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천서(天書)인가 인서(人書)인가 - 도교 경전의 특수성과 대중화 문제에 대한 소고 -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aoist Scriptures and their Transmission and Popular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376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략적으로 도교의 경전관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해 볼 수 있다. 우선 경전이란 계시에 의해 세상에 전달된 天書이며 우주창생과 보편구제의 힘을 가진 聖物이라고 믿는 관점이 있다. 그리...

      대략적으로 도교의 경전관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해 볼 수 있다. 우선 경전이란 계시에 의해 세상에 전달된 天書이며 우주창생과 보편구제의 힘을 가진 聖物이라고 믿는 관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는 달리 경전이란 道를 체득하고 세계의 참된 본질을 파악하는 데 보조적인 도구로서, 그것과 진리 그 자체는 구별해야 함을 강조하는 경전관이 있다. 전자의 경우는 주로 위진남북조를 중심으로 유행하던 경전관으로서 경전의 절대적 권위가 인정된다. 특별히 이러한 경전관은 유교나 불교와 차별되는 가장 도교다운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후자는 송대 이후 삼교합일적인 특성을 가진 개혁도교를 중심으로 나타나며 특히 金元시기의 全眞敎와 내단분파의 문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전관이다. 이 경우 언어와 문자의 한계를 강조하며 경전 자체의 신적 유래나 절대적 권위를 인정하지 않고 경전을 인간적 산출물로 여긴다.
      경전관에 따라 경전의 작성, 그리고 전수와 보급의 양상이 달라진다. 경전을 天書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경전을 엄격하게 취급하여 자격을 갖춘 이들에게만 비의적으로 전수하거나 교단의 엄격한 계율과 의례를 거쳐 전수한다. 이러한 경우 경구의 상당부분이 상징과 비유를 사용함으로 해독이 어렵다. 따라서 경전 자체뿐 아니라 주석 역시 일반적인 공유의 대상이 되기 어려워 도교전문가들의 전유물일 수밖에 없다. 두 번째 경전관이 부상하는 북송시대 이후에는 주로 개인의 자력적인 수행을 중시하는 내단전통과 민중도교의 흐름이 공존하는데 경전의 자격을 부여하는데 엄격하지 않아 내단문헌과 대중적인 권선서, 주술적인 道法에 관한 문헌 등, 다수의 문헌이 도교경전 안으로 편입되며 심지어 유교와 불교의 경전도 다수 포함된다. 그리고 경전을 인간적 깨달음의 산물, 곧 人書로 취급하므로 경전의 전수와 보급이 용이하며 경전의 경구가 교육과 학습, 이성적 논의의 대상이 된다. 金元시대 全眞敎의 경우 道觀에서 도사들이 집단적으로 경전을 학습하고 토론한다. 또한 경전에 대한 자율적인 재해석과 경전의 재창출을 허용하는데 이러한 태도는 송대 이후 도교의 고유한 특색이라고 평가된다.
      그러나 북송 이후에도 분파에 따라 天書로서의 경전관, 그리고 경구의 주술적 힘에 대한 강한 신앙을 강조하고 비의적 전수를 중시하는 경향은 계속 이어져 왔다. 도가 가지는 초월적인 차원은 신적 계시에 의해서만 인간에게 공개되고 접근될 수 있다는 믿음이 여전히 도교전통 안에 내재하였던 것이다.
      도교경전의 대중화 혹은 대중적 보급은 두 가지 차원으로 진행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비의적으로 전달되어 소수의 도교전문가들 사이에서만 통용되던 경전이 지식계층의 도사집단이나 신도집단에게 전달되고 교육되는 대중화의 차원이 있고 일반 평민계층에게 경전이 보급되는 대중화의 차원이 있다. 전진교의 경우 도사들 대상의 집단적 경전강의나 평신도 집회에서의 경전교육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졌지만 그것은 일반 평민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지식층을 중심으로 한 것이었다.
      이와 다른 차원의 도교경전의 대중화는 북송 이후 민중도교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다양한 勸善書 들과 같이 지식이 없는 일반 평민들도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는 대중적 도교문헌들이 작성, 보급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보급, 공유되는 경전의 종류와 수가 매우 제한...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iew of scripture, i.e. attitude toward authority of scripture or standpoint as to interpretation of scripture, varies from religious tradition to religious tradition. Even within the same religious tradition, the view of scripture may be determin...

