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동차 주행거리자료와 통행배정모형을 결합한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연구 = Estimating Vehicle Emissions based on Traffic Assignment Analysis Combined with Vehicle Inspection Data on Vehicle Kilometers Travele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the concept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is valued worldwide, central governments need to be able to estimate greenhouse gas(GHG) emissions at the local government geographic level more realistically using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s. This study presents a bottom-up method of spatially estimating road GHG emissions using a combination of vehicle kilometer traveled(VKT) data and a traffic assignment model. This combined model allows realistic estimation of road GHG emissions using the actual total mileage measured during regular vehicle inspections. The proposed method allows spatial analysis of emissions by objective region, by trip type of origin-destination pair location, and by road hierarchy. In particular, it provides detailed GHG estimates according to regional traffic pattern characteristics (intra-zonal, internal-external zonal, and through-zone trips), which is especially helpful in policy making. The method can be meaningfully applied to various transportation-related GHG policies, as demonstrated herein through a case analysis of Korea's road GHG emissions. Intra-zonal and through trips were found to account for 47.6% and 35.3% of total GHG emissions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year. Such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local and central GHG transportation policies.
      번역하기

      While the concept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is valued worldwide, central governments need to be able to estimate greenhouse gas(GHG) emissions at the local government geographic level more realistically using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s. This...

      While the concept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is valued worldwide, central governments need to be able to estimate greenhouse gas(GHG) emissions at the local government geographic level more realistically using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s. This study presents a bottom-up method of spatially estimating road GHG emissions using a combination of vehicle kilometer traveled(VKT) data and a traffic assignment model. This combined model allows realistic estimation of road GHG emissions using the actual total mileage measured during regular vehicle inspections. The proposed method allows spatial analysis of emissions by objective region, by trip type of origin-destination pair location, and by road hierarchy. In particular, it provides detailed GHG estimates according to regional traffic pattern characteristics (intra-zonal, internal-external zonal, and through-zone trips), which is especially helpful in policy making. The method can be meaningfully applied to various transportation-related GHG policies, as demonstrated herein through a case analysis of Korea's road GHG emissions. Intra-zonal and through trips were found to account for 47.6% and 35.3% of total GHG emissions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year. Such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local and central GHG transportation polic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교통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중앙 정부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통행패턴을 지닌 지방자치단체의 온실가스를 보다 현실적으로 추정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Bottom-up방법으로 자동차주행거리 자료와 통행배정모형을 통해 공간적 개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자동차 주행거리 자료와 통행배정의 결합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1)자동차 정기검사를 통한 실제 측정된 주행 거리 총량은 현실성 있는 도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2)교통존내부 통행(Intra-zonal trip)에 의한 온실가스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지역 간 배출량, OD pair위치에 따른 통행유형별 배출량, 그리고 도로 위계 별 배출량 분석결과를 공간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교통패턴 특성별(교통존 간, 교통존 내, 교통존 통과교통) 온실가스 추정은 정책결정에 자세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교통 관련 온실가스 정책에 응용할 수 있어 연구 의미가 높다. 사례분석으로 시군구 단위로 대한민국 전국 도로 온실가스를 추정하였으며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교통존내부 통행 배출량은 47.6%, 통과통행 배출량은 35.3%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온실가스 교통정책 수립 및 평가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번역하기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교통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중앙 정부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통행패턴을 지닌 지방자치단체의 온실가스를 보다 현실적으로 추정 할 ...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교통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중앙 정부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통행패턴을 지닌 지방자치단체의 온실가스를 보다 현실적으로 추정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Bottom-up방법으로 자동차주행거리 자료와 통행배정모형을 통해 공간적 개념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자동차 주행거리 자료와 통행배정의 결합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1)자동차 정기검사를 통한 실제 측정된 주행 거리 총량은 현실성 있는 도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2)교통존내부 통행(Intra-zonal trip)에 의한 온실가스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지역 간 배출량, OD pair위치에 따른 통행유형별 배출량, 그리고 도로 위계 별 배출량 분석결과를 공간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교통패턴 특성별(교통존 간, 교통존 내, 교통존 통과교통) 온실가스 추정은 정책결정에 자세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교통 관련 온실가스 정책에 응용할 수 있어 연구 의미가 높다. 사례분석으로 시군구 단위로 대한민국 전국 도로 온실가스를 추정하였으며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교통존내부 통행 배출량은 47.6%, 통과통행 배출량은 35.3%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온실가스 교통정책 수립 및 평가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보람, "활동자료 구축을 통한 주행거리 기반의 온실가스 배출량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32 (32): 1-12, 2014

      2 "행정구역별 주민등록인구" 통계청

      3 김채만, "통행배분모형을 이용한자동차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추정 연구" 1-6, 2002

      4 김태균, "통과교통량을 고려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방안 연구" 대한교통학회 32 (32): 303-314, 2014

      5 "지자체 온실가스 산정방법론, KOTEMS(교통부문 온실가스 관리 시스템)"

