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험심사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the Empowerment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n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719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다양한 보건의료정책에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대처가 요구됨에 따라 보험심사 업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보험심사간호사는 다양한 갈등과 어려움에 부딪히게 되면서 직무만족도는 낮아지고, 이는 이직 및 역할 축소를 초래한다. 또한 전문적 보험심사 업무의 단절로 인해 병원경영 및 국민 의료비 산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보험심사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보험심사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중재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 500병상 이상의 12개 종합병원급 이상에서 보험심사업무를 1년 이상 담당하고 있는 보험심사간호사 중 본 연구 참여를 동의한 총 165명의 간호사였다. 자료수집은 C대학교병원의 생명윤리위원회(CNUH-2022-194)의 승인을 받은 후 2022년 7월 18일부터 7월 29일까지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과 PROCESS Marcro V4.1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Bootstrapping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145점 만점에 평균 100.37점(±17.03), 임파워먼트는 140점 만점에 평균 86.24점(±17.70), 직무만족도는 70점 만점에 평균 45.44점(±9.17)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정도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령, 학력, 총 임상경력, 보험심사부서경력, 연봉, 직위, 적성, 역량강화교육 여부에서 직무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검정한 결과, 간호전문직관(r=.64, p<.001), 임파워먼트(r=.77, p<.001) 모두 직무만족도와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구사회학적 및 직무 관련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임파워먼트는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심사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이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로 인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험심사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험심사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임파워먼트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병원 및 보험심사간호사회 차원에서 개발되어야 하며,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또한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 정립을 위해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며,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해 확실한 매뉴얼 구축을 통해 개인의 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종합병원급 이상의 기관만을 포함한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 다양한 규모의 의료기관으로 연구를 확대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보험심사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변수들을 이용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최근 다양한 보건의료정책에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대처가 요구됨에 따라 보험심사 업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보험심사간호사는 다양한 갈등과 어려움에 부딪히게 되면서 직...

      최근 다양한 보건의료정책에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대처가 요구됨에 따라 보험심사 업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보험심사간호사는 다양한 갈등과 어려움에 부딪히게 되면서 직무만족도는 낮아지고, 이는 이직 및 역할 축소를 초래한다. 또한 전문적 보험심사 업무의 단절로 인해 병원경영 및 국민 의료비 산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보험심사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보험심사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중재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 500병상 이상의 12개 종합병원급 이상에서 보험심사업무를 1년 이상 담당하고 있는 보험심사간호사 중 본 연구 참여를 동의한 총 165명의 간호사였다. 자료수집은 C대학교병원의 생명윤리위원회(CNUH-2022-194)의 승인을 받은 후 2022년 7월 18일부터 7월 29일까지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과 PROCESS Marcro V4.1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Bootstrapping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145점 만점에 평균 100.37점(±17.03), 임파워먼트는 140점 만점에 평균 86.24점(±17.70), 직무만족도는 70점 만점에 평균 45.44점(±9.17)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정도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령, 학력, 총 임상경력, 보험심사부서경력, 연봉, 직위, 적성, 역량강화교육 여부에서 직무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검정한 결과, 간호전문직관(r=.64, p<.001), 임파워먼트(r=.77, p<.001) 모두 직무만족도와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구사회학적 및 직무 관련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임파워먼트는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심사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이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로 인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험심사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험심사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임파워먼트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병원 및 보험심사간호사회 차원에서 개발되어야 하며,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또한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 정립을 위해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며,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해 확실한 매뉴얼 구축을 통해 개인의 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종합병원급 이상의 기관만을 포함한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 다양한 규모의 의료기관으로 연구를 확대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보험심사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변수들을 이용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securing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and the appropriateness of costs is very important not only in hospital management but also in the public medical services. For this reason, the role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is also emerging as important. However,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unlike clinical nurses, experience many conflicts between various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s inside and outside the hospital. This leads to a decrease in job satisfaction and an increase in the turnover rate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intention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in order to prepare a plan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8 to July 29, 2022, and the participants were 165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who had been in the medical insurance review work for more than one year in 12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500 bed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program. Also, a bootstrapping test using the PROCESS Marcro V4.1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is study results is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professionalism was 100.37 (±17.03) point, empowerment was 86.24 (±17.70), and job satisfaction was 45.44 (±9.17) point.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age, education, total clinical experience period, experience period of insurance review department, annual salary, position, aptitude, and competency-enhancing education.
      3.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r=.64, p<.001), empowerment (r=.77, p<.001), and job satisfaction.
      4. Empowermen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The bootstrapping showed that empowerment was a significant sub-parameter and increased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LLCI = 0.178, ULCI = 0.420).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empowerment in order to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and further encourage nursing professionalism.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job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by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designed to improve empowerment. Also,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quality of medical health services by appropriately coping with and successfully adapting to job-related stressful situations.
      번역하기

      Recently, securing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and the appropriateness of costs is very important not only in hospital management but also in the public medical services. For this reason, the role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is also emergin...

      Recently, securing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and the appropriateness of costs is very important not only in hospital management but also in the public medical services. For this reason, the role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is also emerging as important. However,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unlike clinical nurses, experience many conflicts between various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s inside and outside the hospital. This leads to a decrease in job satisfaction and an increase in the turnover rate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intention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in order to prepare a plan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8 to July 29, 2022, and the participants were 165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who had been in the medical insurance review work for more than one year in 12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500 bed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program. Also, a bootstrapping test using the PROCESS Marcro V4.1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is study results is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professionalism was 100.37 (±17.03) point, empowerment was 86.24 (±17.70), and job satisfaction was 45.44 (±9.17) point.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age, education, total clinical experience period, experience period of insurance review department, annual salary, position, aptitude, and competency-enhancing education.
      3.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r=.64, p<.001), empowerment (r=.77, p<.001), and job satisfaction.
      4. Empowermen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The bootstrapping showed that empowerment was a significant sub-parameter and increased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LLCI = 0.178, ULCI = 0.420).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empowerment in order to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and further encourage nursing professionalism.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job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by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designed to improve empowerment. Also,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quality of medical health services by appropriately coping with and successfully adapting to job-related stressful situ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ⅳ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국문초록 ⅳ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3
      • Ⅱ. 문헌고찰 6
      • 1. 간호전문직관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6
      • 2.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11
      • Ⅲ. 연구방법 13
      • 1. 연구설계 13
      • 2. 연구대상 13
      • 3. 연구도구 13
      • 4. 자료수집 방법 15
      • 5. 자료분석 방법 15
      • 6. 윤리적 고려 16
      • Ⅵ. 연구결과 17
      • 1. 보험심사간호사의 인구사회학적 및 직무 관련 특성 17
      • 2. 보험심사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 정도 19
      • 3. 보험심사간호사의 인구사회학적 및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 21
      • 4. 보험심사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23
      • 5. 보험심사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24
      • 6. 보험심사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임파워먼트의 간접효과 28
      • Ⅴ. 논의 30
      • 1. 보험심사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30
      • 2. 보험심사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2
      • 3. 보험심사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34
      • Ⅵ. 결론 및 제언 36
      • 참고문헌 38
      • 영문초록 48
      • 부록 50
      • 〈부록 1〉 생명연구윤리심의위원회 심의결과 통보서 50
      • 〈부록 2〉 측정도구에 대한 승인 52
      • 〈부록 3〉 연구 참여 설명문 및 동의서 54
      • 〈부록 4〉 연구 설문지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