정, "시인 박용래-그의 삶과 문학" 소명출판 2015

      10 고형진, "새로 찾은 박용래의 발표작과 미발표 유작" 31 : 2021

      1 박수연, "현실의 비극을 거느린 향토 풍경"

      2 구건서, "향토성, 서정적 시작 꾸준히"

      3 한상철, "해방기 문학의 이념적 분화와 박용래의 초기 시- 오장환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81) : 217-242, 2021

      4 송석홍, "청람" 제일출판사 1971

      5 하유상, "인생은 눈물겹습니다" 1983

      6 박용래, "우리 물빛 사랑이 풀꽃으로 피어나면" 문학세계사 1985

      7 피에르 부르디외, "예술의 규칙" 동문선 1999

      8 최현식, "식민지 조선의 민요, 원시와 전통의 경계: 일제 사진엽서 소재 민요의 경우" 상허학회 49 : 197-268, 2017

      9 김현정, "시인 박용래-그의 삶과 문학" 소명출판 2015

      10 고형진, "새로 찾은 박용래의 발표작과 미발표 유작" 31 : 2021

      11 고형진, "박용래 시의 미학과 시적 기법" 우리어문학회 (57) : 7-36, 2017

      12 장파,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2001

      13 박수연, "논쟁과 구성- 전여해와 대전 지역 해방공간의 시적 정체성" 한국비평문학회 (83) : 135-156, 2022

      14 염인수, "깊은 강은 흐른다" 심지 1989

      15 송재영, "강아지풀" 민음사 1975

      16 北原白秋, "朝鮮民謠集" 新潮社 19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