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제개발협력에서 사회자본의 형성과 여성 역량의 역할 : ‘르완다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을 사례로 =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Role of Women's Empowerment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A Case Study of the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in Rwand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09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issertation provides a critical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social capital as appli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with a focus on Western social capital discourse. Additionally, it seek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ocial capital created through the Saemaul Undo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s a Korean rural development cooperation model.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creation, activation, and enhancement of social capital in four communities—Kigarama, Gihogwe, Mushimba, and Gasharu-Raro—under the 'Rwanda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examining the fundamental contexts and condition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The theory of social capital mobiliz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reflects Western perceptions, making it challenging to rigorously consider the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the multidimensional and complex social structures and relationships at the regional level in developing countries. Instead, it general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connections and interactions, broadly encompassing various situations. This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practical realities of developing countries,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who are central to household and community livelihoods and care work, hinders an accurate reflection of these environments.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s a conceptual definition and indicators of social capital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developing country context' and the 'gender perspective' to approach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process manifest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ased on this conceptual framework, the research focuses on the actual, experiential, and concrete emergence processes on the ground to observe the unique formation process of social capital in developing countries, emphasizing the voices of female beneficiaries to identify the factor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The study conducted a multi-case analysis of the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in Rwanda's four communities, drawing upon literature review, preliminary investigation, in-depth domestic interviews, field research (on-site visits, direct observation, document collection, and in-depth international interviews), and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First, the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structure, and forms of social capital manifested in the four communities of the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in Rwanda, detailing the unique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accumulation process distinct from Western social capital. Communities participated in the Saemaul Project driven by an 'economic motivation' for the survival of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resulting in the comprehensive participation of over 90% of the residents being lifted out of poverty. Beyond alleviating absolute poverty, modern ways of thinking and acting emerged in the residents' lives, mitigating capacity poverty. Through participation in village meetings, educational training, and cooperatives organized by the Saemaul Project, residents grew as agents of regional development and experienced the strengthening of community-led local development.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Saemaul Project frequently generated interactions and everyday interactions, establishing new norms of neighbor cooperation, collective action, and mutual assistance. The Saemaul Hall served as a relational space where the activities of the residents overlapped, acting as a venue for frequent discussions, negotiations, and mediations concerning local issues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Saemaul Project. The local community developed a communication mechanism among the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Saemaul Project, including the local governments of Kamonyi and Nyamagabe, Saemaul Overseas Volunteers, village leaders, Saemaul leaders, and residents. This mechanism established an organized platform for stakeholders to continuously share updates, convey and reflect opinions, and promptly exchange information, thereby serving as a development network for the community. Communities like Gihogwe, Mushimba, and Gasharu-Raro, feeling the development progress through the Saemaul Project, began voluntarily spreading the Saemaul Project and education to nearby villages. In a post-genocide context with inherent potential violence, threats, uncertainty, instability, and fear, efforts to communicate and improve relations among neighbors laid the foundation for trust. Furthermore, reducing conflicts, illegal acts, and crimes within the community, along with accumulating reciprocal experiences in personal and commercial relationships, while not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social justice and general welfare, established a foundation of predictability,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in relationships. The emergence of savings habits and village fund in these rural Rwandan communities can be seen as a revolutionary trust phenomenon. In Gihogwe, Mushimba, and Gasharu-Raro, social capital became a crucial means for local development, with social capital elements of participation, networks, and trust being closely interconnected, reinforcing each other's roles.
      Second, the study aimed to interpret the fundamental factor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by exploring the contexts and conditions under which social capital emerged and increased in the four Rwandan communities. The social capital potential of the Rwanda Saemaul Undong ODA can be understood as the growth and empowerment of women, who are central to household and community production and reproduction. Gyeongsangbuk-do did not consciously or deliberately plan empowerment projects focusing on women, but the Saemaul education and projects induced changes in women's thinking and behavior, positioning them as key agents in economic activities and income generation. Additionally, social capital can be explained as a result of emphasizing the emergence on the ground based on the community. The Saemaul education and projects in the four communities, based on an open and flexible structure, responded to the needs and priorities of the field and the complex interactions with local members, deriving a new structure, order, and outcomes separate from the original Saemaul Undong model. As a result, the Saemaul Undong ODA was reborn as tailored education and projects for the four Rwandan communities, with rice farming projects, although not specified in the official action plan, forming an essential foundation for expanding social capital in three communities as a result of field responsiveness. Rice farming was promoted in a 'Rwandan style' suited to the local environment, climate, and situation, acting as an appropriate technology to alleviate absolute poverty. Furthermore, the emergence of social capital can be seen as resulting from the Rwanda Saemaul Undong ODA aiming for overall regional development rather than as a standalone project or program. The Saemaul Overseas Volunteers adopted a bottom-up approach from the discovery stage of the project, ensuring that the actual needs of residents in the four communities were intensively reflected in the Saemaul Project. This strategy, allowing residents to plan and execute the projects themselves, diverged from unilateral and uniform aid systems, leading to dynamic, organic, and integrated approaches that brought forth improvised measures and solutions harmonizing with the residents' living environment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highlighted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Saemaul Undong ODA in the case of Kigarama. As a settlement for immigrants, Kigarama exhibited a lack of embedded social capital compared to the other three communities. Differences i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sense of un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f Kigarama residents compared to the other communities resulted in passive participation, difficulties in government cooper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and a lack of mutual assistance or volunteer spirit among members. Furthermore, as Kigarama was the first project site for Gyeongsangbuk-do, the Saemaul Project was initiated