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시대에 대비한 남북지방자치단체간 교류협력을 위한 법이론적 고찰 = The Legal Theoretical Analysis for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포함한 통일정책은 그동안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정치권의 과제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중앙차원의 관점에서 지방차원으로 인식의 전환을 하는 ...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포함한 통일정책은 그동안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정치권의 과제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중앙차원의 관점에서 지방차원으로 인식의 전환을 하는 경우, 예컨대 남한 지방자치단체와 북한 지방행정기관의 적극적인 교류협력관계가 형성된다면, 중앙 간의 미묘한 갈등에서 벗어나 풀뿌리 차원에서 보다 자유로운 그리고 보다 일상적이고 지역적인 교류협력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서로 다른 정치체제 속에서도 남북한의 동질감을 회복하고 통일 이후의 성공적인 지방자치의 정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교류협력은 매우 유의미하다. 민주주의에 입각한 지방자치와 국민적 합의의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일부 영역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참여와 기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남북풀뿌리교류협력과 관련한 법제도적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남북풀뿌리교류협력에 관하여 직접적으로 규율하고 있는 법규정은 없다. 즉, 규범적 논의가 미진한 상태에서 정치적·정책적 필요성에 따라 남북풀뿌리교류협력이 진행될 경우, 규범과 정책 간의 갈등관계가 형성되고, 이는 한반도의 평화체제구축과 통일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장애요소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남한의 지방자치단체가 자신의 소관사항을 자기책임성을 가지고 합리적으로 필요한 범위 내에서 북한의 지방과 교류협력을 하는 것에 대하여 이를 금지하거나 규제하는 것은 남북풀뿌리교류협력의 중요성과 법이론적 고찰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한반도의 평화구축과 평화통일의 달성이라는 목표를 감안할 때, 남한의 지방자치단체가 풀뿌리교류협력을 진행함에 있어서 중앙정부와 협조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러한 협조방식은 사전협의, 조정, 정보공유, 지원 등이 있고 중요한 사안에 있어서는 거버넌스 차원에서의 협조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현재 남한의 지방자치단체는 예컨대, 개성, 평양, 의주 등과 같이 북한의 특정지역에 관심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중복·중첩의 가능성이 존재하고 그 결과 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중복이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지만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지방자치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균형성의 차원에서 빠짐없는 남북풀뿌리교류협력이 진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론한 바와 같이 남북풀뿌리교류협력은 법률유보의 적용을 받는 영역이기 때문에 남한의 지방자치단체가 풀뿌리교류협력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법률적 근거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현존하는 법령의 개정을 통하여 편입시키려는 노력과 새로운 법을 제정하는 방식이 예상되며,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관련 절차, 책임 및 중앙의 통제 등 세부적인 법적 문제를 어떻게 규율할 것인가도 문제가 된다. 즉, 국가의 기본적인 질서와 지역주민의 중요한 기본적인 권리사항임을 고려하여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명확히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아니면 법률에서는 기본적인 사항만을 규율하고 지방자치단체에게 재량의 여지를 두어 풀뿌리교류협력의 취지에 맞게 중앙 간의 미묘한 갈등에서 벗어나 풀뿌리차원에서 보다 자유로운 그리고 보다 일상적이고 지역적인 교류협력이 가능하도록 할 것인지를 검토해야 한다. 이는 비단 법학의 영역에서만 검토될 사항이 아니라 학제간 더 나아가 민관연의 통섭적 연구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nification policy,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centered on the central government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political task. However, if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ocal autonomy and natio...

      The unification policy,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centered on the central government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political task. However, if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ocal autonomy and national consensus based on democracy,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of local governments are needed in part of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If it will be formed that exchanges and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n local governments and North Korean local administration, enable more free and more routine and reg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grassroots level. It is very important that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not only for denuclearization of Korean Pennisula and peace construction but also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North Korea area after unification. Therefore, it is a urgent for legal and institutional research on Inter-Korean Grass-Roots Exchanges and Cooperation. It is possible that South Korea s local governments will pursue Inter-Korean Grass-Roots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range of autonomous affairs with principle of own responsibility. Considering importance of the Inter-Korean Grass-Roots Exchanges and Cooperation and the legal theoretical analysis, there is a need for South Korea s local governments to cooperate with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governance level. It is a necessity that legal basis in order to implement Inter-Korean Grass-Roots Exchanges and Cooperation, because Inter-Korean Grass-Roots Exchanges and Cooperation should be subject to statute reservation. In this regard, there are two different ways, for one thing is a statute revision, for another thing is making a new statute. This should be solved not only in legal research, but also in connection with other interdisciplinary fiel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언 Ⅱ. 남한 지방자치단체의 상대방 Ⅲ. 남북풀뿌리교류협력의 법·이론적 근거 Ⅳ. 남북풀뿌리교류협력의 한계 Ⅴ. 결론에 갈음하여(제언)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 Ⅰ. 서언 Ⅱ. 남한 지방자치단체의 상대방 Ⅲ. 남북풀뿌리교류협력의 법·이론적 근거 Ⅳ. 남북풀뿌리교류협력의 한계 Ⅴ. 결론에 갈음하여(제언)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5

