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논리와 기부모델 개발 연구 = A Study on developing a logic and a model of donation for Art and cultural Institu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88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couraging and stimulating donation in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is directly related to its prosperity.
      Advancement in art and culture is predicated upon securing sufficient funds and social consensus on the value of art and culture. Therefore, as a foundation for boosting the art and culture, the object is to develop a logical ground for institutions to promote donation and to generate a donation model.
      Ruskin's Political economy of art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referred as main stream study for the rationalization. Also, for the study of economics of culture, which inherits Ruskin's idea, Baumol and Bowen's early economics of culture theories, and Throsby, D., Ikegami Jun, Charles M. Gray, and James Heilbrun's recent theories were referred to justify the idea that government aid is the basic funding source for the art and culture development. The author reinterpreted this idea as a logic for suggesting the social support on the art and culture.
      Setting the rationalization of economics of culture as an axis, the author analyzed the U.S. donation cases and provided with a practical model for the logic of donation in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The Beautiful Foundation and Gyeonggi Cultural Foundation's donation models were referred for the case study of art institution's donation model.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variables of logic, regime, and programs for fundraising.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suggested triangular figure with the three elements on each side as a tool for developing a fundraising model for art and culture institute. The triangle shows,
      First, the logic for the donation is distinguishably presented as essential value and practical value of art and culture. The essential value can be the nature of art and culture as a public property and its social value, while the practical value can be the external effect which is the impact of various art and culture, and the virtue of art institutions, mostly its non-profitability, as a core factor for the donation logic.
      Second, Art institution's fundraising regime is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regimes. The internal one is configured by creating and operating a fundraising unit pursuant to the leadership of the management, the role of a multiplier. The external one consists of committee; a group of the opinion leaders of the society, and supporters; the public. The key role for the committee and supporter group is to stimulate the public's interest or understanding on the value of art and culture or the institution,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Third, art and culture program, which is fundamental and resource allocating program, is the core fundraising program of art institution. based upon this, various programs can be planned to acquisite resources. Namely, in order to boost the social value of art and culture, fundraising program provided by art institution and consensus and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nd business sector completes the art institution's donation model.
      Consequently, the settlement of the donation model should be predicated on the boost of the art and culture in the society. Vitality in all process such as creation, supply, and enjoyment is the prerequisite for the sophistication of art and culture, and it can only be actualized with support and concern of the society. align with that, an economic structure for the participation and support on the art and culture is the very model of the donation in art and culture.
      번역하기

      Encouraging and stimulating donation in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is directly related to its prosperity. Advancement in art and culture is predicated upon securing sufficient funds and social consensus on the value of art and culture. Therefore, as...

      Encouraging and stimulating donation in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is directly related to its prosperity.
      Advancement in art and culture is predicated upon securing sufficient funds and social consensus on the value of art and culture. Therefore, as a foundation for boosting the art and culture, the object is to develop a logical ground for institutions to promote donation and to generate a donation model.
      Ruskin's Political economy of art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referred as main stream study for the rationalization. Also, for the study of economics of culture, which inherits Ruskin's idea, Baumol and Bowen's early economics of culture theories, and Throsby, D., Ikegami Jun, Charles M. Gray, and James Heilbrun's recent theories were referred to justify the idea that government aid is the basic funding source for the art and culture development. The author reinterpreted this idea as a logic for suggesting the social support on the art and culture.
      Setting the rationalization of economics of culture as an axis, the author analyzed the U.S. donation cases and provided with a practical model for the logic of donation in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The Beautiful Foundation and Gyeonggi Cultural Foundation's donation models were referred for the case study of art institution's donation model.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variables of logic, regime, and programs for fundraising.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suggested triangular figure with the three elements on each side as a tool for developing a fundraising model for art and culture institute. The triangle shows,
      First, the logic for the donation is distinguishably presented as essential value and practical value of art and culture. The essential value can be the nature of art and culture as a public property and its social value, while the practical value can be the external effect which is the impact of various art and culture, and the virtue of art institutions, mostly its non-profitability, as a core factor for the donation logic.
      Second, Art institution's fundraising regime is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regimes. The internal one is configured by creating and operating a fundraising unit pursuant to the leadership of the management, the role of a multiplier. The external one consists of committee; a group of the opinion leaders of the society, and supporters; the public. The key role for the committee and supporter group is to stimulate the public's interest or understanding on the value of art and culture or the institution,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Third, art and culture program, which is fundamental and resource allocating program, is the core fundraising program of art institution. based upon this, various programs can be planned to acquisite resources. Namely, in order to boost the social value of art and culture, fundraising program provided by art institution and consensus and participation of the public and business sector completes the art institution's donation model.
