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디어역량 모델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Basic Study for Developing Media Competency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933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 전 영역에서 활용가능한 문화역량모델 개발을 논의하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기업교육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미디어 분야의 고성과자를 대상으로 한 패널 워크숍, 전문가 검증 등을 실시하여 문화역량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분야에서 달성해야할 핵심성과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업무의 효율성 증대, 창의적 기획 가능, 미디어 환경 변화,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 및 참여 증대, 관계능력 향상, 자기성찰의 기회 증대, 자기만족과 같다. 이러한 핵심성과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문화역량은 62개가 구명되었으며, 각 역량에 대한 역량정의와 행동지표를 도출하여 최종적인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 전 영역에서 활용가능한 문화역량모델 개발을 논의하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기업교육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 전 영역에서 활용가능한 문화역량모델 개발을 논의하고 학교교육, 평생교육, 기업교육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미디어 분야의 고성과자를 대상으로 한 패널 워크숍, 전문가 검증 등을 실시하여 문화역량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분야에서 달성해야할 핵심성과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업무의 효율성 증대, 창의적 기획 가능, 미디어 환경 변화,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 및 참여 증대, 관계능력 향상, 자기성찰의 기회 증대, 자기만족과 같다. 이러한 핵심성과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문화역량은 62개가 구명되었으며, 각 역량에 대한 역량정의와 행동지표를 도출하여 최종적인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hich can be applied for all the fields in one's life and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y of media part for school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corporate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of media part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anel workshop with high-performers of media part, and experts verificat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core performance of media part was identified. They wer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possibility of creative design, change of media context, increase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to social cultur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skill, increase of chance of self-examination, and self-satisfaction. It was 62 that The cultural competencies which were needed to achieve these core performance, then, finally the definition and standard of behaviors of each competencies were drawn and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as propo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hich can be applied for all the fields in one's life and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y of media part for school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corporate education. To 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hich can be applied for all the fields in one's life and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y of media part for school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corporate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of media part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anel workshop with high-performers of media part, and experts verificat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core performance of media part was identified. They wer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possibility of creative design, change of media context, increase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to social cultur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skill, increase of chance of self-examination, and self-satisfaction. It was 62 that The cultural competencies which were needed to achieve these core performance, then, finally the definition and standard of behaviors of each competencies were drawn and the cultural competency model was propo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문화역량
      • 2.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
      • 요약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1. 문화역량
      • 2.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
      • III. 미디어 분야의 문화역량모델 개발
      • 1. 미디어 분야의 개념 정의
      • 2. 미디어 분야의 핵심성과 도출
      • 3. 미디어 분야의 핵심역량 구명
      • 4. 미디어 분야의 역량별 행동지표 도출
      • I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