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10∼1920년대 전반 ‘평화’ 논의의 전개와 성격 =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 of “Peace” Theory in the 1910s and early 1920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62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theory of peace took place against the background of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1910s and the early 1920s. Discussions on peace in the 1910s can be found mainly through media outside Korea. The imperialism’s logic of pea...

      In Korea, theory of peace took place against the background of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1910s and the early 1920s. Discussions on peace in the 1910s can be found mainly through media outside Korea. The imperialism’s logic of peace was criticized as Japan promoted ‘Peace in East Asia’ while participating in World War I. The Koreans criticized the peace spoken by the imperial powers. Then, from the standpoint of the weak, peace discussion criticized imperialism. In a situation where ‘peace’ was discussed after the end of World War I, Koreans insisted that Korean independence was essential for world peace, which was shown as the idea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addition, the theory of peace was developed amidst the theory of reformation to establish a different order than before the war. Koreans criticized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discussing peace and insisted on the war of independence for ‘real peace’. In the reality that Korea is not recognized as a ‘nation state’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 ‘war of independence’ for ‘peace’ was also presented as a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ak, ‘real peace’ was a resistance to defending their rights. In addition, against the background of criticism of the powers’ nationalism, the theory of peace was developed to criticize the reality that the subject of ‘world peace’ is a national state recognized by the powers of imperialism. The Washington system, established as a result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caused anxiety about war in Korea, and the Koreans continued to seek ‘resistance peace’ by asking specific questions about pe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10∼1920년대 전반 조선에서 평화에 대한 논의는 국제정세 변동을 배경으로 전개되었다. 1910년대의 평화 논의는 주로 국외 조선인 언론을 통해서 검토했는데, 일본이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

      1910∼1920년대 전반 조선에서 평화에 대한 논의는 국제정세 변동을 배경으로 전개되었다. 1910년대의 평화 논의는 주로 국외 조선인 언론을 통해서 검토했는데, 일본이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며 ‘동양 평화’를 선전한 것과 같은 제국주의의 평화 논리가 비판되었다. 식민지 조선인은 제국 열강이 말한 평화를 비판했으며 약자의 입장에서 제국주의를 비판하는 평화론을 전개해 나갔다. 1차대전 종전 후 ‘평화’가 논의되는 상황에서 조선인은 세계평화를 위해서는 조선 독립이 필수라고 주장했으며, 이는 3․1운동의 사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쟁 전과 다른 질서를 수립하려는 개조론 속에서 평화론이 전개되었다. 국제 정치에서 ‘국가’로 조선이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에서, ‘진정한 평화’를 위한 ‘전쟁’ 또한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약자의 입장에서 ‘진정한 평화’ 란 스스로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저항이었다. 또한 열강의 국가주의에 대한 비판을 배경으로, ‘세계평화’의 주어가 제국주의 열강이 인정한 민족국가라는 현실을 비판하는 평화 논의가 전개되었다. 국제회의의 결과 수립된 워싱턴 체제는 조선에 전쟁에 대한 불안을 야기했는데, 조선인들은 평화에 대한 구체적인 물음을 던지며 ‘저항하는 평화’를 계속해서 모색해 나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지광"

      2 사카이 다카시, "폭력의 철학" 산눈 2007

      3 요한 갈퉁,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2000

      4 빌헬름 얀센,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푸른역사 2010

      5 "조선일보"

      6 허수,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개조론의 확산과 한국 지식인"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37-54, 2009

      7 반병률, "일제 초기 독립운동노선논쟁-급진론과 완진론"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5 (5): 2011

      8 박현숙,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와 세계 평화" 한국미국사학회 33 : 149-190, 2011

      9 고정휴, "워싱턴회의(1921-22)와 한국민족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5 : 155-201, 2003

      10 임경석, "워싱턴회의 전후 한국 독립운동 진영의 대응" 대동문화연구원 (51) : 275-304, 2005

      1 "학지광"

      2 사카이 다카시, "폭력의 철학" 산눈 2007

      3 요한 갈퉁,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2000

      4 빌헬름 얀센,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푸른역사 2010

      5 "조선일보"

      6 허수,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개조론의 확산과 한국 지식인"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37-54, 2009

      7 반병률, "일제 초기 독립운동노선논쟁-급진론과 완진론"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5 (5): 2011

      8 박현숙,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와 세계 평화" 한국미국사학회 33 : 149-190, 2011

      9 고정휴, "워싱턴회의(1921-22)와 한국민족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5 : 155-201, 2003

      10 임경석, "워싱턴회의 전후 한국 독립운동 진영의 대응" 대동문화연구원 (51) : 275-304, 2005

      11 한정선, "오만한 일본, 불안한 제국: 다이쇼 시대(1912~1926) 일본의 국가정체성 변화와 대외정책" 일본연구소 11 (11): 248-277, 2019

      12 윤영실, "식민지의 민족자결과 세계민주주의" 한국현대문학회 (51) : 53-108, 2017

      13 최우석, "식민지 조선인의 제1차 세계대전 인식과 3・1운동" 수선사학회 (70) : 161-189, 2019

      14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선언서’"

      15 김숭배, "베르사유평화체제의 ‘보편적 표준’과 한국과 일본의 이몽(異夢): 민족자결원칙과 국제연맹규약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2 (52): 37-68, 2012

      16 "매일신보"

      17 "동아일보"

      18 "독립신문"

      19 단재신채호전집편찬위원회, "단재 신채호전집제5권"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20 김기승, "나라사랑 독립정신 학술논문집 1" 국가보훈처 2005

      21 "개벽"

      22 박환무, "日本の朝鮮統治と國際關係-朝鮮の獨立運動と米國1910~1922" 일조각 2008

      23 백승덕, "‘비폭력의 스펙터클’을 넘어서―3·1운동 100주년의 폭력론" 역사문제연구소 (129) : 36-62, 2019

      24 권보드래,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돌베개 2019

      25 최우석, "3ㆍ1운동의 마지막 만세시위 검토" 수선사학회 (67) : 191-223, 2019

      26 한국역사연구회, "3․1운동 100년 1∼5" 휴머니스트 2019

      27 윤해동, "3·1운동의 폭력과 비폭력Ⅰ- ‘폭력성’에 대한 거시적 접근 -" 한국사학회 (133) : 503-546, 2019

      28 장인성, "3·1운동의 정치사상에 나타난 ‘정의’와 ‘평화’" 대동문화연구원 (67) : 435-477, 2009

      29 고정휴, "3·1운동의 기억 -비폭력·평화의 관점에서 자료 다시 읽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6) : 5-42, 2019

      30 이지원, "3·1 운동기의 ‘평화’사상: 조소앙과 한용운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41 (41): 39-66, 2018

      31 조진구, "20세기의 전쟁과 평화" 연암서가 2016

      32 허수, "20세기 초 한국의 평화론" 역사문제연구소 (106) : 37-68, 2014

      33 신효승, "20세기 초 국제 정세 변동과 한인 무장 독립운동" 연세대학교 2018

      34 권민주,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국제협조주의 비판 : 워싱턴체제 논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35 이태훈, "1910~20년대 초 제1차 세계대전의 소개양상과 논의지형" 한국사학회 (105) : 187-228, 2012

      36 전상숙, "'평화'의 적극적 의미와 소극적 의미 - 3∙1운동기 심문조서에 드러난‘민족대표’의 딜레마 -" 한림과학원 (4) : 35-61,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6 1.812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