      Consequently, the settlement of the donation model should be predicated on the boost of the art and culture in the society. Vitality in all process such as creation, supply, and enjoyment is the prerequisite for the sophistication of art and culture, and it can only be actualized with support and concern of the society. align with that, an economic structure for the participation and support on the art and culture is the very model of the donation in art and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예술에 대한 기부문화 조성과 기부 활성화는 문화예술의 발전과 직결된 문제이다. 문화예술의 발전은 문화예술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공감과 안정적 재원의 확보 방안의 마련이 전제조건이다. 따라서 문화예술 발전의 기반으로서 문화예술기관의 기부금 조성활동에 나서는 논리적 근거와 기부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고찰은 예술의 사회적 가치의 근거를 제시한 19세기 후반의 러스킨의 예술경제사상을 원류로서 고찰했다. 또한 러스킨을 사상적 원류로 계승하고 있는 문화경제학은 보몰(Baumol)과 보웬(Bowen)의 문화경제학의 성립기 이론과 최근의 트로스비(D. Throsby), 이케가미 준, 찰스 M. 그레이와 제임스 헤일브런 등의 이론을 중심으로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한 기본 재원을 정부 지원에서 찾는 이론을 기반으로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지원 논리로 재해석하였다.
      문화예술의 기부논리와 관련하여 문화경제학의 이론적 고찰을 한 축으로 하고 실천적 모델을 미국의 기부논리 사례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 연구를 위한 사례분석은 국내의 대표적인 공익재단인 아름다운재단과 지역문화예술기관인 경기문화재단의 기부모델을 대상으로 했다. 사례분석은 기부논리, 기부체계, 기부프로그램의 변수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그 연구결과로서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을 기부논리, 모금체계, 기부프로그램 등 세 가지 요소를 삼각 축으로 하는 기부모델 개발 모형을 트라이앵글로 제시하였다.
      연구 성과로서 제시하는 기부 모델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첫째, 기부논리는 문화예술의 본질적 가치와 현실적 가치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문화예술의 공공재적 성격과 사회적 가치를 본질적 가치로 설명하며, 현실적 가치는 다양한 문화예술의 파급효과인 외부효과와 문화예술기관의 기관 가치로서 비영리성이 기부논리의 핵심이다.
      둘째, 문화예술기관의 모금체계는 내부체계와 외부체계로 구분된다. 내부 체계는 경영자의 리더십 즉 멀티플라이어로서의 역할을 핵심으로 모금전담조직의 구축과 운영으로 구조화된다. 외부체계는 사회의 오피니언 리더들의 참여체계인 위원회와 대중적인 참여체계인 후원회라는 구조로 정리된다. 모금위원회와 후원회 조직의 핵심적 역할은 사람들의 문화예술과 문화예술기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공감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셋째, 문화예술기관의 기부프로그램은 자원 배분 프로그램이자 고유목적 사업인 문화예술프로그램이 핵심이다. 이를 근거로 해서 다양한 자원획득 프로그램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는 방안으로서, 문화예술기관의 기부프로그램 공급과 수요자인 시민, 기업들의 공감과 참여가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을 완성한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의 정착은 문화예술의 활성화와 발전을 바탕으로 한다. 문화예술의 발전은 창작, 보급, 향유의 전 과정의 왕성한 활동을 전제로 하며 근본적으로 사회의 참여와 지원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러 측면에서 분석할 때 문화예술에 대한 참여와 지원의 경제적 구조가 바로 문화예술의 기부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문화예술에 대한 기부문화 조성과 기부 활성화는 문화예술의 발전과 직결된 문제이다. 문화예술의 발전은 문화예술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공감과 안정적 재원의 확보 방안의 마련이 전제조...

      문화예술에 대한 기부문화 조성과 기부 활성화는 문화예술의 발전과 직결된 문제이다. 문화예술의 발전은 문화예술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공감과 안정적 재원의 확보 방안의 마련이 전제조건이다. 따라서 문화예술 발전의 기반으로서 문화예술기관의 기부금 조성활동에 나서는 논리적 근거와 기부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고찰은 예술의 사회적 가치의 근거를 제시한 19세기 후반의 러스킨의 예술경제사상을 원류로서 고찰했다. 또한 러스킨을 사상적 원류로 계승하고 있는 문화경제학은 보몰(Baumol)과 보웬(Bowen)의 문화경제학의 성립기 이론과 최근의 트로스비(D. Throsby), 이케가미 준, 찰스 M. 그레이와 제임스 헤일브런 등의 이론을 중심으로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한 기본 재원을 정부 지원에서 찾는 이론을 기반으로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지원 논리로 재해석하였다.