with insufficient experience in design and execution, leading to repeated trial and error throughout the project. Particularly, unlike the other three communities, Kigarama did not pursue the rice farming project, limiting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Rwanda Saemaul Undong ODA emerged as a 'modern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four rural communities. The social capital formed through the Saemaul Undong ODA led to a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into modern individuals based on the mental enlighten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of women, emphasizing the awakening of rural community women who had been marginalized in the public economic and social spheres. The Saemaul education and projects induced women to think and act in modern ways, becoming a starting point for being recognized as agents in the modern sense. Additionally, the study captured the emergent transformation of the Saemaul Undong ODA in the four communities on-site. The social capital outcomes of the Rwanda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can be interpreted as demonstrating new value by transforming in interaction with local knowledge rather than adhering to the original model of the Saemaul Undong. This social capital continuously adapted to the unique socioeconomic environments of the field from creation to enhancement, evolving through the situations, conditions, and needs of the four communities. Particularly, the entire process of rice farming was a continuous sequence of open and dynamic processes adapting actively to the field, and the social capital activated through this dynamically led to regional development.
      This dissertation is significant in its attempt to establish a new conceptual framework of the developing country context and the gender perspective, providing a basis for the operation of social capital in causal factors, contextual relationships, and strategic conditions based on the realities of developing countries, which Western-centric social capital discourse has failed to explain. It is also valuable in extend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study of social capital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provide deep insights into meaningful regional and social phenomena from the beneficiaries' perspectives. Particularly, it identified that mental enlighten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of women, previously not considered urgent or significant in the exist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ocial capital discourse, acted as factors strengthening social capital, presenting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Lastly,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academic and practical foundation of Saemaul Undong ODA research by highlighting the emergent transformation process of Saemaul Undong ODA within the social capital discours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keywords :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Developing Country Regional Development, Social Capital, Saemaul Undong ODA, Women's Empowerment, Emergent Transformation, Rwanda, Qualitative Research
      Student Number : 2017-31457
      번역하기

      This dissertation provides a critical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social capital as appli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with a focus on Western social capital discourse. Additiona...

      This dissertation provides a critical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social capital as appli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with a focus on Western social capital discourse. Additionally, it seek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ocial capital created through the Saemaul Undo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s a Korean rural development cooperation model.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creation, activation, and enhancement of social capital in four communities—Kigarama, Gihogwe, Mushimba, and Gasharu-Raro—under the 'Rwanda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examining the fundamental contexts and condition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The theory of social capital mobiliz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reflects Western perceptions, making it challenging to rigorously consider the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the multidimensional and complex social structures and relationships at the regional level in developing countries. Instead, it general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connections and interactions, broadly encompassing various situations. This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practical realities of developing countries,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who are central to household and community livelihoods and care work, hinders an accurate reflection of these environments.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s a conceptual definition and indicators of social capital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developing country context' and the 'gender perspective' to approach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process manifest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ased on this conceptual framework, the research focuses on the actual, experiential, and concrete emergence processes on the ground to observe the unique formation process of social capital in developing countries, emphasizing the voices of female beneficiaries to identify the factor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The study conducted a multi-case analysis of the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in Rwanda's four communities, drawing upon literature review, preliminary investigation, in-depth domestic interviews, field research (on-site visits, direct observation, document collection, and in-depth international interviews), and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First, the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structure, and forms of social capital manifested in the four communities of the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in Rwanda, detailing the unique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accumulation process distinct from Western social capital. Communities participated in the Saemaul Project driven by an 'economic motivation' for the survival of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resulting in the comprehensive participation of over 90% of the residents being lifted out of poverty. Beyond alleviating absolute poverty, modern ways of thinking and acting emerged in the residents' lives, mitigating capacity poverty. Through participation in village meetings, educational training, and cooperatives organized by the Saemaul Project, residents grew as agents of regional development and experienced the strengthening of community-led local development.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Saemaul Project frequently generated interactions and everyday interactions, establishing new norms of neighbor cooperation, collective action, and mutual assistance. The Saemaul Hall served as a relational space where the activities of the residents overlapped, acting as a venue for frequent discussions, negotiations, and mediations concerning local issues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Saemaul Project. The local community developed a communication mechanism among the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Saemaul Project, including the local governments of Kamonyi and Nyamagabe, Saemaul Overseas Volunteers, village leaders, Saemaul leaders, and residents. This mechanism established an organized platform for stakeholders to continuously share updates, convey and reflect opinions, and promptly exchange information, thereby serving as a development network for the community. Communities like Gihogwe, Mushimba, and Gasharu-Raro, feeling the development progress through the Saemaul Project, began voluntarily spreading the Saemaul Project and education to nearby villages. In a post-genocide context with inherent potential violence, threats, uncertainty, instability, and fear, efforts to communicate and improve relations among neighbors laid the foundation for trust. Furthermore, reducing conflicts, illegal acts, and crimes within the community, along with accumulating reciprocal experiences in personal and commercial relationships, while not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social justice and general welfare, established a foundation of predictability,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in relationships. The emergence of savings habits and village fund in these rural Rwandan communities can be seen as a revolutionary trust phenomenon. In Gihogwe, Mushimba, and Gasharu-Raro, social capital became a crucial means for local development, with social capital elements of participation, networks, and trust being closely interconnected, reinforcing each other's roles.
