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무서비스시장 개방과 외국세무자문사제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Opening of the Korean Taxation Services Market and the Foreign Taxation Consultant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68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officially announcing the plan of pushing ahead Korea-EU FTA in May. 2007, both Korea and the US put a step into a negotiation for that in May, and on July 13, 2011 publicly made a declaration of a compromise settlement of it. And then Korea-EU FTA came into effect last July 1, 2011 provisionally. Under the Certified Tax Accountant Act(CTA Act), the Korean taxation services market is currently opened up to phase one, to US and EU countries, but the application of phase two liberalization will be expanded to include EU countries from July 2nt,2016. From then on. EU and USA CTA will be able to have access to the Korean taxationl services market, having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domestic taxation services sector.
      Taxation Service not only contributes to people’s sincere performance of liability to pay taxes and to amicable effectuation of tax administration but also has publicness to ensure rights and interests of a taxpayer, as well as its own identity as compared to other professional services.
      With no proper regard to these two facts, a scarcity of awareness of Taxation Service in South Korea considered Taxation Service as belonging to the fields of Legal or Account Services when a series of discussions for the Korea-US(Korea-EU) FTA negotiation took place, and which might damage its own originality at a large extent.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will make Taxation Service’s identity public, and investigate into the negotiation proceedings closely related to the matter of Taxation Service which in fact seemed to be put aside in the general process of FTA negotiation and several problems inherent in such a process, and look into the important matters in the follow-up measures in process of the FTA negotiation.
      When it comes to some problems ignored in the legislation process, I hope that they all will be examined in detail in a process, which might be put into effect in the future, of drawing up plans in conjunction with the FTA negotiation.It is my expectation that the discussion on the Foreign Taxation Consultant Act for the opening of Korean taxation services market would become more lively so that it contributes to the successful liberalization of the domestic taxation services market.
      번역하기

      After officially announcing the plan of pushing ahead Korea-EU FTA in May. 2007, both Korea and the US put a step into a negotiation for that in May, and on July 13, 2011 publicly made a declaration of a compromise settlement of it. And then Korea...

      After officially announcing the plan of pushing ahead Korea-EU FTA in May. 2007, both Korea and the US put a step into a negotiation for that in May, and on July 13, 2011 publicly made a declaration of a compromise settlement of it. And then Korea-EU FTA came into effect last July 1, 2011 provisionally. Under the Certified Tax Accountant Act(CTA Act), the Korean taxation services market is currently opened up to phase one, to US and EU countries, but the application of phase two liberalization will be expanded to include EU countries from July 2nt,2016. From then on. EU and USA CTA will be able to have access to the Korean taxationl services market, having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domestic taxation services sector.
      Taxation Service not only contributes to people’s sincere performance of liability to pay taxes and to amicable effectuation of tax administration but also has publicness to ensure rights and interests of a taxpayer, as well as its own identity as compared to other professional services.
      With no proper regard to these two facts, a scarcity of awareness of Taxation Service in South Korea considered Taxation Service as belonging to the fields of Legal or Account Services when a series of discussions for the Korea-US(Korea-EU) FTA negotiation took place, and which might damage its own originality at a large extent.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will make Taxation Service’s identity public, and investigate into the negotiation proceedings closely related to the matter of Taxation Service which in fact seemed to be put aside in the general process of FTA negotiation and several problems inherent in such a process, and look into the important matters in the follow-up measures in process of the FTA negotiation.
      When it comes to some problems ignored in the legislation process, I hope that they all will be examined in detail in a process, which might be put into effect in the future, of drawing up plans in conjunction with the FTA negotiation.It is my expectation that the discussion on the Foreign Taxation Consultant Act for the opening of Korean taxation services market would become more lively so that it contributes to the successful liberalization of the domestic taxation services mark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EU 양국은 2007년 5월 FTA 협상 추진을 발표하였고, 동년 5월부터 협상의 진행하면서 2009년 7월 13일 협정의 타결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며, 예정대로 2011년 7월 1일부터 잠정 발효되었다. 이에 현행 세무사법에 따라 세무서비스시장 1단계 개방내용이 미국과 EU 국가들에게 적용되고 있고, 2단계 개방내용은 2016. 7. 2.부터 EU 회원국들부터 먼저 적용될 예정이다. 이로 인해 앞으로 EU 회원국 및 미국 소속 세무사(세무법인)들이 국내법에 의한 제도적 장치(외국세무자문사제도)에 의해 국내 세무서비스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고, 이로 인해 국내 세무서비스시장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무서비스는 다른 전문서비스에 비하여 개별국가에 따라 고유한 독자성을 가지고 있으며, 납세의무의 성실한 이행과 세무행정의 원활한 수행에 이바지함과 동시에 납세자의 권익을 보장되도록 해야 하는 공공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이에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세무서비스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FTA 협상시 세무서비스를 법률서비스 또는 회계서비스 분야로 간주하여 그 독자성이 훼손할 우려가 크다.
      이에 먼저 세무서비스의 독자성 등 세무서비스분야에 대한 협상과정과 협상결과에 대한 문제점, 그리고 입법진행과정 중의 쟁점이 되었던 주요사항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입법과정에서 간과되었던 문제점들이 추후 관련 입법형성과정에서 충분히 검토되어질 수 있도록 각 쟁점별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로 인해 국내 세무서비스시장 개방에 대한 논의를 보다 활성화시키고, 세무서비스시장의 개 방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한-EU 양국은 2007년 5월 FTA 협상 추진을 발표하였고, 동년 5월부터 협상의 진행하면서 2009년 7월 13일 협정의 타결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며, 예정대로 2011년 7월 1일부터 잠정 발효되었다. ...

