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의고시 창작의 전통을 고찰하고, 신흠의 <後十九首>에 나타 난 擬古의 양상을 이반룡의 <古詩後十九首>와 비교하여 분석한 것이 다. 의고시는 광의적 개념과 협의적 개념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91071
이훈 (강원대학교)
2020
Korean
고시십구수 ; 의고시 ; 이반룡 ; 고시후십구수 ; 신흠 ; 후십구수. ; Gosisipgusu(古詩十九首) ; Archaic poems(擬古詩) ; Li Pan-long(李攀 龍) ; Gosihusipgusu(古詩後十九首) ; Shin Heum(申欽) ; Husipgusu (後十九首)
KCI등재
학술저널
9-44(3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의고시 창작의 전통을 고찰하고, 신흠의 <後十九首>에 나타 난 擬古의 양상을 이반룡의 <古詩後十九首>와 비교하여 분석한 것이 다. 의고시는 광의적 개념과 협의적 개념을 ...
본고는 의고시 창작의 전통을 고찰하고, 신흠의 <後十九首>에 나타 난 擬古의 양상을 이반룡의 <古詩後十九首>와 비교하여 분석한 것이 다. 의고시는 광의적 개념과 협의적 개념을 지니는데, 본고에서는 협의 적 개념을 적용하여 의고시를 <古詩十九首>를 모의한 작품군으로 규정 하였다. 전통적으로 의고시는 學詩의 과정, 전범의 재현, 내면화된 서정 성의 구현 등의 목적으로 창작되었다. <고시십구수>의 체재를 모의한 양상에 있어 신흠의 <後十九首>는 이반룡의 <古詩後十九首>에 비해 파격적이고 독자적인 면모를 보인다. 운자의 운용 방면에서 이반룡은 엄격한 일운도저 위주의 압운법을 운용 하였고, 신흠은 임의적인 환운 위주의 압운법을 운용하였다. 그리고 원 작의 句數를 운용하는 방면에서 이반룡은 원작의 구조를 최대한 유지하 면서 자신의 관점으로 원작의 詩意를 해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반 면에 신흠은 원작의 구조를 유지하기도 하고 변형시키기도 하면서 독자 적인 詩意와 내면화된 서정성을 구현하는 데에 주력하였다. <고시십구수>의 대표적인 수사적 특징은 疊字와 連環句의 사용이다. 양자는 모두 첩자를 사용하여 강한 리듬감을 형성하면서 공간과 인물에 생동감을 부여하였다. 이반룡은 연환구를 사용하지 않은 반면에 신흠은 <고시십구수>보다 더 많은 횟수로 연환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점은 신흠의 <後十九首>가 이반룡의 <古詩後十九首>와 구별되는 주요한 특징으로, 신흠은 원작의 시의와 정서를 유지하면서 유배지에서 느끼는 자신의 여러 가지 情意를 우회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연환구를 활용하였 다. 요컨대 신흠의 <後十九首>는 형식적인 모의를 넘어 <고시십구수> 가 지닌 諷刺의 정신과 寓意의 기법을 자기화함으로써 현실과의 갈등과 그 극복의지를 형상화한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tradition of archaic poems creation, and analyzes the aspects of archaism in Shin Heum(申欽)'s <Husipgusu(後十九首)> by comparing with <Gosihusipgusu(古詩後十九首)> by Li Pan-long(李攀龍). The concept...
