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보 스토리텔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소셜미디어 기반 콘텐츠 창작 교과목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선행 사례를 분석하여 메타 리터러시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07704
김은정 (한양대학교)
2024
Korean
Information Storytelling ; 3PBL ; Metaliteracy ; Social Media ; Content Creation ; 정보 스토리텔링 ; 3PBL ; 메타 리터러시 ; 콘텐츠 창작 ; 소셜미디어
KCI등재
학술저널
61-8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보 스토리텔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소셜미디어 기반 콘텐츠 창작 교과목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선행 사례를 분석하여 메타 리터러시와...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보 스토리텔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소셜미디어 기반 콘텐츠 창작 교과목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선행 사례를 분석하여 메타 리터러시와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핵심 주제를 추출하여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3PBL 모델을 기반으로 커리큘럼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정보 스토리텔링 교육은 소셜미디어 플랫폼 중 콘텐츠 퍼블리싱이 쉬운 블로그를 대상으로 콘텐츠 지형과 생성 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직접 제작하고 일반 소비자들에게 공개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콘텐츠 창작 교과목과 차별성을 갖는다. 학생들은 콘텐츠 창작자로서 콘텐츠 소비자와의 소통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을 통해 콘텐츠 크리에이터로서의 새로운 정체성을 얻게 되며, 콘텐츠 창작의 기쁨과 의미를 깨닫게 된다. 이런 과정은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콘텐츠 창작을 하게 만드는 동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메타 리터러시와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융합하여 3PBL 모델 기반의 정보 스토리텔링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가 대학의 콘텐츠 창작과 연계된 융합 교육을 개발하는 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내용과 방식의 개선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ocial media-based content creation curriculum to enhance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storytelling capabilities, and its purpose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college information s...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ocial media-based content creation curriculum to enhance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storytelling capabilities, and its purpose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college information storytelling classes. The research method primarily analyzed literature and precedents to extract the core topics of metaliteracy and digital storytelling. Based on this, a curriculum applying the PBL teaching method was designed. The information storytelling educa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unique in that it is designed to allow students to learn the content landscape and creation principles of blog platforms, and to experience direct production and publishing. Students will have new experiences as content creators through education that allows them to communicate with content consumers as content creators, and realize the joy and meaning of content creation. This process will act as a driving force for students to continuously create content. This study proposed a 3PBL-based information storytelling education method by combining metaliteracy and digital storytell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ntribute to the innovation of college education.
한국 콘텐츠산업의 수도권 대 비수도권 격차문제와 정책적 대응방향
들뢰즈의 신체에 대한 사유의 관점으로 본 다큐멘터리 영화의 전복적 서사의 가능성
디지털 게임 <데이브 더 다이버>와 <거타지 설화>의 바다 영웅 서사 구조 비교
<패스트 라이브즈>, 변화된 디아스포라 서사와 그 시간적 균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