      The view of scripture, i.e. attitude toward authority of scripture or standpoint as to interpretation of scripture, varies from religious tradition to religious tradition. Even within the same religious tradition, the view of scripture may be determined by era and religious denominations. It is noteworthy that Daoism does not have standard view of scriptures itself.
      The characteristics of Daoism, i.e. a religion of interwoven complexity and high flexibility, are reflected on 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its scripture. Daoist Canon, a massive accumulation of texts, is a collection of numerous texts with far-reaching diversity. All in all, scripture of Daoism may be characterized by diversity and flexibility.
      It would be worthwhile to identify a common factor behind consolidation of numerous Daoist texts of such diversity into one. It can be derived that Daoist texts are based on the metaphysics and cosmology centered on Dao and Qi (i.e. Breath, or Energy). The cosmology, involving a process starting from Dao(i.e. the One, the matrix of the whole universe) to creation of a myriad of things via a medium of Qi serves a framework to build a fundamental structure for religious practices of Daoism. Daoist endeavors to revert the process of such creation (i.e. from a myriad of things to Dao) as part of effort to reach the mystical union with Dao. The mechanism involving creation of all things based on Dao and Qi and circulation thereof serves as a fundamental basis to support all the doctrines and facilitate religious practices of Daoism. With a common theoretical framework, each denomination of Daoism documented its own texts and the view of scriptures during a particular time period while other denomination pursued its own way.
      We can find two different views on Daoist scriptures as follows: First, a group of traditions, such as Shangqing Tradition, Lingbao Tradition and Celestial Masters Tradition, deems scripture to hale a divine origin and power. Such traditions recognize that scriptures are literal expressions of Dao and believe that scriptures are sacred things which manifest the Sacred itself and possess sacred power themselves. Such scriputres are believed not to be works written by humans but revelations by gods as the messengers of the Dao. So, absolute authority is granted to scriptures in cases of such traditions.
      In contrast, a group of Inner Alchemy traditions such as Quanzhen Tradition places heavier weight on a practical value of scriptures than absolute authority thereof. The underlying concept is that scripture is something that presents a gateway to Dao but distinguished from Dao itself due to its inherent limitations as it is structured in character letters of a human. In this regard, scripture may be treated as auxiliary means to accomplish religious goals. The practices of adepts are stressed more than reliance on teaching of scripture. Different attitudes toward scriptures may be interlinked with understanding of character letters or languages. Furthermore, it may have an inter-linkage with understanding of salvation whether to be fulfilled via divine power or own efforts exerted by a human.
      The views on scriptures have an influence on the transmissions and propagation of scriptures. In case of traditions such as Shangqing School and Lingbao School that regard the scriptures as sacred things, the scriptures are transmitted in esoterical forms very cautiously. Therefore, the propagation of scriptures are not easily achieved. On the contrary, Daoist schools such as Quanzhen school transmit and propagate the scriputures freely because they see scriptures just as human works not revealed by deities but witten by humans.
      In conclusion, authority and status of Daoist texts differs from one to another, lacking consistency. In comparison with other religious traditions, Daoism permits free and flexible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Free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even led to variation and recreation of scriptu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神塚淑子, "六朝道敎思想の硏究" 創文社 1999