      2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7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6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7

      5 황선훈, "행정의 형식선택 자유와 상호수용질서 체제 ― 독일의 이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6 (46): 439-468, 2018

      6 홍정선, "행정법원론(상)" 박영사 2018

      7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6

      8 김병기, "통일한국의 행정조직통합을 위한 법⋅제도적 방안" 법학연구원 39 (39): 323-368, 2015

      9 김병기, "통일과 헌법개정 ― 민족자결권과 통일절차규정을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7 (47): 113-145, 2018

      10 황선훈,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지방자치를 위한 법・정책적 과제"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8 (18): 89-131, 2018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5

      2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7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6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7

      5 황선훈, "행정의 형식선택 자유와 상호수용질서 체제 ― 독일의 이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6 (46): 439-468, 2018

      6 홍정선, "행정법원론(상)" 박영사 2018

      7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6

      8 김병기, "통일한국의 행정조직통합을 위한 법⋅제도적 방안" 법학연구원 39 (39): 323-368, 2015

      9 김병기, "통일과 헌법개정 ― 민족자결권과 통일절차규정을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7 (47): 113-145, 2018

      10 황선훈,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지방자치를 위한 법・정책적 과제"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8 (18): 89-131, 2018

      11 제성호, "통일 관련 법제와 지방자체단체의 역할 - 법제도 분석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40 (40): 411-448, 2016

      12 김충구, "충북 남북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충북개발연구원 2010

      13 송인호, "지자체 남북교류협력사업 활성화를 위한 법제 정비의 필요성" 법조협회 61 (61): 185-231, 2012

      14 김재호, "지방자치의 헌법적 보장과 조례제정" 한국지방자치법학회 6 (6): 301-324, 2006

      15 강기홍,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법제 발전 방안"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3 (13): 193-217, 2013

      16 김명연, "지방자치단체간의 협력에 의한 사무처리제도의 개선방향" 법제연구원 2000

      17 이재민, "지방자치단체가 체결하는 국제 합의서의 조약법적 고찰" 한국지방자치법학회 6 (6): 345-377, 2006

      18 신종호, "중국의 대외정책 과정에서 지방정부의 역할" EAI 2014

      19 홍정선, "신지방자치법" 박영사 2018

      20 정인섭, "신국제법강의" 박영사 2019

      21 최진욱, "북한행정론" 명인문화사 2009

      22 임도빈, "북한 지방행정기관에 대한 연구: 지방인민위원회와 협동농장경영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3 (53): 133-158, 2015

      23 이계만, "북한 지방자치단체의 구성형태 및 의결기관 분석" 10 : 2003

      24 양현모, "독일통일의 경험이 남북한 체제통합에 주는 교훈 – 행정통합을 중심으로 -," 한국행정연구원 1997

      25 심익섭, "독일통일과정에서 지방자치의 역할" 25 (25): 1992

      26 홍정선, "독일 지방자치법의 동향에 관한 연구 – 구 동독지역을 중심으로, 그리고 통일후 북한지역의 지방자치를 생각하면서 -" 2 (2): 2002

      27 박훈민, "남북교류협력법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8

      28 Maurer, "Staatsrecht Ⅰ" 2010

      29 Stein, "Staatsrecht" 2010

      30 Maunz, "Grundgesetz-Kommentar" 1990

      31 Heberlein, "Die Rechtsprechung des BVerfG und des BVerwG zur “kommunalen Außenpolitik”" 1992

      32 통계청, "2018 북한의 주요통계지표"

      33 김병기, "(구)동서독의 법적 지위와 사법공조 再論 - 남북한의 법적 지위 규명 및 통일한국의 이론적 토대 구축을 위해 -" 중앙법학회 18 (18): 117-160,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2 0.443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