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영화「오프닝 나이트 Opening Night」를 통해 본 자기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50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소비 산업사회에서 개인들은 전통적인 상징적 가치의 붕괴에 따른 의미의 상실, 공허감 속에 시달리고 있다. 그리고 또한 개인의 가치를 절대화 하면서 타인과 함께 거주하는 세계와의...

      현대 소비 산업사회에서 개인들은 전통적인 상징적 가치의 붕괴에 따른 의미의 상실, 공허감 속에 시달리고 있다. 그리고 또한 개인의 가치를 절대화 하면서 타인과 함께 거주하는 세계와의 소통적 관계가 부재한 채 자기애적 과잉 속에 깊이 빠져있다. 논문은 이러한 현대적 상황의 문제성을 자기애라는 키워드로 이해하고자 한다. 존 카사베츠 감독의 영화 「오프닝 나이트」의 여주인공 머틀이 보여주는 서사는 자기 분열로부터 자기회복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잘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그래서 이 작품을 간접 경험의 텍스트로 삼아 자기애에 대한 이해와 해석의 문제를 논문은 조명하고 있다. 프로이트는 자기애를 대상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통해 대상을 자아 속에 통합하고자 하는 생 욕동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대상에 대한 관심의 철수로부터 자기로의 퇴행을 자기애적 병리의 현상으로 이해하면서 인간들이 삶을 영위하면서 겪게되는 자기애적 상처를 또한 주목하고 있다. 논문은 죽음 욕동과 연관된 부정적 자기애의 현상과 일자로의 통합을 추구하는 생 욕동의 자기애 사이의 긴장관계로부터 인간의 자기에 대한 반성적 거리의 확보가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임을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논문은 자기애가 단순히 병리적 현상으로 바라보아야 할 문제가 아님을 주장하고 있다. 오히려 모든 인간의 탄생과 발달과정에서 자기애가 정당하게 소유되어지는 인간의 심리내적 기제라는 사실이다. 자기애의 문제는 현실 원칙, 정신분석학적 의미에서의 대상, 자기애의 중심으로서의 자아 그리고 생 욕동과 죽음 욕동의 모순적 관계 등을 복합적으로 이해해야할 개념이며 논문은 머틀이 보여주는 서사를 중심으로 이러한 개념들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of consumption. the individual suffers from the loss of the sense(direction) and the emptiness because of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symbolic value. By over-valuing the individual. they are also got by the narcissistic...

      In the contemporary society of consumption. the individual suffers from the loss of the sense(direction) and the emptiness because of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symbolic value. By over-valuing the individual. they are also got by the narcissistic expansion in the absence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which exists with the others. This article tries to understand the problematic of this contemporary situation from the concept of narcissism. The main character Myrtle in the movie Opening Night. realized by John Cassavetes in 1978. shows us the process from the split of the 'me' to its restoration. It is the narrative which does well to think about the narcissism. By taking this text as our indirect experience of therapy. we thus wonder how to seize and to interpreter the problematics around the concept 'narcissism'. Sigmund Freud took the narcissism for the fact that the 'me' unifies in the One connected to the drive of life. This one aims at the love of the object.
      But he also examined the narcissism as the retreat towards the 'm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refusal of the love of the object. We often say this pathology as narcissistic wound. Our article claims on the importance of the reflexive distance. This reflexive distance is the effort between the drive of life which aims at the unification of the ONE and the drive of death as negative narcissism. We see that the narcissism is not the pathological phenomenon. Rather that it is the universal instance which we could seize everywhere in the birth of the man and also in his development. The problematic of the narcissism was bound in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in the object in a psychoanalytical sense and in the me as the center of the narcissism. We examine this constellation of the notions around the narrative of Opening Night. In conclusion. we propose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mplexional. conflicting and even contradictory tension between the drive of life and the drive of dea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자기의 해체와 회복의 서사「오프닝 나이트」
      • 3. 자기애
      • 4. 나오며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자기의 해체와 회복의 서사「오프닝 나이트」
      • 3. 자기애
      • 4. 나오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명수, "하인즈 코헛과 자기심리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2 임말희, "천재 정신분석가 마스드 칸의 삶 : 거짓 자기" NUN 2009

      3 이윤기, "종교의 기원" 열린책들

      4 "존 카사베츠 감독. 1978.「오프닝 나이트」"

      5 윤희기, "정신분석학의 기본개념" 열린책들 1997

      6 이재훈, "정신분석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7

      7 이재훈, "자기의 회복"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6

      8 임말희, "자기심리학과 나르시시즘의 치료" NUN 2007

      9 "오손 웰즈 감독. 1941. 「시민케인」"

      10 홍준기, "슬라보이 지젝(Slavoj Zizek)의 포스트모던 문화 분석―문화적·정치적 무의식과 행위(환상을 통과하기)―" 한국현상학회 (22) : 195-224, 2004

      1 권명수, "하인즈 코헛과 자기심리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2 임말희, "천재 정신분석가 마스드 칸의 삶 : 거짓 자기" NUN 2009

      3 이윤기, "종교의 기원" 열린책들

      4 "존 카사베츠 감독. 1978.「오프닝 나이트」"

      5 윤희기, "정신분석학의 기본개념" 열린책들 1997

      6 이재훈, "정신분석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7

      7 이재훈, "자기의 회복"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6

      8 임말희, "자기심리학과 나르시시즘의 치료" NUN 2007

      9 "오손 웰즈 감독. 1941. 「시민케인」"

      10 홍준기, "슬라보이 지젝(Slavoj Zizek)의 포스트모던 문화 분석―문화적·정치적 무의식과 행위(환상을 통과하기)―" 한국현상학회 (22) : 195-224, 2004

      11 이현경, "모비딕" 대교출판 2003

      12 김명희, "늑대인간" 열린책들 1996

      13 Jean, Laplanche, "Vocabulaire de la Psychanalyse" PUF 1967

      14 Christopher, Lasch, "The Culture of Narcissism" Northon 1978

      15 André, Gardies, "Scène ou régime scénique. in: Cinéma et théâtralité" Hachette 1994

      16 André, Green, "Narcissisme de vie, narcissisme de mort" Les éditions de Minuit 2007

      17 Thierry, Jousse, "John Cassavetets" Cahiers du cinéma 1989

      18 Tom, Charity, "John Cassavetes : Lifeworks" Omnibus Press 2001

      19 Richard, Combs, "As times goes by. in: American independent cinema : A sight and Sound Reader" British film institute cop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