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본 탈북청소년 교육방법적용과 방향성 고찰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Youth Education in the Aspect of North Korean Educational Asp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225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탈북청소년을 대상 한 교육방법적용과 방향성 고찰을 통해 탈북청소년이 남한사회에서 적응을 넘어 세계시민으로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

      이 글은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탈북청소년을 대상 한 교육방법적용과 방향성 고찰을 통해 탈북청소년이 남한사회에서 적응을 넘어 세계시민으로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탈북청소년은 분단 상황이라는 우리사회의 특수한 위 치에서 상이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는 소외계층이다. 지금까지 이들에 대한관점은 사회의 지원이 필요한 대상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이제는 남한사회 적응을 넘어 사회구성원의 능동적 사회주체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세계시민교 육은 세계시민의 역할을 강조하는 실천 행동적 교육으로 탈북청소년의 자발적이며능동적 주체로서 국가정체성 형성을 돕는 교육적 가능성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인 TOE(Through Other Eyes)의 4가지 학습을 제시하여 탈북청소년 교육방법적용과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그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탈북청소년의 세계시민 교육지원체계가 구축이 요구된다. 둘째 사회 구성원으로, 세계의 시민으로 글로벌 이슈에 대해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동참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셋째 새로운 문화와 공간의 이해, 새로운 시각과 관점을 함양하는 교육, 새로운 체제에 대한 교육에 있어 다양한수업 모형과 기법이 활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탈북청소년의 세계시민교육 관점의 교육방법적용과 방향성 제공에 있어 그들을 우리사회 구성원이자 세계시민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 that North Korean youths of refugee will be able to adapt to the global community as a global citizen through considering the educational direction and application method. North Korean defecto...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 that North Korean youths of refugee will be able to adapt to the global community as a global citizen through considering the educational direction and application method. North Korean defectors have long been regarded as the underprivileged in a speci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is viewpoint can be regarded as an active social subject of a society member or a person who needs social support. The global citizen education suggests educational possibility to help the development of national identity as a voluntary and active subjec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erms of dynamic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role of citizens of the world. Therefore, we adopted four learning methods of TOE (Through Other Eyes), a global citizen education learning program,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North Korean youth education. The proposal is as follows. First, a global citizen education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cultivate the ability to be equipped as a global citizen. Second, as a member of the global community,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recognize and actively participate as the global citizen in global issues. Third, various teaching models and techniques should be utilized in understanding new cultures and spaces, developing new perspectives and perspectives, and teaching new system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viewers from as a member of North Korean citizens to a new member of citizens of the worl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이론적 배경
      • Ⅲ. 탈북청소년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재구성 과정
      • Ⅳ. 탈북청소년의 세계시민교육 교육방법적용
      • Ⅴ. 나오며
      • Ⅰ. 들어가며
      • Ⅱ. 이론적 배경
      • Ⅲ. 탈북청소년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재구성 과정
      • Ⅳ. 탈북청소년의 세계시민교육 교육방법적용
      • Ⅴ. 나오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희, "호주사회의 국제난민을 둘러싼 다문화담론과 난민 이주민을 위한 교육" 한국성인교육학회 15 (15): 209-237, 2012

      2 Giddens, A., "현대 사회학" 을유문화사 2011

      3 정기선,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국제비교연구: 자격요건 평가를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19 (19): 45-72, 2011

      4 박환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5 이민경,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83-104, 2008

      6 전희옥, "학교 문화교육에서 세계시민 교육 내용요소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123-146, 2006

      7 "통일부홈페이지"

      8 박형빈, "통일교육에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윤리교육학회 (31) : 213-235, 2013

      9 이용을, "탈북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사회학회 5 (5): 107-131, 2015

      10 김신희, "탈북청소년의 시민성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13

      1 김진희, "호주사회의 국제난민을 둘러싼 다문화담론과 난민 이주민을 위한 교육" 한국성인교육학회 15 (15): 209-237, 2012

      2 Giddens, A., "현대 사회학" 을유문화사 2011

      3 정기선,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국제비교연구: 자격요건 평가를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19 (19): 45-72, 2011

      4 박환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197-227, 2016

      5 이민경, "한국사회의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서구 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83-104, 2008

      6 전희옥, "학교 문화교육에서 세계시민 교육 내용요소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123-146, 2006

      7 "통일부홈페이지"

      8 박형빈, "통일교육에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윤리교육학회 (31) : 213-235, 2013

      9 이용을, "탈북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사회학회 5 (5): 107-131, 2015

