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소득층 국제재혼가족 전혼자녀(前婚子女)의 가족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Exploring Family Experiences of Step-Children in Low-income Cross-border Re-marriage Families: A Case Study of Korean Adolescents who have Vietnamese Step-mot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14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 부모에서 태어났으나 친부모의 이혼 후 아버지가 베트남 출신 여성과 재혼한 경우를 사례로 청소년의 시각에서 재구성된 가족의 가족 경험의 실제를 탐색하는 질적 연구...

      본 연구는 한국인 부모에서 태어났으나 친부모의 이혼 후 아버지가 베트남 출신 여성과 재혼한 경우를 사례로 청소년의 시각에서 재구성된 가족의 가족 경험의 실제를 탐색하는 질적 연구이다.
      가족의 과업은 협상가능 한 것이며 가족으로서의 도리(family obligations)는 장기적인 관계의 산물이기도 하다는 가족 이론(Finch 1989, Finch and Mason 1993)과 가족 내 청소년 자녀의 역할에 주목하는 시각(Dreby 2007, 2010; Orellana 2009: 1-3) 그리고 초국적 이주이론(Bryceson and Vuorela 2002; Heisler, 2008; Khagram and Levitt 2008)의 렌즈를 통해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국제재혼 가족 생활과 가족 관계의 실제와 그 의미에 초점을 두고 저소득층 가족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응용적 질적 연구접근법(Guest et al., 2012)을 통해 여러 질적 연구 방법을 결합하였고, 총 8명의 중고생 연구참여자를 심층 면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존의 계부모-계자녀 관계와 이복 형제자매 관계 관련 가족 이론(기든스, 2009: 339-340; 이여봉, 2014: 210-211)이나 한국의 국내재혼 연구(정현숙 외, 2000: 12-13)나 국제재혼 연구(장인실 외, 2012: 167-171)의 지적과는 달리 한국인 전혼자녀는 베트남 새어머니와 비교적 긍정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특히, 국제재혼 여성에게 있어서 재혼 후 새로 출산한 자녀는 본인과 "한국 사회를 연결"하고 결혼 생활의 "정서적 지지" 역할을 하는 긍정적인 의미로 여겨지지만, 한국인 남편의 전혼 자녀의 경우 결혼 생활의 "갈등 요소"나 "스트레스 요소"로 작용한다(장인실 외, 2012: 167-171)는 지적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 한국인 전혼자녀는 저소득층으로서 어려운 경제 여건과 재혼 가족으로서의 어려운 가족 맥락 속에서 이복 새동생 돌봄의 주요 역할자이자 미래의 후견인으로서 재혼가족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제재혼가족의 다양한 구성원의 시각에서의 후속적인 연구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저소득층 한국인 전혼자녀 청소년이 일반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만큼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loratory study examines meanings and lived experiences of family by Korean adolescents who are family members of low-income cross-border remarriage between Korean fathers and their Vietnamese step-mothers. Based on family theory perspective th...

      This exploratory study examines meanings and lived experiences of family by Korean adolescents who are family members of low-income cross-border remarriage between Korean fathers and their Vietnamese step-mothers. Based on family theory perspective that takes family tasks are negotiable and family obligations are constructed over the life long experiences (Finch 1989, Finch and Mason 1993) and that consider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role in the family (Dreby 2007, 2010; Orellana 2009: 1-3) and through the len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eory (Bryceson and Vuorela 2002; Heisler, 2008; Khagram and Levitt 2008), we focus on the lived experiences of low-income families, from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 children. A total of 8 adolescent informa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interviewed, using applied qualitative method (Guest et al. 2012).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family theory on step-parents and step-children relationships and on step-siblings relationships (Giddens 2009: 339-340: Lee YB 2014: 210-211), and cross-border marriage in Korea (Jang IS et al. 2012), this study finds that, in general, Korean adolescent children maintained either positive or at least neutral relationship with their step-mothers. Also, in contrast to the previous studies that step-children are viewed as "stumbling blocks of re-marriage" (Jung HS et al. 2000: 12-13), these Korean children provide pivotal role of important care-takers for their half-siblings from the current re-marriages and showed willingness to take up future patron/guardian-role of their half-siblings, even though many of these children live in a difficult financial and other familial conditions.
      These results call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lived experiences of bi-ethnic cross-border remarriage families in diverse angles. Korean step-children in cross-border remarriage are situated in similar condition that requires proactive policy supports like their counterparts in cross-border marriage families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왜 국제재혼가족 전혼자녀 한국인 청소년인가?
      • Ⅱ. (국제) 재혼가족의 가족 관계와 청소년
      • Ⅲ. 연구 방법과 연구참여자의 특성
      • Ⅳ. 국제재혼가족의 구성: 베트남 새어머니와의 만남과 관계 변화의 유형
      • 국문초록
      • Ⅰ. 왜 국제재혼가족 전혼자녀 한국인 청소년인가?
      • Ⅱ. (국제) 재혼가족의 가족 관계와 청소년
      • Ⅲ. 연구 방법과 연구참여자의 특성
      • Ⅳ. 국제재혼가족의 구성: 베트남 새어머니와의 만남과 관계 변화의 유형
      • Ⅴ. 이복 형제관계: 새동생 돌봄으로 연결되는 국제재혼가족
      • Ⅵ.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