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Jung의 분석심리학에 입각한 미술의 치유적 기능 분석 : Louise Bourgeois의 작품에 나타난 개성화과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761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심리학자 Carl Gustav Jung(1875-1961)은 현대인의 마음의 병이 우리의 정신 속 무의식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말한다. 그는 인간의 치유를 위한 자기 인식(Self-knowledge)의 과정으로 ‘개성화(Individuatio...

      심리학자 Carl Gustav Jung(1875-1961)은 현대인의 마음의 병이 우리의 정신 속 무의식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말한다. 그는 인간의 치유를 위한 자기 인식(Self-knowledge)의 과정으로 ‘개성화(Individuation)'과정을 강조한다. 개성화과정에서 개인은 내면의 무의식의 원형을 발견하고, 그것을 의식화하여 진정한 ‘자기’로 나아간다고 하였다. 이러한 ‘자기’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꿈이나 무의식의 이미지에 대한 상징을 표출하는 창조적 과정을 중시하였다. 이는 미술치료에서 창작을 통한 치유라는 ‘치료로서의 미술(Art as Therapy)’의 관점에서 미술 고유가 가지는 치유적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심리치료에서 왜 미술이라는 매체가 치료로써 의미가 있는가에 대한 물음의 답을 위해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진단과 평가로써 활용되는 그림의 의미에서 더 나아가, 미술의 창작 과정에서 나타나는 치유력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술이 가지는 치유적 가능성에 대해 고찰이 필요하다.
      Jung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미술을 바라보는 시각은 무의식적 요소를 표현하는 의식적 방법으로서의 미술을 격려하였다. Jung은 내담자의 내부로부터 오는 능동적 심상을 끌어내어 형상으로 만드는 것은 무의식에 대한 객관화라고 보았다. 이것은 곧 자신의 심상과 느낌 상태를 표현하는 이미지의 시각화로 나타나, 의식이 무의식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 개성화 단계에 이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무의식의 원형은 상징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상징이란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 없는 것을 간접적으로 이미지를 통해 드러내는 것이다. Jung의 분석심리학에서 예술은 무의식의 산물로써,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상징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 점에서 시각예술에 나타난 상징에 대한 이해는 곧 한 인간의 무의식의 원형을 이해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Jung의 분석심리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미술의 내적 치유력을 개성화이론을 토대로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현대 작가 Louise Bourgeois(1911-2010)의 작품에서 개성화 이론이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녀는 삶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반복적으로 자신의 상처를 이미지의 상징으로 나타내고, 다양한 오브제와 기법을 통하여 창작 과정에서 자신의 내면세계를 치유해 나간다.
      Bourgeois의 작품에 나타난 내면의 변화를 개성화과정에 입각하여 분석한다는 것의 의의는 한 인간의 심리적 문제가 미술을 통하여 어떻게 치유되어 나갈 수 있는가에 대한 미술의 치유적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그녀는 작품 활동을 통해 무의식을 의식화함으로써, 자신의 심리적 외상을 다시 경험하고 재조합하며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자기 치유에 이른다. 페르소나와 자기를 구별하고, 억압된 그림자를 인식하며, 자기 안의 아니무스를 의식화하는 작업을 이미지 상징으로 나타내며 개성화과정의 여정을 밟는다. 본 연구를 통해 Bourgeois가 억압된 자신의 상처를 심상으로 대면하고 의식화하여 무의식적 원형을 상징화하는 작업은 Jung의 개성화과정에서 ‘자기’를 찾아가는 여정과 닮아 있음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무의식의 원형을 상징으로 의식화하는 과정을 자기와의 소통과 치유의 가능성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무의식에 대해 다루는 것은 객관화의 한계가 있으나, 이미지의 상징 과정에서 발견되는 미술의 치유력을 고찰함으로써, 한 예술가의 작품 세계에 대한 분석이 치유로서의 미술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기’로 나아가고자 하는 욕망은 누구에게나 있다. 하지만 두려움과 대면하고 자신의 무의식을 인식하여 의식화하고자 하는 과정을 누구나에게 쉬운 과정은 아니다. 미술치료에서 내담자에게 그러한 힘을 심어 주는 것이 치료사의 역할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 미술 자체가 가지는 치유적 과정에 대한 이해 없이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상징을 이해하고 이끌어 줄 수 없다고 본다. 그런 의미에서 자신의 치유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본보기인 예술가에 대한 고찰은 다 다양한 관점과 방법으로 계속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Psychologist Carl Gustav Jung(1875-1961) says there exists a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human subconsciousness and mental, inner pain. Jung emphasizes on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as a major step for one to reach Self-knowledge, and he believes, through Individuation one can discover his/her own subconscious mind and realize his/her true self. In this aspect, Jung focused on creating activities of images from subconsciousness or dreams, which raises a question on validity of artistic therapy, or Art as Therapy. Numerous studies have tried to answer whether/how to utilize art as a means to evaluate and diagnose one’s condition; however, further analysis on the process of art creation need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discover therapeutic functionality of art. In terms of Analytic Psychology, Jung viewed art as the conscious method of expressing unconscious elements, which leads to Individuation through visualizing and realizing one’s own identity.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rapeutic functionality of art and to draw upon the Individuation theory based on the Jung’s Analytic Psychology. Modern artist Louise Bourgeois(1911-2010), and her works a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n Individuation. Bourgeois is an artist who spent her lifetime trying to face her trauma and heal the inner self through creation of art, and in her pieces, Bourgeois symbolized the image of her inner pain with various objects and techniques. Analyzing Bourgeois’ works and her Individuation process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sider how one can experience healing effect through art creation. In case of Bourgeois, she conscientizes her subconsciousness by reexperiencing her trauma and, reorganizing, restructuring her inner self in order to achieve self healing. She distinguishes herself from persona, recognizes her repressed self, and conscientizes her animus, during the entire process of creating an art piece. Similarities have been found between Bourgeois’ work process and Jung’s Individuation process.
      This study as a result provide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Jung’s theory on the Individuation process, and the possibility of self healing through the conscientization of one’s subconsciousness. Rather than directly analyzing subconscious matters in vague senses, this study focuses on the works of an artist who spent entire lifetime trying to heal her inner self through art cre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theoretic basis for Art as Therapy. As a limitation, this study analyzes particular steps of the Individuation related to the works of Bourgeois, indicating the entire process of the Individuation has not been fully covered. Nonetheless, during this study, the symbols and images representing the Individuation process are care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is purposed to evaluate whether the art’s therapeutic possibility applies to non-artistic, ordinary people as wel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