      Second, the study aimed to interpret the fundamental factor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by exploring the contexts and conditions under which social capital emerged and increased in the four Rwandan communities. The social capital potential of the Rwanda Saemaul Undong ODA can be understood as the growth and empowerment of women, who are central to household and community production and reproduction. Gyeongsangbuk-do did not consciously or deliberately plan empowerment projects focusing on women, but the Saemaul education and projects induced changes in women's thinking and behavior, positioning them as key agents in economic activities and income generation. Additionally, social capital can be explained as a result of emphasizing the emergence on the ground based on the community. The Saemaul education and projects in the four communities, based on an open and flexible structure, responded to the needs and priorities of the field and the complex interactions with local members, deriving a new structure, order, and outcomes separate from the original Saemaul Undong model. As a result, the Saemaul Undong ODA was reborn as tailored education and projects for the four Rwandan communities, with rice farming projects, although not specified in the official action plan, forming an essential foundation for expanding social capital in three communities as a result of field responsiveness. Rice farming was promoted in a 'Rwandan style' suited to the local environment, climate, and situation, acting as an appropriate technology to alleviate absolute poverty. Furthermore, the emergence of social capital can be seen as resulting from the Rwanda Saemaul Undong ODA aiming for overall regional development rather than as a standalone project or program. The Saemaul Overseas Volunteers adopted a bottom-up approach from the discovery stage of the project, ensuring that the actual needs of residents in the four communities were intensively reflected in the Saemaul Project. This strategy, allowing residents to plan and execute the projects themselves, diverged from unilateral and uniform aid systems, leading to dynamic, organic, and integrated approaches that brought forth improvised measures and solutions harmonizing with the residents' living environment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highlighted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Saemaul Undong ODA in the case of Kigarama. As a settlement for immigrants, Kigarama exhibited a lack of embedded social capital compared to the other three communities. Differences i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sense of un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f Kigarama residents compared to the other communities resulted in passive participation, difficulties in government cooper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and a lack of mutual assistance or volunteer spirit among members. Furthermore, as Kigarama was the first project site for Gyeongsangbuk-do, the Saemaul Project was initiated with insufficient experience in design and execution, leading to repeated trial and error throughout the project. Particularly, unlike the other three communities, Kigarama did not pursue the rice farming project, limiting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Rwanda Saemaul Undong ODA emerged as a 'modern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four rural communities. The social capital formed through the Saemaul Undong ODA led to a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into modern individuals based on the mental enlighten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of women, emphasizing the awakening of rural community women who had been marginalized in the public economic and social spheres. The Saemaul education and projects induced women to think and act in modern ways, becoming a starting point for being recognized as agents in the modern sense. Additionally, the study captured the emergent transformation of the Saemaul Undong ODA in the four communities on-site. The social capital outcomes of the Rwanda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can be interpreted as demonstrating new value by transforming in interaction with local knowledge rather than adhering to the original model of the Saemaul Undong. This social capital continuously adapted to the unique socioeconomic environments of the field from creation to enhancement, evolving through the situations, conditions, and needs of the four communities. Particularly, the entire process of rice farming was a continuous sequence of open and dynamic processes adapting actively to the field, and the social capital activated through this dynamically led to regional development.
      This dissertation is significant in its attempt to establish a new conceptual framework of the developing country context and the gender perspective, providing a basis for the operation of social capital in causal factors, contextual relationships, and strategic conditions based on the realities of developing countries, which Western-centric social capital discourse has failed to explain. It is also valuable in extend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study of social capital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provide deep insights into meaningful regional and social phenomena from the beneficiaries' perspectives. Particularly, it identified that mental enlighten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of women, previously not considered urgent or significant in the exist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ocial capital discourse, acted as factors strengthening social capital, presenting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Lastly,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academic and practical foundation of Saemaul Undong ODA research by highlighting the emergent transformation process of Saemaul Undong ODA within the social capital discours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keywords :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Developing Country Regional Development, Social Capital, Saemaul Undong ODA, Women's Empowerment, Emergent Transformation, Rwanda, Qualitative Research
      Student Number : 2017-31457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서구의 사회자본 담론을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도구적으로 적용하며 나타나는 사회자본 이론과 실제 현상의 차이를 조명하고, 개발도상국에서 사회자본 형성의 주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국형 농촌개발 협력으로서 새마을운동 ODA를 통해 조성된 사회자본의 정체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르완다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키가라마, 기호궤, 무심바, 가샤류-라로 4개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사회자본이 창출, 활성화, 증대되는 과정을 탐구하였으며, 이러한 사회자본 형성의 주요 맥락과 조건을 본질적으로 고찰했다.