      문화예술의 기부논리와 관련하여 문화경제학의 이론적 고찰을 한 축으로 하고 실천적 모델을 미국의 기부논리 사례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 연구를 위한 사례분석은 국내의 대표적인 공익재단인 아름다운재단과 지역문화예술기관인 경기문화재단의 기부모델을 대상으로 했다. 사례분석은 기부논리, 기부체계, 기부프로그램의 변수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그 연구결과로서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을 기부논리, 모금체계, 기부프로그램 등 세 가지 요소를 삼각 축으로 하는 기부모델 개발 모형을 트라이앵글로 제시하였다.
      연구 성과로서 제시하는 기부 모델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첫째, 기부논리는 문화예술의 본질적 가치와 현실적 가치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문화예술의 공공재적 성격과 사회적 가치를 본질적 가치로 설명하며, 현실적 가치는 다양한 문화예술의 파급효과인 외부효과와 문화예술기관의 기관 가치로서 비영리성이 기부논리의 핵심이다.
      둘째, 문화예술기관의 모금체계는 내부체계와 외부체계로 구분된다. 내부 체계는 경영자의 리더십 즉 멀티플라이어로서의 역할을 핵심으로 모금전담조직의 구축과 운영으로 구조화된다. 외부체계는 사회의 오피니언 리더들의 참여체계인 위원회와 대중적인 참여체계인 후원회라는 구조로 정리된다. 모금위원회와 후원회 조직의 핵심적 역할은 사람들의 문화예술과 문화예술기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공감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셋째, 문화예술기관의 기부프로그램은 자원 배분 프로그램이자 고유목적 사업인 문화예술프로그램이 핵심이다. 이를 근거로 해서 다양한 자원획득 프로그램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는 방안으로서, 문화예술기관의 기부프로그램 공급과 수요자인 시민, 기업들의 공감과 참여가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을 완성한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의 정착은 문화예술의 활성화와 발전을 바탕으로 한다. 문화예술의 발전은 창작, 보급, 향유의 전 과정의 왕성한 활동을 전제로 하며 근본적으로 사회의 참여와 지원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러 측면에서 분석할 때 문화예술에 대한 참여와 지원의 경제적 구조가 바로 문화예술의 기부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과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4
      • 제2장 이론적 고찰 7
      • 제1절 문화예술과 기부논리 7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과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4
      • 제2장 이론적 고찰 7
      • 제1절 문화예술과 기부논리 7
      • 제2절 러스킨의 예술경제사상 10
      • 제3절 문화경제학의 정부지원 논리 15
      • 제4절 예술 가치와 사회지원의 논리 21
      • 제5절 미국의 문화예술 기부논리 25
      • 제6절 선행연구 검토 33
      • 제3장 기부논리와 기부사례 분석 38
      • 제1절 사례분석 방법 38
      • 제2절 사회복지기관 사례연구 - 아름다운재단 43
      • 1. 기부논리(명분) 분석 43
      • 2. 기부프로그램 분석 47
      • 3. 모금체계와 성과 분석 52
      • 제3절 문화예술기관 사례연구 - 경기문화재단 58
      • 1. 기부논리(명분) 분석 61
      • 2. 기부프로그램 분석 66
      • 3. 모금체계와 성과 분석 72
      • 제4절 분석 결과 78
      • 제4장 문화예술기관의 기부모델 개발 81
      • 제1절 기부논리의 구성 81
      • 1. 문화예술의 본질적 가치와 공공성 81
      • 2. 현실적 가치와 외부효과 83
      • 3. 비영리조직으로서의 문화예술기관 84
      • 제2절 기부프로그램 개발 87
      • 1. 자원획득 프로그램과 위계적 확산 87
      • 2. 사회서비스로서의 문화예술 90
      • 제3절 모금체계 구축방안 91
      • 1. 내부체계로서 멀티플라이어 91
      • 2. 공감과 참여의 외부체계 94
      • 제4절 기부모델 개발모형의 트라이앵글 97
      • 제5장 결론 101
      • 제1절 연구결과 101
      • 제2절 연구의 한계와 제언 102
      • 참고문헌 104
      • 국문초록 110
      • ABSTRACT 1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