      6 백바름, "지역별 자동차 이산화탄소 순배출량 추정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7 한시원,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을 위한 통행배정모형 적용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8 최기주,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 산정을 위한 Bottom-Up Approach 기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7 (27): 183-193, 2009

      9 국립환경과학원,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편람(II)" 2009

      10 김익기, "교통수요분석에서 통행목적별 O-D 접근방법과 P-A 접근방법의 이론적 비교연구" 15 (15): 45-62, 1997

      1 배보람, "활동자료 구축을 통한 주행거리 기반의 온실가스 배출량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32 (32): 1-12, 2014

      2 "행정구역별 주민등록인구" 통계청

      3 김채만, "통행배분모형을 이용한자동차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추정 연구" 1-6, 2002

      4 김태균, "통과교통량을 고려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방안 연구" 대한교통학회 32 (32): 303-314, 2014

      5 "지자체 온실가스 산정방법론, KOTEMS(교통부문 온실가스 관리 시스템)"

      6 백바름, "지역별 자동차 이산화탄소 순배출량 추정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7 한시원,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을 위한 통행배정모형 적용 방안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8 최기주,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 산정을 위한 Bottom-Up Approach 기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7 (27): 183-193, 2009

      9 국립환경과학원,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편람(II)" 2009

      10 김익기, "교통수요분석에서 통행목적별 O-D 접근방법과 P-A 접근방법의 이론적 비교연구" 15 (15): 45-62, 1997

      11 김영국, "교통계획모형과 GIS를 이용한 지역간 도로 배출지도 작성" 한국교통연구원 21 (21): 1-15, 2014

      12 이규진, "공간 구문론을 이용한 존내 자동차 배출량 추정 모형" 대한교통학회 34 (34): 107-122, 2016

      13 Easa, S. M, "Urban trip distribution in practice. I: Conventional analysis" 119 (119): 793-815, 1993

      14 Dalkmann, H., "Transport and climate change. A Sourcebook for Policy-Makers in Developing Cities: Module 5e, Gesellschaft für Technische Zusammenarbeit –GTZ Eschborn"

      15 Zhang, Y., "Traffic assignment considering air quality" 497-502, 2010

      16 UNFCCC, "Submission by the Republic of Korea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17 Khiyami, A., "Structural Analysis of Specific Environmental Traffic Assignment Problems" 2327-2332, 2018

      18 Giannakos, L., "Simulating traff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pedestrianization and traffic management. A comparison between static and dynamic traffic assignment" 24 : 313-320, 2017

      19 Anderson, W. P., "Simulating automobile emissions in an integrated urban model" 1520 (1520): 71-80, 1996

      20 Szeto, W. Y., "Road network equilibrium approaches to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32 (32): 491-518, 2012

      21 Tsanakas, N., "Reduction of errors when estimating emissions based on static traffic model outputs" 22 : 440-449, 2017

      22 Ortuzar, J., "Modelling transport" John wiley & sons 2011

      23 Nair, H. S., "Modeling trip duration for mobile source emissions forecasting" 6 (6): 17-32, 2003

      24 Hatzopoulou, M., "Integrating vehicle emission modeling with activity-based travel demand modeling : case study of the Greater Toronto, Canada, Area" 2011 (2011): 29-39, 2007

      25 Kim, Y, "Impact of traffic flows and wind directions on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in Seoul, Korea" 45 (45): 2803-2810, 2011

      26 Tayarani, M., "Evaluating the cumulative impacts of a long range regional transportation plan: Particulate matter exposur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 performance" 63 : 261-275, 2018

      27 Benedek, C. M., "Equitable traffic assignment with environmental cost functions" 124 (124): 16-22, 1998

      28 Group, L. B., "Emissions benefits of land use planning strategies" FHWA 2004

      29 Patil, G. R., "Emission-based static traffic assignment models" 21 (21): 629-642, 2016

      30 Venugopal, 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ink-Level Vehicle Emission Inventory for the Metropolitan Area" 2769-2781, 2014

      31 Park, S., "Comprehensive analysis of GHG emission mitigation potentials from technology policy options in South Korea’s transportation sector using a bottom-up energy system model" 62 : 268-282, 2018

      32 Wismans, L., "Comparison of estimation of emissions based on static and dynamic traffic assignment models" 1-18, 2013

      33 Tayarani, M., "Can regional transportation and landuse planning achieve deep reductions in GHG emissions from vehicles?" 63 : 222-235, 2018

      34 Bureau of Public Roads, "Calibrating and Testing a Gravity Model for Any Size Urban Area"

      35 Venigalla, M. M., "A specialized equilibrium assignment algorithm for air quality modeling" 4 (4): 29-44, 1999

      36 Wang, H., "A bottom-up methodology to estimate vehicle emissions for the Beijing urban area" 407 (407): 1947-1953, 2009

      37 Tian, X., "A bibliometric analysis on trends and characters of carbon emissions from transport sector" 59 : 1-10, 2018

      38 환경부,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기본 로드맵 수정안"

      39 환경부, "2019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환경부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19

      40 IPCC,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79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