      국제개발협력에서 동원되는 사회자본 이론은 서구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어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배경과 지역 수준의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사회 구조와 관계 등을 엄격하게 고려하지 않으며, 단지 사회적 연결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일반적인 주장으로 다양한 상황을 포괄하고 있다. 특히 가정과 지역사회 생계 및 돌봄 노동의 주체인 여성의 관점에서 사회자본 논의가 분명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이러한 개발도상국의 현장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데서 기인한다. 이에 따라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에서 발현되는 사회자본 형성과정에 접근하기 위해 ‘개발도상국 맥락’과 ‘여성적 관점’에서 사회자본의 개념적 정의와 지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념적 틀을 바탕으로 개발도상국에서 나타나는 사회자본의 특수한 형성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현장의 실제적, 경험적, 구체적인 창발 과정에 주목했으며 사회자본 형성 요인을 발견하기 위해 여성 수혜자의 목소리에 집중했다. 연구는 르완다 4개 지역사회의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에 대해 문헌조사, 예비조사, 국내 심층 면담, 현지조사(현장 방문 및 직접 관찰, 기록물 수집, 해외 심층 면담), 보충 조사로 구성된 다중사례연구를 수행했다.
      첫째, 연구는 르완다의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4개 지역사회에서 발현된 사회자본의 모습과 특징, 구조를 탐색하여 서구의 사회자본과는 다른 르완다의 고유한 사회자본 형성과 축적 과정을 구체화했다. 지역사회는 나와 자녀의 생존을 위한 ‘경제적 동기’로 새마을 사업에 참여를 선택했으며, 지역사회의 총체적 참여는 전체 주민의 90% 이상을 빈곤에서 구제했다. 또한 절대적 빈곤의 해소 외에도 주민의 삶에 근대적인 사고방식과 행동이 나타나며, 역량 빈곤의 완화가 이루어졌다. 주민들은 새마을 사업을 통해 구성된 마을 회의와 교육 훈련, 협동조합에 참여하며, 지역 개발 주체로 성장하고 공동체 주도의 지역 개발을 강화하는 경험을 했다. 이어서 새마을 사업에 주민 참여는 마주침과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빈번하게 발생시키며 이전에 없었던 이웃 간 협력과 집합행동, 상호 부조의 규범 등을 구축했다. 새마을회관은 주민의 활동이 중첩되는 관계 공간으로서 새마을 사업에 참여하는 구성원 간 수시로 지역 문제에 대한 논의와 협상, 중재를 이어 나가는 장소였다. 지역사회는 카모니 및 냐마가베 지방정부, 새마을 해외봉사단, 마을지도자, 새마을지도자, 주민 등 새마을 사업에 참여하는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메커니즘을 조성했다. 이를 통해 사업 이해관계자들이 수시로 상황을 공유하고 의견을 전달 및 반영하며 정보를 즉각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조직적인 장이 마련되었으며 이는 지역사회의 개발 네트워크로 작용했다. 기호궤, 무심바, 가샤루-라로 지역사회는 새마을 사업 과정에서 지역의 발전을 체감한 후 자발적으로 인근 마을에 새마을 사업과 교육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나아가 종족 대학살 이후 잠재적 폭력과 위협, 불확실성과 불안정성, 두려움이 내재된 상황에서 이웃 간 교류와 대화를 시도하고,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며, 협력을 추구하여 신뢰의 초석을 이루었다. 또한 지역사회의 갈등 혹은 위법 행위와 범죄의 감소, 개인적·상업적 관계에서 호혜적인 경험의 축적 등은 사회 정의와 일반 복지에 이바지할 만큼은 아니나, 상호 간 예측 가능성, 안정성, 지속성을 확보하며 신뢰 관계의 토대를 마련했다. 특히 주민의 저축 습관과 마을 금고의 출현은 르완다 농촌 지역에서 획기적인 신뢰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기호궤, 무심바, 가샤루-라로 지역사회에서 사회자본은 지역 발전을 위한 주요한 수단이 되었으며, 참여, 네트워크, 신뢰의 사회자본은 밀접히 연계되어 서로의 역할을 강화했다.
