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복궁 녹산(鹿山)의 성립과 경관적 의의 =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Landscape Meaning of Noksan in Gyeongbokgung Pal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48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녹산은 경복궁 내부에 위치한 구릉 형태의 녹지로서 문화재공간으로 주목받지 못한 장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녹산이 성립된 배경과 변화 양상을 고찰하여 경관적 의의를 도출하고자 실록, ...

      녹산은 경복궁 내부에 위치한 구릉 형태의 녹지로서 문화재공간으로 주목받지 못한 장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녹산이 성립된 배경과 변화 양상을 고찰하여 경관적 의의를 도출하고자 실록, 지도류, 사진에 대한 문헌 분석과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녹산의 정체성은 풍수적 내맥(來脈), 소나무림, 사슴과 관련되며, 경관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복궁전도」 외 다수의 고지도에는 백악으로부터 경복궁 내부까지 이어지는 산줄기들이 묘사되었는데, 그중에서 녹산은 강녕전과 문소전으로 이어지는 내맥에 위치함으로써 형성된 숲이다. 북궐도상에서 녹산에는 육우정(六隅亭), 남여고(藍與庫), 녹직처소(鹿直處所), 그리고 남북 방향의 어구와 담장이 표현됨으로써 최소한의 시설과 숲으로 구성된 원형경관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세종대에 경복궁의 북쪽 궁장이 건설되었으며, 경복궁 창건 시기에 연조 뒤쪽부터 신무문 안쪽을 후원으로 인식했던 반면에 경복궁 중건 시기는 신무문 밖에 새로운 후원 영역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녹산만 내맥의 산줄기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신무문 밖 후원에 대규모 관사가 건립되고 경무대 부지에 총독관저와 도로가 개설되면서 지형이 크게 변화되었다. 여기에 1967년 청와대와 녹산 사이의 청와대로가 신설되면서 녹산은 백악산록과 단절되었다.
      셋째, 내청룡에 해당하는 경복궁 북동쪽의 풍수적 형세가 부족하여 소나무를 심어 지맥을 배양하였던 점과 임진왜란 이전 경복궁 배치도에 ‘소나무밭(松田)’이라고 표현된 사실에서 녹산의 원형이 된 숲의 주요 성상을 파악하였다. 발굴조사로 확인한 상수리나무, 벚나무, 느릅나무, 밤나무가 어우러진 소나무림을 원형 식생경관으로 이해할 수 있다. 녹산에는 성토로 인하여 어구가 사라지는 등 지형이 바뀌고 아까시 등 외래수종과 관상용 향나무 등이 식재되었다. 현재는 소나무림의 비중이 줄고 상수리나무림, 낙엽활엽수혼효림, 일부 가죽나무림과 버드나무림으로 구성된 숲을 이루고 있다.
      넷째, ‘녹산(鹿山)’이라는 명칭이 신령, 장수, 영생, 왕권을 상징하는 사슴으로부터 유래된 사실을 ‘경복궁 녹원에서 기르던 사슴 일곱 마리 중에 한 마리가 굶어죽었다’는 대한매일신보 기사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ksan is a green area in the form of a hill located inside Gyeongbokgung Palace, unrecognized as a cultural heritage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and the actual site to derive its landscape meaning by examining the background for the for...

