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교무분장에 대한 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892213
대구 :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학위논문(석사) --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2012. 8
2012
한국어
대구
iv, 54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교무분장에 대한 공...
본 연구의 목적은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인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대구광역시교육청 관내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회수된 설문지는 297부로서 이 중 일부 문항에 대한 응답을 누락하여 제출하는 등의 분석에 적절치 못한 설문 응답지 13부를 제외한 284부(88.75%)에 대해 의견을 수렴․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이론적 배경에서 고찰된 연구변수에 대한 핵심요소를 분석하고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설문지를 참고하여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먼저 독립변인인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의 경우 김민강(2008)의 선행연구에 개발된 평가 문항을 활용 하여 절차공정성(6문항), 상호작용공정성(6문항)로 구성하여 총 12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일부 문항은 “교무분장” 영역이라는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종속변인인 학교조직효과성의 경우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 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학교 조직효과성 핵심요소와 일치하는 이진원(2010)의 선행연구에 개발된 평가 문항을 활용 하여 직무만족(6문항), 조직적응성(6문항), 직무성과(6문항)로 구성하여 총 18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일부 문항은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인 PASW(Predictiv Analytics Software) version18.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 처리는 연구 문제를 규명할 수 있도록 각 문제에 맞게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산출, 다중회귀분석(Multiple-Linear Regression Analysis)과 같은 다양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무분장에 대한 교사들의 공정성 인식 수준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공정성 하위 요인에서는 절차공정성보다 상호작용공정성을 다소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 전체 수준의 차이는 남자가 여자보다,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을 높게 인식하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근무하고 있는 학급 수에 따른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 수준을 보면 36학급 이상의 비교적 큰 규모의 학교가 소규모 학교보다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른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석 인시 수준의 차이는 10년 미만의 경력 교사보다 10년 이상의 경력 교사가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현 학교 근무년수에 따른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 수준 차이는 현 학교에서 3년 이상 근무한 집단이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 수준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 직급, 학급 수 변인별로는 교무분장에 대한 절차공정성의 인식 수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에서 보면 경력이 10년 미만일 때 보다 10년 이상인 교사들의 교무분장에 대한 절차공정성의 인식 수준이 높았으며, 현 학교 근무년수가 3년 이상인 집단에서 교무분장에 대한 절차공정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무분장에 대한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 수준은 교사들의 성별, 직급, 학급 수, 경력이라는 배경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으나 현 학교 근무년수가 길수록 교무분장에 대한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 수준이 높았으며 다른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준은 다소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조직효과성 하위 요인으로는 직무성과, 조직적응성, 직무만족 순으로 다소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의 배경변인 별 학교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직급과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았으며, 경력 요인에서도 10년 이상 교사가 10년 미만 교사보다 학교 조직효과성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배경변인 별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대한 인식 차이는 직급, 학급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직급이 높을수록, 근무하는 학교의 학급 수가 비교적 많은 36학급 이상의 규모에서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 직급, 경력에 따라 조직적응성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조직적응성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부장교사와 10년 이상의 경력교사의 조직적응성에 대한 인식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과 초등학교의 조직효과성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공정성의 하위변인 별로 살펴보면 상호작용공정성이 절차공정성보다 조직효과성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무분장에 대한 절차공정성은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 조직적응성, 직무성과 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교무분장에 대한 상호작용공정성은 직무만족, 조직적응성, 직무성과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조직효과성 전체 영역에서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절차공정성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효과성의 하위변인인 직무만족에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절차공정성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에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절차공정성보다 훨씬 더 많이 영향을 미치며, 조직적응성에는 상호작용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비슷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볼 때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하위 변인 중 절차공정성보다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위변인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교무분장이 이루어지는 절차 그 자체 보다는 그 과정에서 학교의 관리자와 교사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활발히 이루어진다고 인식할수록 교사의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적응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aim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justice of academic affair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pecific questions for the study are: a) The difference from the variables of teachers' backgrounds about the perception of justice on th...
This study has aim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justice of academic affair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pecific questions for the study are:
a) The difference from the variables of teachers' backgrounds about the perception of justice on the academic affairs division in elementary schools.
b) The difference from the variables of backgrounds abou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s, and
c) The influence of justice of academic affair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 sent a questionnaire to 3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 Daegu Office of Education, 297 teachers answered, but I had to exclude the 13 answers since they are irrelevant and failed to answer some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 thus 284 answers(88.75%) are gathered and analy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The level of the teachers' perception of justice in the division of academic affairs is ordinary in elementary school, their perception about the reciprocal justice is higher than procedural justice in sub-factor of justice. The perception of over 10-year-career teachers' about procedural justice in the division of academic affairs is higher than less than 10-year-career teachers. And the group of teachers who worked over 3 years in the current school has a high perception about the procedural justice in the division of academic affairs, which has meaningful difference in statistics.
The level of reciprocal justice perception of the academic affairs division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service at the school, which has meaningful difference from other groups in statistics.
b)High level of perception abou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an be found among teachers, and sub-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job performance, organization adap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When it comes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 we can concluded that the higher ranked teacher and the more classes like over 36 classes, the higher perception of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Male teachers has hig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 adaptability than female teachers, higher organization adaptability also can be found in teachers with over 10-year-career and department head title.
c) The correlation between justice of academic affairs divis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 shows high correlation in statistics. reciprocal justice has a higher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procedural justice does in sub-variables of justice. The correlation level of procedural justice about the academic affairs division with sub-factors a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adaptability, and job performance in order,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adaptability, and job performance in order in the level of reciprocal justice.
From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bout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academic division justi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 can verify that reciprocal justice has a strong influence over procedural justice in overall section, reciprocal justice over procedural justice in the sub-sector of job satisfaction, much strong influence from reciprocal justice over procedural justice in that of job performance, and comparable influence in that of organization adaptability. we can conclude that reciprocal justice has strong influence on thre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 adaptability than procedural justice, in other words, a teacher's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 adaptability will be enhanced through the activ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school management section.
This study has led us to conclude tha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higher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perception of reciprocal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about the academic affairs division among teachers. That is to say, it is critical for the school organization to maintain the reciprocal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in he academic affairs division. Thus, Standards and procedures about the academic affairs division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discretion of each school and understanding from the teaches and management section, training program for the justice should be introduced as well.
The efforts from the school management to secure the justice in the organization and interaction among teacher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perception about the academic division justi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recommend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