      둘째, 연구는 르완다의 4개 지역사회에서 사회자본이 어떤 맥락과 조건에서 발생하고 어떻게 증대되었는지 탐구하여, 개발도상국에서의 사회자본 형성의 근본적인 요인을 해석하고자 했다. 먼저 르완다 새마을운동 ODA의 사회자본 저력은 가정과 지역사회 생산 및 재생산의 주체인 여성의 역량이 성장하며 강화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경상북도는 의식적 혹은 계획적으로 여성에 초점을 맞춘 권한 및 역량 강화 사업을 기획하지 않았지만, 새마을 교육과 사업은 여성의 사고방식과 행동 변화를 일으켜 사회경제 활동과 소득 창출의 주체로 부상하게 했다. 다음으로 사회자본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현장의 창발성을 중시한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4개 지역사회에서 새마을 교육과 사업은 개방적이고 유연한 구조를 바탕으로 현장의 수요 및 우선순위, 지역 구성원과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통해, 새마을운동 원형과는 별개의 새로운 구조와 질서, 결과를 도출했다. 이로써 새마을운동 ODA는 르완다 4개 지역사회에 맞춤형 교육과 사업으로 재탄생했으며, 그중에 벼농사 사업은 공식적 실행계획서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현장 즉응성의 결과물로서 3개 지역사회의 사회자본이 확충되는 데 궁극적인 토대를 마련했다. 벼농사는 현지의 환경과 기후, 상황에 맞추어 ‘르완다식’으로 추진되었으며 지역의 절대 빈곤을 해소하기 위한 적정 기술로 작용했다. 또한 사회자본의 출현은 르완다 새마을운동 ODA가 단독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이 아닌 지역 전반의 발전을 목표로 사업을 구성한 데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새마을 해외봉사단은 사업의 발굴 단계부터 상향식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4개 지역사회 주민의 실제 요구 사항이 새마을 사업에 집중적으로 반영되도록 했다. 이는 일방적이고 획일적인 원조 체계에서 벗어나 주민이 직접 사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유동적이고 유기적이며 통합적인 전략이었다. 이는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거주민의 생활 터전에 조화로운 즉흥적 조치와 해결책을 이끌어냈다. 반면, 연구는 키가라마의 사례에서 새마을운동 ODA의 구조적 한계에 주목했다. 키가라마 지역은 이주민 정착촌으로 3개 지역사회와 비교할 때 배태된 사회자본이 부족한 양상을 나타냈다. 카가라마 주민 구성은 사회경제적 배경,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 등 측면에서 3개 지역사회와 차이가 있었고, 이는 참여의 소극성, 정부 간 협력 및 갈등 조정의 어려움, 구성원 간 상부상조 혹은 봉사 정신의 미흡 등으로 이어졌다. 더구나 키가라마 지역은 경상북도의 첫 번째 사업 대상지로서 새마을 사업의 설계와 실행에 대한 경험이 미흡한 상태로 착수했기 때문에 사업의 전 과정에서 시행과 착오를 되풀이했다. 특히 키가라마 지역은 다른 3개 지역과 달리 벼농사 사업을 추진하지 않아 사회자본 형성에 제한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연구는 르완다 새마을운동 ODA가 4개 농촌 지역사회에서 ‘근대적 농촌 계몽 운동’으로 발현되었음을 시사한다. 새마을운동 ODA를 통해 형성된 사회자본은 여성의 정신적 계몽과 경제적 계발을 기반으로 근대적 개인으로서의 인식 전환을 이끌었으며, 이는 경제와 사회의 공적 영역에서 소외되어 있었던 농촌 지역사회 여성의 각성을 부각시켰다. 새마을 교육과 사업은 여성을 근대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유도하였으며, 근대적인 의미에서 주체로 인정받는 시발점이 되었다. 또한 연구는 새마을운동 ODA가 4개 지역사회 현장에서 창발적으로 변용되었음을 포착했다. 르완다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사회자본 성과는 새마을운동의 원형을 고수하기보다는 현지의 지역 지식과 상호작용하며 변형을 추구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발휘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자본은 창출부터 증대까지 현장의 특수한 사회경제적 환경에 맞추어 변모해 나갔으며, 4개 지역사회의 상황과 여건, 주민 필요에 적응하며 변천을 거듭했다. 특히 벼농사의 전 과정은 현장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며 발전해나가는 개방적이고 동태적인 과정의 연속이었으며 이를 통해 활성화된 사회자본은 지역의 발전을 역동적으로 이끌었다.
      본 논문은 개발도상국 맥락과 여성의 관점이라는 새로운 개념적 틀을 설정하여 서구 중심의 사회자본 논의가 설명하지 못한 개발도상국 현장에 기초한 인과적 요인, 맥락적 관계, 전략적 조건에서의 사회자본 작동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수혜자의 관점에서 의미 있는 지역적, 사회적 현상을 본질적으로 통찰하기 위해 국제개발협력의 사회자본 연구에 질적 연구 방법을 확장했다는 데에도 의미가 있다. 특히 기존의 국제개발협력 사회자본 담론에서 중대하거나 긴급한 사항으로 다루지 않았던 개발도상국 여성의 정신적 계몽과 경제적 계발이 사회자본 강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규명하여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끝으로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의 사회자본 담론 속에서 새마을운동 ODA의 창발적 변용 과정을 조명하며 새마을운동 ODA 연구의 학술적 및 실무적 저변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주요어 : 국제개발협력, 개발도상국 지역 개발, 사회자본, 새마을운동 ODA, 여성 역량, 창발적 변용, 르완다, 질적 연구
      학번 : 2017-31457
      번역하기

      본 논문은 서구의 사회자본 담론을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도구적으로 적용하며 나타나는 사회자본 이론과 실제 현상의 차이를 조명하고, 개발도상국에서 사회자본 형성의 주요 요인을 규명...