      2 小林正美, "六朝道敎史硏究" 創文社 1990

      3 吉川忠夫, "六朝道敎の硏究" 春秋社 1998

      4 郝勤, "龍虎丹道 : 道敎內丹術" 四川人民出版社 1994

      5 길희성,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전통문화연구회 2001

      6 張君房, "雲笈七籤" 中華書局 2003

      7 蜂屋邦夫, "金元時代の道敎-七眞硏究-" 汲古書院 1998

      8 張廣保, "金元全眞道 內丹心性學" 新華書店 1995

      9 蜂屋邦夫, "金代道敎の硏究-王重陽と馬丹陽-" 汲古書院 1992

      10 陳國符, "道藏源流攷" 祥生出版社 1975

      1 神塚淑子, "六朝道敎思想の硏究" 創文社 1999

      2 小林正美, "六朝道敎史硏究" 創文社 1990

      3 吉川忠夫, "六朝道敎の硏究" 春秋社 1998

      4 郝勤, "龍虎丹道 : 道敎內丹術" 四川人民出版社 1994

      5 길희성,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전통문화연구회 2001

      6 張君房, "雲笈七籤" 中華書局 2003

      7 蜂屋邦夫, "金元時代の道敎-七眞硏究-" 汲古書院 1998

      8 張廣保, "金元全眞道 內丹心性學" 新華書店 1995

      9 蜂屋邦夫, "金代道敎の硏究-王重陽と馬丹陽-" 汲古書院 1992

      10 陳國符, "道藏源流攷" 祥生出版社 1975

      11 朱越利, "道藏分類解題" 華夏出版社 1996

      12 朱越利, "道經總論" 洪葉文化事業有限公司 1993

      13 李德范, "道敎經典精華" 宗敎文化出版社 1999

      14 吉岡義豊, "道敎經典史論" 五月書房 1988

      15 神塚淑子, "道敎經典の形成と佛敎" 名古屋大學出版会

      16 增尾伸一郞, "道敎の經典を讀む" 大修館書店 2001

      17 砂山稔, "道敎の神々と經典" 雄山閣出版 2001

      18 大淵忍爾, "道敎とその經典" 創文社 1997

      19 张泽洪, "论唐代道教的写经" (65) : 2000

      20 王承文, "敦煌古靈寶經與晋唐道敎" 中華書局 2002

      21 王建華, "唐宋時期道敎典籍出版史硏究" 西南交通大學 2012

      22 杨秀清, "唐宋时期敦煌大众的道教知识与思想—以敦煌文献为中心的研究" (3) : 2015

      23 土屋昌明, "唐代道敎の 文字観 -「雲笈七籤」巻7訳注硏究" (249) :

      24 张泽洪, "唐代敦煌道教的传播" 春之 : 2001

      25 橫手裕, "全眞敎の變容" 2 : 1990

      26 鈴木健郞, "內丹の技法と思想 -「悟眞篇」の例-" 東京大學宗敎學硏究室 14 : 1996

      27 張繼禹, "中華道藏" 華夏出版社 2004

      28 卿希泰, "中國道敎史 第1-3卷" 사천인민출판사 1994

      29 任繼愈, "中國道敎史 上" 桂冠圖書公司 1998

      30 小林正美, "中國の道敎" 創文社 1998

      31 W. C. Smith, "What is Scripture?" SCM Press Ltd 1993

      32 Schipper, Kristofer, "The Taoist Canon: A Historical Companion to the Daozang. 3 vols" Chicago University Press 2004

      33 Lai Chi-Tim, "The Cult of Spirit-Writing in the Qing: The Daoist Dimension" 8 : 2015

      34 Boyd, David, "The "Other" Dao in Town Early Lingbao Polemics on Shangqing" 7 : 2014

      35 I. Robinet, "Taoist Meditation"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1993

      36 Russell Kirkland, "Taoism: The Enduring Tradition" Routledge 2004

      37 I. Robinet, "Taoism -Growth of Religion" Stanford Univ. Press 1997

      38 L. Kohn, "Daoism Handbook" Brill 2000

      39 Henderson, Scripture, "Canon, Commentary" Princeton Univ., Press 1991

      40 J. M. Boltz, "A Survey of Taoist Literature-Tenth to Seventeenth century"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 of California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66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