This study examines the tradition of archaic poems creation, and analyzes the aspects of archaism in Shin Heum(申欽)'s <Husipgusu(後十九首)> by comparing with <Gosihusipgusu(古詩後十九首)> by Li Pan-long(李攀龍). The concept of archaic poems is divided into two types: broad and narrow. In this study, the latter is applied and the archaic poems are defined as a group of works that imitated <Gosisipgusu(古詩十九首)>. Traditionally, the archaic poems were created for the purposes such as process of learning poems,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ones, and embodiment of internalized lyricism. Looking at the aspects of how the two writers imitated the original poems, <Gosisipgusu>, Shin Heum's work shows a more unconventional and unique features than Li Pan-long's work. Li Pan-long focused on reinterpreting the poetic themes of <Gosisipgusu>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it as much 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Shin Heum concentrated on not only maintaining or transforming the structure of the original poems, but also realizing his own poetic themes and internalized lyricism. The use of circular phrases(連環句) and repeated words(疊字) are the representative rhetorical figures in <Gosisipgusu>. Both writers, by using the repeated words, created a strong sense of rhythm so that could enliven the poetic space and characters. Li Pan-long didn't use the circular phrases, whereas Shin Heum used it frequently. This is a noticeable difference in imitating of the original poems between Li and Shi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왕 력, "중국시율학2" 소명출판 2005
2 김준연, "이백 시에 활용된 첩자의 수사적 기능 연구" 한국중국학회 (89) : 51-77, 2019
3 신정수, "의고의 형식과 유가의 코드 : 18세기 영남 문인 權萬의 「和古詩十九首」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66) : 291-316, 2015
4 부유섭, "신흠과 명대 문학—명대 복고시학과 저술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65) : 123-151, 2014
5 이규일, "문선 수록 잡의시의 창작유형" 한국중국문화학회 (59) : 61-79, 2018
6 이규일, "고시 『동성고차장』의 모의 양상 고찰" 대한중국학회 (71) : 93-111, 2020
7 成俔, "風騷軌範"
8 韋應物, "韋蘇州集"
9 權近, "陽村集"
10 李宜顯, "陶谷集"
1 왕 력, "중국시율학2" 소명출판 2005
2 김준연, "이백 시에 활용된 첩자의 수사적 기능 연구" 한국중국학회 (89) : 51-77, 2019
3 신정수, "의고의 형식과 유가의 코드 : 18세기 영남 문인 權萬의 「和古詩十九首」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66) : 291-316, 2015
4 부유섭, "신흠과 명대 문학—명대 복고시학과 저술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65) : 123-151, 2014
5 이규일, "문선 수록 잡의시의 창작유형" 한국중국문화학회 (59) : 61-79, 2018
6 이규일, "고시 『동성고차장』의 모의 양상 고찰" 대한중국학회 (71) : 93-111, 2020
7 成俔, "風騷軌範"
8 韋應物, "韋蘇州集"
9 權近, "陽村集"
10 李宜顯, "陶谷集"
11 馮班, "鈍吟雜録"
12 이훈, "金始鑌의 <李白古風次韻>에 나타난 李白 <古風> 수용과 변주 – 작법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78) : 311-342, 2020
13 姜彝天, "重菴稿"
14 金昌協, "農巖集"
15 閔遇洙, "貞菴集"
16 申欽, "象村稿"
17 정용건, "象村 申欽의 擬古樂府 창작에 미친 明代 文學論의 영향 — 「漢鐃歌」 18곡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70) : 59-89, 2018
18 張維, "谿谷集"
19 孫蕡, "西菴集"
20 成俔, "虛白堂集"
21 金鑢, "藫庭遺藁"
22 元天錫, "耘谷行錄"
23 成侃, "眞逸遺藁"
24 白居易, "白氏長慶集"
25 徐陵, "玉臺新詠"
26 李穡, "牧隱藁"
27 李攀龍, "滄溟集"
28 嚴羽著, "滄浪詩話校釋" 人民文學出版社 2005
29 洪奭周, "淵泉集" 한국고전번역원
30 王士禎, "池北偶談"
31 郭茂倩, "樂府詩集"
32 徐居正, "東文選" 한국고전번역원
33 蘇軾, "東坡全集"
34 李白, "李太白文集"
35 심경호, "朱子『齋居感興詩』와 『武夷櫂歌』의 조선판본" 한국서지학회 14 : 1994
36 우경섭, "月汀學派의 형성과정 및 학풍에 관한 試論" 근역한문학회 36 : 9-30, 2013
37 朱熹, "晦庵集"
38 조석래, "於于의 擬古詩十九首연구"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11 : 1987
39 柳夢寅, "於于集"
40 徐師曾, "文體明辨序說" 人民文學出版社 1998
41 蕭統, "文選"
42 陳德秀, "文章正宗"
43 何景明, "大復集 - 이상 문연각사고전서CD"
44 장유승, "前後七子 수용과 秦漢古文派 성립에 대한 비판적 고찰" 근역한문학회 36 : 97-128, 2013
45 李揆一, "再現의 시학 ― 陸機의 <擬古詩> 12수" 중국어문연구회 (26) : 119-138, 2004
46 임준철, "『風騷軌範』의 編纂과 體裁 특성 연구" 한국시가학회 48 : 129-164, 2019
47 장유승, "17세기 고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2
48 강명관, "16세기 말 17세기 초 의고문파의 수용과 진한고문파의 성립" 한국한문학회 18 : 1995
心山 金昌淑의 ‘記’ 연구(Ⅱ) − <萬仰亭記>, <烈婦光山金氏旌閭重修記>, <德崇軒記>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2 | 1.058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