      본 논문은 서구의 사회자본 담론을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도구적으로 적용하며 나타나는 사회자본 이론과 실제 현상의 차이를 조명하고, 개발도상국에서 사회자본 형성의 주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국형 농촌개발 협력으로서 새마을운동 ODA를 통해 조성된 사회자본의 정체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르완다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키가라마, 기호궤, 무심바, 가샤류-라로 4개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사회자본이 창출, 활성화, 증대되는 과정을 탐구하였으며, 이러한 사회자본 형성의 주요 맥락과 조건을 본질적으로 고찰했다.
      국제개발협력에서 동원되는 사회자본 이론은 서구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어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배경과 지역 수준의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사회 구조와 관계 등을 엄격하게 고려하지 않으며, 단지 사회적 연결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일반적인 주장으로 다양한 상황을 포괄하고 있다. 특히 가정과 지역사회 생계 및 돌봄 노동의 주체인 여성의 관점에서 사회자본 논의가 분명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이러한 개발도상국의 현장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데서 기인한다. 이에 따라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에서 발현되는 사회자본 형성과정에 접근하기 위해 ‘개발도상국 맥락’과 ‘여성적 관점’에서 사회자본의 개념적 정의와 지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념적 틀을 바탕으로 개발도상국에서 나타나는 사회자본의 특수한 형성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현장의 실제적, 경험적, 구체적인 창발 과정에 주목했으며 사회자본 형성 요인을 발견하기 위해 여성 수혜자의 목소리에 집중했다. 연구는 르완다 4개 지역사회의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에 대해 문헌조사, 예비조사, 국내 심층 면담, 현지조사(현장 방문 및 직접 관찰, 기록물 수집, 해외 심층 면담), 보충 조사로 구성된 다중사례연구를 수행했다.
      첫째, 연구는 르완다의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4개 지역사회에서 발현된 사회자본의 모습과 특징, 구조를 탐색하여 서구의 사회자본과는 다른 르완다의 고유한 사회자본 형성과 축적 과정을 구체화했다. 지역사회는 나와 자녀의 생존을 위한 ‘경제적 동기’로 새마을 사업에 참여를 선택했으며, 지역사회의 총체적 참여는 전체 주민의 90% 이상을 빈곤에서 구제했다. 또한 절대적 빈곤의 해소 외에도 주민의 삶에 근대적인 사고방식과 행동이 나타나며, 역량 빈곤의 완화가 이루어졌다. 주민들은 새마을 사업을 통해 구성된 마을 회의와 교육 훈련, 협동조합에 참여하며, 지역 개발 주체로 성장하고 공동체 주도의 지역 개발을 강화하는 경험을 했다. 이어서 새마을 사업에 주민 참여는 마주침과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빈번하게 발생시키며 이전에 없었던 이웃 간 협력과 집합행동, 상호 부조의 규범 등을 구축했다. 새마을회관은 주민의 활동이 중첩되는 관계 공간으로서 새마을 사업에 참여하는 구성원 간 수시로 지역 문제에 대한 논의와 협상, 중재를 이어 나가는 장소였다. 지역사회는 카모니 및 냐마가베 지방정부, 새마을 해외봉사단, 마을지도자, 새마을지도자, 주민 등 새마을 사업에 참여하는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메커니즘을 조성했다. 이를 통해 사업 이해관계자들이 수시로 상황을 공유하고 의견을 전달 및 반영하며 정보를 즉각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조직적인 장이 마련되었으며 이는 지역사회의 개발 네트워크로 작용했다. 기호궤, 무심바, 가샤루-라로 지역사회는 새마을 사업 과정에서 지역의 발전을 체감한 후 자발적으로 인근 마을에 새마을 사업과 교육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나아가 종족 대학살 이후 잠재적 폭력과 위협, 불확실성과 불안정성, 두려움이 내재된 상황에서 이웃 간 교류와 대화를 시도하고,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며, 협력을 추구하여 신뢰의 초석을 이루었다. 또한 지역사회의 갈등 혹은 위법 행위와 범죄의 감소, 개인적·상업적 관계에서 호혜적인 경험의 축적 등은 사회 정의와 일반 복지에 이바지할 만큼은 아니나, 상호 간 예측 가능성, 안정성, 지속성을 확보하며 신뢰 관계의 토대를 마련했다. 특히 주민의 저축 습관과 마을 금고의 출현은 르완다 농촌 지역에서 획기적인 신뢰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기호궤, 무심바, 가샤루-라로 지역사회에서 사회자본은 지역 발전을 위한 주요한 수단이 되었으며, 참여, 네트워크, 신뢰의 사회자본은 밀접히 연계되어 서로의 역할을 강화했다.
