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탈식민적 텍스트의 혼종성을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토니 모리슨의 『자비』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69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현대 작가인 토니 모리슨의 신작 『자비』의 탈식민적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고찰하고, 이러한 텍스트의 특징인 언어적 혼종성을 번역 과정에서 어떻게 다룰 것...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현대 작가인 토니 모리슨의 신작 『자비』의 탈식민적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고찰하고, 이러한 텍스트의 특징인 언어적 혼종성을 번역 과정에서 어떻게 다룰 것인가의 문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토니 모리슨은 미국 주류문화로부터 소외되고 억압된 흑인문화의 전통을 자신의 문학에 적극 수용하고 있으며, 흑인 역사에서 억압되고 망각된 기억들을 문학적으로 재현하고자 하는 모색을 그치지 않는다.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흑인 구전 전통을 살린 서술 기법이나 흑인 구어체 영어를 작품 속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 왔다. 모리슨 작품의 이러한 요소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혼종적 정체성을 문학적으로 재현하는 데 필수불가결하지만, 모리슨 작품의 번역을 극히 어렵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흑인문학의 혼종성이 갖는 의의를 살펴보고,『자비』의 실제 번역 작업을 통하여 이러한 모리슨 작품이 지닌 혼종성을 어떻게 번역에서 재현할 수 있을 것인가를 모색함으로써 이러한 번역 방식이 외국문학의 수용 과정에서 갖는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모리슨 문학에서 시적이고 함축적인 문체는 중요한 요소로 거론된다. 모리슨은 포스트모더니즘적인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양식을 통해 고난의 역사 속에서 억눌리고 망각된 흑인의 경험을 문학적으로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의 문제, 즉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기’를 주된 문학적 의제로 삼아 왔다. 『자비』에도 모리슨의 이러한 실험적인 문체와 서술 전략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리슨의 문체적 특성 중 두 가지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첫 번째는 아직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해 온 역사가 길지 않아 영어를 완전히 습득하지 못한 흑인들 특유의 불완전한 영어와 다른 언어가 뒤섞인 혼종적 언어의 특성을 어떻게 번역문에서 드러낼 것인가이다. 『자비』는 각 장이 세 종류의 다른 화자에 의하여 각기 다른 관점과 화법으로 서술된다. 주요 화자로 흑인 노예 소녀 플로렌스가 있다. 플로렌스가 서술하는 장은 흑인 영어 특유의 어법을 그대로 반영한 구어체로 이루어져 있다. 토니 모리슨의 문학은 흑인으로서 소수자 문학이라 할 수 있으며, 모리슨이 사용하는 문체적 전략은 이러한 흑인문학의 소수성을 가시화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플로렌스가 쓰는 영어는 미국 역사 초기,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민 온 역사가 짧은 탓에 아직 영어 구문을 완전히 익히지 못한 흑인이 사용하는 불완전한 영어이며, 거기에 포르투갈 출신 주인의 영향으로 포르투갈어가 뒤섞여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체적 특성을 번역에 반영하지 않고 표준어로 번역할 경우, 플로렌스의 서술에 내포된 소수자로서의 위치와 이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features of a post-colonial text in Toni Morrison's A Mercy, and how to deal with its linguistic heterogeneousness in translation. She has absorbed the Black cultural tradition suppressed by American dominant culture ...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features of a post-colonial text in Toni Morrison's A Mercy, and how to deal with its linguistic heterogeneousness in translation. She has absorbed the Black cultural tradition suppressed by American dominant culture in her literature and pursued to represent the collective memory forgotten and erased from the Black history. She has used unique narrative techniques influenced from the Black oral tradition and the Black vernacular English. Her language use and narrative techniques plays an essential part in her works to represent African American heterogeneous identity. However, they could be a factor to hinder her works from being translated into other languages. Therefore, this study will discuss the significances of heterogeneousness of the Black literature and try to find out the effective translation methods to deliver it, which is expected to reveal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in the subjective reception of foreign literature.
      A Mercy shows Morrison'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an experimental style and a multiple narrative. This research focuses on an analysis of a main narrative of a sixteen years old Black slave girl, Florence. She speaks in a broken English with incorrect grammar and limited vocabulary, which reflects her 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