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향수 제조의 핵심 원료인 ethanol의 대체 용매로서 dicaprylyl ether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Cypress oil을 각각 15wt%씩 ethanol과 dicaprylyl ether에 부향시킨 후, 피부저자극 테스트, HS-GC/MSD 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75978
서울 :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 생명분자유전공학과 바이오향료공학 , 2024. 8
2024
한국어
서울
62 p ; 26 cm
지도교수: 박현
I804:11009-00000028857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향수 제조의 핵심 원료인 ethanol의 대체 용매로서 dicaprylyl ether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Cypress oil을 각각 15wt%씩 ethanol과 dicaprylyl ether에 부향시킨 후, 피부저자극 테스트, HS-GC/MSD 분...
본 연구는 향수 제조의 핵심 원료인 ethanol의 대체 용매로서 dicaprylyl ether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Cypress oil을 각각 15wt%씩 ethanol과 dicaprylyl ether에 부향시킨 후, 피부저자극 테스트, HS-GC/MSD 분석 및 관능 평가를 통해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34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한 피부 패치 테스트에서는 dicaprylyl ether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의 기준에 따라 평균 피부반응도 0.00을 기록, 고농도 사용 시 인체에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HS-GC/MSD 분석 결과, dicaprylyl ether는 α-pinene, 3-carene, D-limonene 등 26가지 성분이, ethanol에서는 cyclofenchene, α-pinene, D-limonene 등 32가지 성분이 검출되어 각 용매의 성분 조성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2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실시한 관능 평가와 t-검정 결과, 대부분의 평가 항목에서 유사성이 확인되었으나, 효과크기 분석을 통해 dicaprylyl ether는 'spicy', 'earthy', 'balsamic sweet'의 특성에서, ethanol은 'fresh', 'woody', 'herbal'에서 강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향 의도 및 기호성에 따라 dicaprylyl ether가 ethanol의 유력한 대체 용매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며, 향후 향수 산업에 적용 가능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