      둘째, 연구는 르완다의 4개 지역사회에서 사회자본이 어떤 맥락과 조건에서 발생하고 어떻게 증대되었는지 탐구하여, 개발도상국에서의 사회자본 형성의 근본적인 요인을 해석하고자 했다. 먼저 르완다 새마을운동 ODA의 사회자본 저력은 가정과 지역사회 생산 및 재생산의 주체인 여성의 역량이 성장하며 강화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경상북도는 의식적 혹은 계획적으로 여성에 초점을 맞춘 권한 및 역량 강화 사업을 기획하지 않았지만, 새마을 교육과 사업은 여성의 사고방식과 행동 변화를 일으켜 사회경제 활동과 소득 창출의 주체로 부상하게 했다. 다음으로 사회자본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현장의 창발성을 중시한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4개 지역사회에서 새마을 교육과 사업은 개방적이고 유연한 구조를 바탕으로 현장의 수요 및 우선순위, 지역 구성원과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통해, 새마을운동 원형과는 별개의 새로운 구조와 질서, 결과를 도출했다. 이로써 새마을운동 ODA는 르완다 4개 지역사회에 맞춤형 교육과 사업으로 재탄생했으며, 그중에 벼농사 사업은 공식적 실행계획서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현장 즉응성의 결과물로서 3개 지역사회의 사회자본이 확충되는 데 궁극적인 토대를 마련했다. 벼농사는 현지의 환경과 기후, 상황에 맞추어 ‘르완다식’으로 추진되었으며 지역의 절대 빈곤을 해소하기 위한 적정 기술로 작용했다. 또한 사회자본의 출현은 르완다 새마을운동 ODA가 단독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이 아닌 지역 전반의 발전을 목표로 사업을 구성한 데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새마을 해외봉사단은 사업의 발굴 단계부터 상향식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4개 지역사회 주민의 실제 요구 사항이 새마을 사업에 집중적으로 반영되도록 했다. 이는 일방적이고 획일적인 원조 체계에서 벗어나 주민이 직접 사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유동적이고 유기적이며 통합적인 전략이었다. 이는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거주민의 생활 터전에 조화로운 즉흥적 조치와 해결책을 이끌어냈다. 반면, 연구는 키가라마의 사례에서 새마을운동 ODA의 구조적 한계에 주목했다. 키가라마 지역은 이주민 정착촌으로 3개 지역사회와 비교할 때 배태된 사회자본이 부족한 양상을 나타냈다. 카가라마 주민 구성은 사회경제적 배경,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 등 측면에서 3개 지역사회와 차이가 있었고, 이는 참여의 소극성, 정부 간 협력 및 갈등 조정의 어려움, 구성원 간 상부상조 혹은 봉사 정신의 미흡 등으로 이어졌다. 더구나 키가라마 지역은 경상북도의 첫 번째 사업 대상지로서 새마을 사업의 설계와 실행에 대한 경험이 미흡한 상태로 착수했기 때문에 사업의 전 과정에서 시행과 착오를 되풀이했다. 특히 키가라마 지역은 다른 3개 지역과 달리 벼농사 사업을 추진하지 않아 사회자본 형성에 제한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연구는 르완다 새마을운동 ODA가 4개 농촌 지역사회에서 ‘근대적 농촌 계몽 운동’으로 발현되었음을 시사한다. 새마을운동 ODA를 통해 형성된 사회자본은 여성의 정신적 계몽과 경제적 계발을 기반으로 근대적 개인으로서의 인식 전환을 이끌었으며, 이는 경제와 사회의 공적 영역에서 소외되어 있었던 농촌 지역사회 여성의 각성을 부각시켰다. 새마을 교육과 사업은 여성을 근대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유도하였으며, 근대적인 의미에서 주체로 인정받는 시발점이 되었다. 또한 연구는 새마을운동 ODA가 4개 지역사회 현장에서 창발적으로 변용되었음을 포착했다. 르완다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사회자본 성과는 새마을운동의 원형을 고수하기보다는 현지의 지역 지식과 상호작용하며 변형을 추구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발휘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자본은 창출부터 증대까지 현장의 특수한 사회경제적 환경에 맞추어 변모해 나갔으며, 4개 지역사회의 상황과 여건, 주민 필요에 적응하며 변천을 거듭했다. 특히 벼농사의 전 과정은 현장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며 발전해나가는 개방적이고 동태적인 과정의 연속이었으며 이를 통해 활성화된 사회자본은 지역의 발전을 역동적으로 이끌었다.
