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Triticum aestivum)은 제품 품질 향상과 자원 관리를 위해 효율적인 제분 공정이 필수적인 주요 작물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밀 제분 공정에서 공급 속도(F), 체 크기(S), 수분 함량(M), 템퍼링 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80450
대구 :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5
Thesis (M.A.) -- 경북대학교 대학원 , 식량안보및농업개발학과 , 2025. 2
2025
영어
633.11 판사항(23)
대한민국
iii, 60 p. : ill., charts ; 26 cm.
Thesis Advisor: 하유신.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I804:22001-00000010876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밀(Triticum aestivum)은 제품 품질 향상과 자원 관리를 위해 효율적인 제분 공정이 필수적인 주요 작물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밀 제분 공정에서 공급 속도(F), 체 크기(S), 수분 함량(M), 템퍼링 시...
밀(Triticum aestivum)은 제품 품질 향상과 자원 관리를 위해 효율적인 제분 공정이 필수적인 주요 작물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밀 제분 공정에서 공급 속도(F), 체 크기(S), 수분 함량(M), 템퍼링 시간(T)과 같은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기 위해 타구치-회색 관계 분석(Taguchi-grey relational analysis)을 적용했습니다. 이를 위해 실험은 타구치 L9 직교배열(Taguchi L9 orthogonal array)을 사용하여 설계되었습니다. 제분 과정에서 밀가루 수율(Fy), 전분 함량(Sc), 단백질 함량(Pc), 회분 함량(As)과 같은 성능 매개변수를 평가했습니다. 수분 함량, 공급 속도, 체 크기, 템퍼링 시간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중 목표 최적화를 위해 타구치-회색 관계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최적화했습니다. 타구치 신호 대 잡음(SN) 비율 분석은 "큰 값이 더 나은 경우(larger-the-better)"와 "작은 값이 더 나은 경우(smaller-the-better)" 기준을 적용하여 Fy, Sc, Pc를 최대화하고 As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매개변수 조합을 도출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공정 매개변수가 성능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분산 분석(ANOVA)을 수행했습니다. Fy, Sc, Pc, As에 대해 1차 선형 회귀 모델을 개발하고 검증했습니다. 최적 설정은 회색 관계 등급(GRG)의 가장 높은 SN 비율에 기반하여 결정되었습니다. 연구 결과, 다중 목표 최적화를 위한 최적 매개변수 설정은 공급 속도 14.58 kg/hr, 체 크기 200 µm, 수분 함량 16.10%, 템퍼링 시간 30시간으로 나타났습니다. ANOVA 결과, 응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체 크기 (71.01%) 로 확인되었으며, 이어서 수분 함량 (13.08%), 템퍼링 시간 (1.72%), 공급 속도 (1.07%) 의 순으로 기여도가 나타났습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