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3.1 운동과 미주 한인사회 = March 1<sup>st</sup> Uprising and Its Impact on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3.1운동 관련 한인사회에 대한 선행연구를 보충하는 차원에서 첫째, 미국에서 미주한인들의 비공식 법적 위치가 공인된 헤멧 밸리 사건(1913)을 재조명하여 미주한인들이 미국에서 ...

      이 논문은 3.1운동 관련 한인사회에 대한 선행연구를 보충하는 차원에서 첫째, 미국에서 미주한인들의 비공식 법적 위치가 공인된 헤멧 밸리 사건(1913)을 재조명하여 미주한인들이 미국에서 적극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점을 지적하고, 둘째, 3.1운동 이후 전개된 미주한인들의 무장 독립운동사를 서술보고, 셋째, 3.1운동이후 미주 한인 여성들이 적극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한 사실을 강조하고, 넷째, 미국 언론이 보도한 3.1운동 소식 내용의 동향을 소개하고 분석한다.
      특히 헤멧 밸리 사건은 미국 거주 한인들이 비공식적으로 일본인이 아니라, 한국인으로서 법적 지위를 부여받음으로써 미주 한인들이 일본 식민국민이 아닌 한국인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사건이었다. 만주나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면서 일본 군대와 경찰의 탄압을 받았던 동포들과는 달리, 미주 한인은 일본의 간섭 없이 독립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수 있었다. 이는 초기 미주 한인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의 하나이며, 3.1운동 소식을 전해들은 미주 한인들 고무시키기에 충분했으며,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하는 동기가 되었다. 이는 여성에 의한 외교활동과 반일 경제활동 그리고 무장 독립운동으로 이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w did March 1<sup>st</sup> uprising of 1919 impact Korean immigrant community? Scholars and researchers previously focused on how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raised substantial amount of funds to support independence activitie...

      How did March 1<sup>st</sup> uprising of 1919 impact Korean immigrant community? Scholars and researchers previously focused on how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raised substantial amount of funds to support independence activities in the U.S. and elsewhere and how successfully launched pro-Korea/anti-Japan public relations campaign.
      In this paper, I focus on how the March 1st uprising impacted Korean immigrant community in four previously neglected areas: 1)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Hemet Valley incident” (1913) and how it laid the legal ground for Korean immigrants to continue independence activities in the United States, 2) how Korean immigrants called for direct military action against Japanese militarism, 3) how it engaged Korean immigrant women to independence movements, 4) content analysis of U.S. newspaper reporting of the March 1st uprising. stream before World War Ⅱ.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