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과 희망 직업 및 진로분야와의 관계: 공무원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Future Hopes of Undergraduate Entrants : Focusing on the public serva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92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future hopes of undergraduate entrants.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ollege institutions and instructors to be able to positively intervene in sett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future hopes of undergraduate entrants.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ollege institutions and instructors to be able to positively intervene in setting the future hopes for the entrants. Particularly, previous research indicated that entrants who wanted to become a civil servant had been inclined to have insufficient specificity of career planning compared to other hopes. The 3,147 data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collected by a survey of the core competency diagnostic stud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were as follows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ethod by designating the public servant as reference group.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uture hope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college of the entrants. Second,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in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hopes. Third, the entrants who wished for the public servant had lower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than those who dreamed other care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the creative thinking that can be achieved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as a strategy to positively intervene in planning certain future for entra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이 희망하는 직업 및 진로분야와 핵심역량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K대학교 2019학년도 신입생의 핵심역량 진단 결과와 직업 및 진로분야 설문을 바탕으로 변인을 구성...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이 희망하는 직업 및 진로분야와 핵심역량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K대학교 2019학년도 신입생의 핵심역량 진단 결과와 직업 및 진로분야 설문을 바탕으로 변인을 구성하고, 기술통계 및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타 직업 및 진로분야에 비해 진로 설정의 구체성이 부족한 6-9급 공무원을 참조집단(reference group)으로 정하고, 대학 교육과정 진입 전 신입생의 핵심역량과 선호하는 직업 및 진로분야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과 교수자가 대학 신입생의 직업 및 진로탐색에 긍정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신입생의 성별과 단과대학에 따라 희망직업 및 진로분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희망 직업 및 진로분야에 따라서 핵심역량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6-9급 공무원을 희망하는 신입생의 경우 다른 진로를 희망하는 신입생보다 창의적 사고역량이 공통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신입생의 직업 및 진로탐색과 계획수립에 긍정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전략으로 대학 교육과정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창의역량 강화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화, "핵심역량 기반 융합교육을 위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향 비교" 교육종합연구소 13 (13): 1-24, 2015

      2 이정은, "진로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001-1027, 2016

      3 박성미, "직업능력의 요소로서 핵심역량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327-351, 2011

      4 권정숙, "역량 진단검사 기반 교수법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방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359-367, 2018

      5 김정숙, "여자 대학생의 직업인식과 직업선택 과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6 진미석,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05-127, 2013

      7 이경화, "범교과에서의 창의인성 수업 모델 및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18-23, 2011

      8 오진, "대학졸업자의 공무원 취업 결정요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9 이숙정,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미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119-139, 2013

      10 고길곤, "대학생의 직업선택동기와 공직동기" 한국행정연구소 48 (48): 339-368, 2010

      1 이경화, "핵심역량 기반 융합교육을 위한 대학생의 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향 비교" 교육종합연구소 13 (13): 1-24, 2015

      2 이정은, "진로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001-1027, 2016

      3 박성미, "직업능력의 요소로서 핵심역량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327-351, 2011

      4 권정숙, "역량 진단검사 기반 교수법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방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359-367, 2018

      5 김정숙, "여자 대학생의 직업인식과 직업선택 과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6 진미석,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05-127, 2013

      7 이경화, "범교과에서의 창의인성 수업 모델 및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18-23, 2011

      8 오진, "대학졸업자의 공무원 취업 결정요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9 이숙정,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미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119-139, 2013

      10 고길곤, "대학생의 직업선택동기와 공직동기" 한국행정연구소 48 (48): 339-368, 2010

      11 박동열,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225-245, 2006

      12 이수진, "대학생들의 공직진로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13 진미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461-486, 2011

      14 진미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사례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2

      15 손유미, "대학생 핵심역량 지원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과학기술부 2015

      16 전은화, "대학생 핵심 역량 기반의 진로 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293-318, 2015

      17 박숙희, "대학생 창의인재역량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31-57, 2014

      18 장계영,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9 강미영, "대학생 대상 역량기반 진로교과목 운영의 효과" 한국취업진로학회 5 (5): 1-27, 2015

      20 김대중,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핵심역량교육학회 2 (2): 23-45, 2017

      21 서금택, "대학 핵심역량과 학과 전공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사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63-173, 2019

      2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대학 진로교육 현황조사"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23 이애화, "국내 대학생 핵심역량과 그 진단도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0 (30): 561-588, 2014

      24 유현숙,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연구 Ⅰ" 한국교육개발원 2002

      25 조규형, "국가공무원 지원자의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7급 및 9급 공무원 지원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97-118, 2016

      26 김상묵, "공직 선택동기와 공무원의 행태" 677-693, 2005

      27 경기대학교, "경기대학교 재학생 핵심역량 조사 연구: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혁신처 2018

      28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 1996

      29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30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3-427, 2011

      31 Cacioppe, R., "A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Work Experience in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37 (37): 923-940,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