      Noksan is a green area in the form of a hill located inside Gyeongbokgung Palace, unrecognized as a cultural heritage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 and the actual site to derive its landscape meaning by examining the background for the formation of Noksan and how it changed. As a result, the identity of Noksan was related to the geomagnetic vein, pine forest, and deers, and the following are its landscape meaning.
      First, several ancient maps, including the 「Map of Gyeongbokgung Palace」 depicted the mountain range continuing from Baegaksan(Bugaksan) Mountain to areas inside Gyeongbokgung Palace, and Noksan is a forest located on the geomantic vein, which continues to Gangnyeongjeon Hall and Munsojeon Hall. On Bukgwoldo(Map of Gyeongbokgung Palace), Noksan is depicted with Yugujeong Pavilion, Namyeogo Storage, office for the manager of Noksan, the brook on north and south, and the wall. It can be understood as a prototypical landscape composed of minimal facilities and the forest.
      Second, the northern palace walls of Gyeongbokgung Palace were constructed in King Sejong’s reign. The area behind Yeonjo(king’s resting place) up to Sinmumun Gate(north gate of the palace) was regarded as the rear garden when Gyeongbokgung Palace was constructed. However, a new rear garden was built outside the Sinmumun Gate when the palace was rebuilt. Only Noksan maintained the geomantic vein under the circumstance. However, the geographical features changed enormous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hen they constructed a huge official residence in the rear garden outside the Sinmumun Gate and the residence of the governor-general and road in the site of the Blue House. Moreover, Noksan was severed from the foothill of Baegaksan Mountain when ‘Cheongwadae-ro(road)’ was constructed between the Blue House and Noksan in 1967.
      Third,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the forest, which became the origin of Noksan,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geomatic state of the northeastern side of Gyeongbokgung Palace, the naecheongnyong area in geomantic terms(the innermost ‘dragon vein’ among the veins that stretched out from the central mountain toward the left side), and they planted pine trees to reinforce the ‘ground vein’ and the fact that it was expressed as the ‘Pine Field’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pine forest, mixed with oaks, cherries, elms, and chestnuts, identified through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original vegetation landscape. Noksan’s topography changed; a brook disappeared due to mounding, and foreign species such as acacia and ornamental juniper were planted. Currently, pine trees’ ratio decreased while the forest is composed of oaks, mixed deciduous trees, some ailanthus, and willow.
      Fourth, the fact the name, ‘Noksan,’ came from the deer, which symbolized spirit, longevity, eternal life, and royal authority, was confirmed through an article of The Korea Daily News titled ‘One of the seven deers in Nokwon(deer garden) in Gyeongbokgung Palace starved to deat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학습원대학 동양문화연구소 홈페이지"

      4 서울미래유산 홈페이지, "청와대 기초현황조사서"

      5 조법종, "청산별곡에 나타난 새와 사슴의 한국고대 종교문화적전통" 14 : 467-488, 1998

      6 박계옥, "주몽신화에서의 홍수모티프 연구" 32 : 195-217, 2004

      7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

      8 이정국, "조선전기 경복궁의 침전(寢殿)과 후원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0 (20): 131-146, 2011

      9 김현욱, "조선왕조실록 분석을 통한 경복궁과창덕궁 후원의 공간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18 (18): 41-50, 2000

      10 양보경, "조선시대의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83 : 85-106, 1997

      1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학습원대학 동양문화연구소 홈페이지"

      4 서울미래유산 홈페이지, "청와대 기초현황조사서"

      5 조법종, "청산별곡에 나타난 새와 사슴의 한국고대 종교문화적전통" 14 : 467-488, 1998

      6 박계옥, "주몽신화에서의 홍수모티프 연구" 32 : 195-217, 2004

      7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

      8 이정국, "조선전기 경복궁의 침전(寢殿)과 후원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0 (20): 131-146, 2011

      9 김현욱, "조선왕조실록 분석을 통한 경복궁과창덕궁 후원의 공간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18 (18): 41-50, 2000

      10 양보경, "조선시대의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83 : 85-106, 1997

      11 공우석, "조선시대 이전의 식생 간섭사" 14 (14): 33-48, 2000

      12 정종수, "조선시대 궁궐원유의 변천에 관한 연구 : 경복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2004

      13 정우진, "조선시대 궁궐 후원의 체제와 운용 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14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5 김태홍, "우리나라 사슴고기와 노루고기 조리법의 역사적 고찰" 12 (12): 275-287, 1997

      16 문화재청, "사진으로 보는 경복궁" 2006

      17 문화재청, "궁궐의 현판과 주련" 수류산방 2007

      18 "국토정보지리원 홈페이지"

      19 홍순민, "고종대 경복궁 중건의 정치적 의미" 서울학연구소 (29) : 57-82, 2007

      20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고적·관사·사법·행형 등 일제시기 건축도면콘텐츠"

      21 이혜원, "경복궁 중건 이후 전각구성의 변화 : 「경복궁배치도」와 「북궐도형」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22 정우진, "경복궁 아미산의 조영과 조산설(造山說)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30 (30): 72-89, 2012

      23 문화재관리국, "경복궁 복원정비 기본계획보고서" 1994

      24 문화재청, "경복궁 변천사(하)" 2007

      25 문화재청, "경복궁 변천사(상)" 2007

      26 문화재청, "경복궁 녹산지역 발굴조사보고서" 2005

      27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Library, "Monument at palace, erected where the late Queen's body was burned after she had been kill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5 0.58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