      10 김신희, "탈북청소년의 시민성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13

      11 김신희, "탈북청소년의 국가정체성" 2014

      12 조정아, "탈북청소년의 경계 경험과 정체성 재구성" 통일연구원 2014

      13 권효숙, "탈북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의 적응교육 :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3 (33): 89-120, 2006

      14 조영하, "탈북청소년들의 지구시민의식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5-27, 2015

      15 박명숙, "탈북청소년 학교적응교육을 위한 과학과 교수·학습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6 윤혜순, "탈북청소년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25-149, 2014

      17 신두철, "탈북청소년 대상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6

      18 윤인진,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 문제" 39 (39): 79-87, 2004

      19 윤인진, "탈북자문제의 실태와 분석 : 탈북과 사회적응의 통합모색" 39 (39): 3-31, 2000

      20 조정아, "탈북이주민의 학습경험과 정체성 재구성" 통일연구원 19 (19): 175-212, 2010

      21 최윤정, "탈북이주민을 위한 문화교육의 한 방향 - <단군신화>·<주몽신화>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9) : 67-107, 2014

      22 최정은, "탈북여성의 민주시민의식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14

      23 최대석, "탈북대학생들의 국가정체성 형성과 변화" 북한연구학회 14 (14): 215-240, 2010

      24 오원환, "탈북 청년의 정체성 연구 : 탈북에서 탈남까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25 허혜경, "청년발달" 학지사 2010

      26 나영선, "지식강국건설을 위한 국가인적자원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27 박정서, "정치사회화 이론에 근거한 탈북자 시민성 연구와 시민교육에의 함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89-105, 2012

      28 정진웅, "적응'을 넘어서: 탈북 청소년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열린교육학회 12 (12): 179-194, 2004

      29 손병노, "일반사회교육의 정체성 모색"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학교육연구소 2010

      30 신난희, "이주민을 위한 시민교육이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탈북이주여성을 위한 참정권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54 (54): 47-69, 2015

      31 통일부, "우리생활 길라잡이"

      32 통일부, "언어생활"

      33 김윤나, "시민청소년관점에서의 북한이탈청소년 지원정책 및 서비스 방향"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7-46, 2010

      34 남지민, "시민권의 관점에서 본 결혼이주여성 정책 방안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7

      35 Heater, D., "시민 교육의 역사" 한울아카데미 2007

      36 권효숙, "세계화시대의 정체성과 사회과 인류학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107-128, 2003

      37 이병천, "세계화시대 시민국가와 다중적 시민 정치를 위하여" 5 (5): 34-41, 2004

      38 서태열, "세계화, 국가정체성 그리고 지역정체성과 사회과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5-29, 2004

      39 배영주, "세계시민의 역할 과제를 중심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의 재구상"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45-167, 2013

      40 정우탁, "세계시민교육이란 무엇인가?" 1 (1): 9-30, 2015

      41 성열관,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의 보편적 핵심 요소와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37 (37): 109-130, 2010

      42 손경원, "세계 시민성의 진단과 시민윤리 교육적 함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4) : 121-144, 2014

      43 노혜정, "세계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세계 지리 교과서 다시 읽기: 미국 세계 지리 교과서 속의‘한국’" 대한지리학회 43 (43): 154-169, 2008

      44 신미식, "새터민의 민주시민교육과 평생교육의 역할" 4 (4): 79-107, 2011

      45 장문강,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다문화교육 관점을 중심으로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9) : 195-234, 2008

      46 이희영, "새로운 시민의 참여와 인정투쟁 -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 구성에 대한 구술 사례연구" 한국사회학회 44 (44): 207-241, 2010

      47 조정아, "북한주민의 의식과 정체성: 자아의 독립, 국가의 그늘, 욕망의 부상" 통일연구원 2010

      48 송영민,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사회 적응과 여가와의 관계" 한국관광연구학회 27 (27): 97-113, 2013

      49 노희숙, "북한이탈주민의 학습경험을 통한 의미관점 전환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2

      50 정정애, "북한이탈주민의 탈북동기와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2 (22): 215-248, 2013

      51 유시은, "북한이탈주민의 의식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남한 입국 3년 된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국가관리연구원 16 (16): 67-120, 2012

      52 신두철, "북한이탈주민의 시민교육과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한국시민윤리학회 24 (24): 97-113, 2011

      53 전영선,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문" 선인 2012

      54 조인묵, "북한이탈주민의 민주시민교육 경험을 통한 삶의 관점 변화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9 (19): 271-293, 2015

      55 이재민,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3) : 61-84, 2008

      56 안혜영,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과 사회복지적 대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57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편람" 2014