      본 논문은 개발도상국 맥락과 여성의 관점이라는 새로운 개념적 틀을 설정하여 서구 중심의 사회자본 논의가 설명하지 못한 개발도상국 현장에 기초한 인과적 요인, 맥락적 관계, 전략적 조건에서의 사회자본 작동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수혜자의 관점에서 의미 있는 지역적, 사회적 현상을 본질적으로 통찰하기 위해 국제개발협력의 사회자본 연구에 질적 연구 방법을 확장했다는 데에도 의미가 있다. 특히 기존의 국제개발협력 사회자본 담론에서 중대하거나 긴급한 사항으로 다루지 않았던 개발도상국 여성의 정신적 계몽과 경제적 계발이 사회자본 강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규명하여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끝으로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의 사회자본 담론 속에서 새마을운동 ODA의 창발적 변용 과정을 조명하며 새마을운동 ODA 연구의 학술적 및 실무적 저변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주요어 : 국제개발협력, 개발도상국 지역 개발, 사회자본, 새마을운동 ODA, 여성 역량, 창발적 변용, 르완다, 질적 연구
      학번 : 2017-31457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7
      • 제 2 절 연구 대상과 범위, 연구의 구성 12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7
      • 제 2 절 연구 대상과 범위, 연구의 구성 12
      • 1. 연구 대상과 범위 12
      • 2. 연구의 구성 1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개념적 틀 19
      • 제 1 절 이론적 배경 19
      • 1. 사회자본과 지역 발전 및 국제개발협력 19
      • 1) 서구 사회자본과 지역 발전의 속성 19
      • 2) 개발도상국 지역 발전과 사회자본의 효과 26
      • 2. 국제개발협력과 여성 담론 및 사회자본 33
      • 1) 지속가능발전과 여성 의제 33
      • 2) 여성 권한 부여와 사회자본 38
      • 제 2 절 개념적 틀 43
      • 1. 국제개발협력에서 사회자본의 의미 43
      • 1) 개발도상국의 맥락 43
      • 2) 개발도상국 여성의 관점 44
      • 2. 새마을운동 ODA에서 나타나는 사회자본의 이해 46
      • 1) 개념적 정의 46
      • 2) 개념적 지표 49
      • 제 3 장 연구 방법 54
      • 제 1 절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사례연구 54
      • 1. 국제개발협력에서의 질적 연구 54
      • 2. 다중사례연구(multiple-case study) 57
      • 제 2 절 자료의 구성 및 해석 60
      • 1. 자료의 구성 60
      • 1) 자료 구성 방법 60
      • 2) 연구참여자 선정 66
      • 2. 자료의 해석 68
      • 1) 자료 해석 단계 68
      • 2)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70
      • 제 4 장 르완다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전개 74
      • 제 1 절 르완다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배경 74
      • 1. 르완다 개관 74
      • 1) 국가 현황 74
      • 2) 국가 과제 80
      • 2. 경상북도 새마을 세계화 사업 87
      • 1) 새마을운동 ODA의 등장 87
      • 2) 새마을 세계화 사업의 동기와 특징 92
      • 제 2 절 르완다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도입과 정착 98
      • 1. 도입 98
      • 1) 사업 개요 98
      • 2) 사업 대상지 개황 104
      • 2. 정착 110
      • 1) 키가라마 110
      • 2) 기호궤 114
      • 3) 무심바 118
      • 4) 가샤루-라로 123
      • 제 5 장 르완다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사회자본 형성과 주요 요인 126
      • 제 1 절 사회자본 형성과정 126
      • 1. 생존을 위한 ‘참여’ 126
      • 1) 참여의 선택 126
      • 2) 참여의 보장 130
      • 3) 참여의 증대: 절대 빈곤의 해소 134
      • 4) 참여의 결과: 역량 빈곤의 완화 137
      • 2. 수동적 관계에서 자발적 ‘네트워크’로 142
      • 1) “어쩔 수 없이 매일 만나니까”, 마주침의 중첩 공간 142
      • 2) 주민 의사결정 메커니즘의 수립 146
      • 3) “새마을은 다 같이 일하도록 했는데, 배제하는 종족이 없었다.”, 상호부조 규범의 형성 150
      • 4) “우리처럼 잘 살 수 있도록”, 네트워크의 확산 152
      • 3. 호혜적 ‘신뢰’ 관계의 출현 155
      • 1) 공동 목표의 공유 155
      • 2) 눈에 띄게 감소한 위법 행위 157
      • 3) “이웃이 저축할 것이라는 믿음”, 마을 금고의 의미 159
      • 4. 코로나-19와 사회자본의 위기 163
      • 제 2 절 사회자본 형성의 주요 요인 167
      • 1. 여성 역량 제고와 사회자본의 육성 167
      • 1) 여성의 정신적 계몽 167
      • 2) 여성의 경제적 계발 171
      • 2. 지역사회 기반 사회자본 구현 174
      • 1) 현장의 창발적 변용 174
      • 2) 공동체 주도 지역 개발 추구 181
      • 3. 사업의 낙오와 사회자본의 약화 185
      • 1) 키가라마 이주 지역의 사회자본 속성 185
      • 2)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ODA의 한계 187
      • 4. 새마을운동 ODA에서 나타나는 사회자본의 정체성 190
      • 제 6 장 결론 194
      • 제 1 절 연구 요약 194
      • 제 2 절 연구의 함의 및 한계 201
      • 참 고 문 헌 204
      • Abstract 2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