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현진, "해방기 박인환 시의 모더니즘 특성 연구 - 『新詩論』 제1집과 『새로운 都市와 市民들의 合唱』을 중심으로 -" 우리문학회 (52) : 307-343, 2016
2 이승훈, "한국모더니즘 시사" 문예출판 2000
3 문옥배, "한국 금지곡의 사회사" 예솔 2011
4 서동욱, "차이와 타자" 문학과 지성사 2000
5 김승희, "전후 시의 언술 특성 : 애도의 언어와 우울증의 언어 - 박인환·고은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23) : 123-152, 2008
6 김용희, "전후 센티멘털리즘의 전위와 미적 모더니티 -박인환의 경우-" 우리어문학회 (35) : 301-329, 2009
7 박현수, "전후 비극적 전망의 시적 성취-박인환론" 국제어문학회 (37) : 127-162, 2006
8 김종윤, "전쟁체험과 실존적 불안의식-박인환론" 현대문학연구학회 7 : 1996
9 김지선, "오장환·박인환의 ‘시선의 미학’ 고찰" 한국비평문학회 (43) : 71-100, 2012
10 자크 데리다, "에쁘롱-니체의 문장들" 동문선 1997
1 공현진, "해방기 박인환 시의 모더니즘 특성 연구 - 『新詩論』 제1집과 『새로운 都市와 市民들의 合唱』을 중심으로 -" 우리문학회 (52) : 307-343, 2016
2 이승훈, "한국모더니즘 시사" 문예출판 2000
3 문옥배, "한국 금지곡의 사회사" 예솔 2011
4 서동욱, "차이와 타자" 문학과 지성사 2000
5 김승희, "전후 시의 언술 특성 : 애도의 언어와 우울증의 언어 - 박인환·고은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23) : 123-152, 2008
6 김용희, "전후 센티멘털리즘의 전위와 미적 모더니티 -박인환의 경우-" 우리어문학회 (35) : 301-329, 2009
7 박현수, "전후 비극적 전망의 시적 성취-박인환론" 국제어문학회 (37) : 127-162, 2006
8 김종윤, "전쟁체험과 실존적 불안의식-박인환론" 현대문학연구학회 7 : 1996
9 김지선, "오장환·박인환의 ‘시선의 미학’ 고찰" 한국비평문학회 (43) : 71-100, 2012
10 자크 데리다, "에쁘롱-니체의 문장들" 동문선 1997
11 한병철, "에로스의 종말" 문학과지성사 2005
12 조혜진, "아토포스적 타자성으로서의 사랑의 시학 - 김소월 시에 나타난 아토포스적 타자성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55) : 69-104, 2017
13 이재영, "아름다움의 구원" 문학과지성사 2016
14 박인환, "박인환전집" 실천문학사 2008
15 최라영, "박인환의 시와 W.H. 오든의 『불안의 연대 The Age of Anxiety』의 비교문학적 연구- ‘로제타’의 변용과 ‘불행한 신’의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회 (78) : 165-209, 2018
16 박몽구, "박인환의 도시시와 1950년대 모더니즘" 한중인문학회 (22) : 131-160, 2007
17 전병준, "박인환과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신의 의미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107-132, 2013
18 윤석산, "박인환 평전" 모시는 사람들 2003
19 박인환, "박인환 전집" 예옥 2006
20 이동하, "박인환 전집" 문학세계사 1986
21 이재훈, "박인환 시의 현실인식과 사상성 연구" 한국문예창작학회 6 (6): 85-108, 2007
22 정영진, "박인환 시의 탈식민주의 연구" 상허학회 15 : 387-417, 2005
23 전병준, "박인환 시의 멜랑콜리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0 (20): 293-318, 2019
24 라기주, "박인환 시에 나타난 불안의식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6) : 81-110, 2015
25 박인환, "박인환 시선"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8
26 이소영, "박인환 시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4) : 243-268, 2004
27 박인환, "박인환 문학전집1 : 시" 소명출판 2015
28 맹문재, "박인환 깊이 읽기" 서정시학 2006
29 이동하, "박인환" 문학세계사 1993
30 조혜진, "문화 제국주의의 기원에 대한 ‘분열’의 시 쓰기-1920년대 낭만주의 시의 타자성 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4) : 95-118, 2007
31 자크 데리다, "목소리와 현상" 인간사랑 2006
32 에드워드 사이드, "말년의 양식에 관하여" 마티 2012
33 장 자크 루소, "나는 이렇게 루소가 되었다 : 아포리즘으로 읽는 루소의고백록" 아름다운날 2016
34 김인순, "꿈의 해석" 열린책들 1997
35 조영복, "근대 문학의 ‘도서관 환상’과 ‘책’의 숭배 - 박인환의 「서적과 풍경」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23) : 345-375, 2008
36 김성도, "그라마톨로지" 민음사 2010
37 강계숙, "‘불안’의 정동, 진리, 시대성 : 박인환 시의 새로운 이해" 한국문학연구학회 (51) : 431-469, 2013
38 오세영, "20세기 한국시연구" 새문사 1989
39 곽명숙, "1950년대 모더니즘의 묵시록적 우울 - 박인환의 시를 중심으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59-79, 2009
40 조혜진, "1930년대 모더니즘 시의 타자성 연구 : 김기림, 이상, 백석 시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