      58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정착 실태와 과제" 1-11, 2015

      59 유병선, "북한이탈주민 민주시민교육의 내용과 문제점" 13 (13): 87-100, 2012

      60 김경준, "북한이탈 청소년 종합대책 연구 I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61 김도태, "북한 이탈주민의 시민교육 내용과 문제점" 29 (29): 1-18, 2012

      62 정진곤, "북한 이탈 학생들의 의식과 사고방식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4 (4): 79-97, 2011

      63 김주삼, "북한 이주민 정착지원제도 개선방안" 4 (4): 165-191, 2004

      64 조상식, "민주시민교육의 교육 이론적 지평"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3 (23): 209-228, 2009

      65 Giles, J., "문화학습" 동문선 2003

      66 노찬옥, "다원주의 시대의 세계시민 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207-224, 2004

      67 정용교, "다문화시대 세계시민교육의 현황과 대안모색: 사회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 (20): 109-123, 2013

      68 최원오, "다문화사회와 탈북이주민: 디아스포라적 관점의 적용을 통한 이해" 인문학연구원 54 : 257-285, 2012

      69 최병두, "다문화사회와 지구⋅지방적 시민성 : 일본의 다문화공생 개념과 관련하여" 한국지역지리학회 17 (17): 181-203, 2011

      70 이태주, "다문화사회와 시민교육" 2007

      71 강순원, "다문화사회 세계시민교육의 평생교육적 전망"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69-91, 2010

      72 류성창, "다문화․탈북 학생들의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 교육부 131-, 2015

      73 이민경, "다문화 사회에서의 시민성 교육: 세계시민성과 환대의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26 (26): 115-136, 2013

      74 신미녀,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상호인식-남한사회정착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5 (5): 119-143, 2009

      75 정하윤,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통합과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13 (13): 51-70, 2012

      76 정인수, "남북한 사회통합과 그 과제에 관한 연구 : 독일의 사회통합과 새터민의 남한 사회 적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7 박순용, "난민문제를 통해서 본 세계시민교육의 과제에 대한 고찰"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0 (10): 77-99, 2015

      78 Nussbaum, M., "나라를 사랑한다는 것 : 애국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한계 논쟁" 삼인 2003

      79 옥일남, "글로벌 시민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방안"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6 (46): 105-140, 2014

      80 박성인, "글로벌 사회의 시민성 교육 접근 방법" 4 (4): 17-34, 2012

      81 강순원, "국제이해교육은 탈북 청소년문제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가?" 7 (7): 71-98, 2012

      82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16 탈북학생 통계 현황" 2016

      83 Ipsos MORI., "Young people’s experiences of global learning" Study on behalf of DEA 2008

      84 Eidoo, S., "Through the Kaleidoscope : Intersections Between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Classroom Implications in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34 (34): 59-85, 2011

      85 Banks, J. A., "Teaching for Social Justice, Diversity, and Citizenship in a Global World" 68 : 296-305, 2004

      86 Andreotti, V., "Soft versus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3 : 40-51, 2006

      87 Myers, J. P., "Rethink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in the US" 34 (34): 370-394, 2006

      88 Pashby, K., "Research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harlotte, Information Age Publishing 9-33, 2015

      89 Harshman J., "Research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2015

      90 김진희, "Post 2015 맥락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동향과 쟁점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59-88, 2015

      91 Mezirow, J., "Learning as Transformation" Jossey-Bass 2000

      92 Paul Tarc, "How Doe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nstruct Its Present?"

      93 Ibrahim, 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ainstreaming the curriculum?" 35 (35): 177-194, 2005

      94 Goren, 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ontext : teacher perceptions at an international school and a local Israeli school" 46 (46): 832-853, 2016

      95 Massey, K.,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 secondary geography course : the students’ perspectives" 4 (4): 80-101, 2014

      96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2015

      97 Park, S. 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oals and Challenges in the New Millennium" Asia Pacific Centre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PCEIU) 2013

      98 Schweisfurth, M.,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 teacher agency and curricular structure in Ontario schools" 58 (58): 41-50, 2006

      99 Oxfam, G. B.,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 a guide for schools" Oxfam 2006

      100 UNESCO, "Draft Incheon Declaration" UNESCO 2015

      101 Banks, J. A., "Diversity, Group Identity,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a Global Age" 37 (37): 129-139, 2008

      102 Clifford, V., "Challenging Conceptions of Western Higher Education and Promoting Graduates as Global Citizens" 68 (68): 28-45, 2014

      103 통일부, "2016 통일교육 운영계획" 통일교육원 2016

      104 교육부, "2014년 통계자료"

      105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4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5

      106 남북하나재단, "2014 북한이탈주민 사회조사" 남북하나재단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