      한-EU 양국은 2007년 5월 FTA 협상 추진을 발표하였고, 동년 5월부터 협상의 진행하면서 2009년 7월 13일 협정의 타결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으며, 예정대로 2011년 7월 1일부터 잠정 발효되었다. 이에 현행 세무사법에 따라 세무서비스시장 1단계 개방내용이 미국과 EU 국가들에게 적용되고 있고, 2단계 개방내용은 2016. 7. 2.부터 EU 회원국들부터 먼저 적용될 예정이다. 이로 인해 앞으로 EU 회원국 및 미국 소속 세무사(세무법인)들이 국내법에 의한 제도적 장치(외국세무자문사제도)에 의해 국내 세무서비스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고, 이로 인해 국내 세무서비스시장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무서비스는 다른 전문서비스에 비하여 개별국가에 따라 고유한 독자성을 가지고 있으며, 납세의무의 성실한 이행과 세무행정의 원활한 수행에 이바지함과 동시에 납세자의 권익을 보장되도록 해야 하는 공공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이에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세무서비스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FTA 협상시 세무서비스를 법률서비스 또는 회계서비스 분야로 간주하여 그 독자성이 훼손할 우려가 크다.
      이에 먼저 세무서비스의 독자성 등 세무서비스분야에 대한 협상과정과 협상결과에 대한 문제점, 그리고 입법진행과정 중의 쟁점이 되었던 주요사항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입법과정에서 간과되었던 문제점들이 추후 관련 입법형성과정에서 충분히 검토되어질 수 있도록 각 쟁점별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로 인해 국내 세무서비스시장 개방에 대한 논의를 보다 활성화시키고, 세무서비스시장의 개 방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갑유, ""외국법자문사법"안의 주요쟁점" 국제거래법학회 15 (15): 459-468, 2006

      2 김웅희, "한․미 FTA 관련 세무서비스 개방에 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포럼 10 (10): 351-400, 2010

      3 고준성, "한·중 FTA 세무서비스 협상의 쟁점과 대응" 한국세무사회 30 (30): 2012

      4 한·미 FTA 졸속 체결에 반대하는 국회 비상시국회의 정책자문단, "한·미 FTA 협정문 분석 종합보고서" 2007

      5 고준성, "우리나라의 기타결 FTA에서의 세무서비스 시장개방 약속 분석 및 평가와 향후 대응과제" 한국세무사회 29 (29): 2011

      6 법제사법위원회, "외국법자문사법안 심사보고서" 2009

      7 법무부, "외국법자문사법 해설서"

      8 김완석, "소득세법론" 광교이택스 2007

      9 고준성, "세무서비스 시장개방에 대한 세무대리업계의 대응" 한국조세연구소 41 : 2003

      10 기획재정위원회, "세무사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서(배영식의원 대표발의, 정부제출)" 2008

      1 김갑유, ""외국법자문사법"안의 주요쟁점" 국제거래법학회 15 (15): 459-468, 2006

      2 김웅희, "한․미 FTA 관련 세무서비스 개방에 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포럼 10 (10): 351-400, 2010

      3 고준성, "한·중 FTA 세무서비스 협상의 쟁점과 대응" 한국세무사회 30 (30): 2012

      4 한·미 FTA 졸속 체결에 반대하는 국회 비상시국회의 정책자문단, "한·미 FTA 협정문 분석 종합보고서" 2007

      5 고준성, "우리나라의 기타결 FTA에서의 세무서비스 시장개방 약속 분석 및 평가와 향후 대응과제" 한국세무사회 29 (29): 2011

      6 법제사법위원회, "외국법자문사법안 심사보고서" 2009

      7 법무부, "외국법자문사법 해설서"

      8 김완석, "소득세법론" 광교이택스 2007

      9 고준성, "세무서비스 시장개방에 대한 세무대리업계의 대응" 한국조세연구소 41 : 2003

      10 기획재정위원회, "세무사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서(배영식의원 대표발의, 정부제출)" 2008

      11 문재완, "법의 세계화와 영미로펌의 세계지배: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43 (43): 2002

      12 고준성, "법무시장 개방이 법무 비용 및 법무 수요에 미치는 영향 검토" 2006

      13 한승철, "법무서비스 개방협상,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14 김형준, "법률시장 개방협상 현황과 향후과제" 법조협회 54 (54): 19-46, 2005

      15 법무부, "법률시장 개방국들의 외국변호사 관리감독제도"

      16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수석전문위원,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간의 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 검토보고서" 2008

      17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간의 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

      18 이용섭, "국제조세" 세경사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8 1.71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