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숙종대 국왕 종묘 전알(展謁)의 정식화와 의미 = The Enactment and meaning of King’s Bowing Ceremony in Jongmyo(展謁) during King Sookjong’s re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726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왕의 종묘 전알(展謁)은 전란 이후 종묘에 대해 친향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시행되다가 숙종대에 이르러 매년 시행하는 정기적인 의식으로 정해졌다. 전알은 제향에 비하면 배례(拜...

      국왕의 종묘 전알(展謁)은 전란 이후 종묘에 대해 친향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시행되다가 숙종대에 이르러 매년 시행하는 정기적인 의식으로 정해졌다. 전알은 제향에 비하면 배례(拜禮)를 행하고 실내를 봉심(奉審)하는 무척 단순한 의식에 불과하지만 국왕이 직접 대신들과 함께 종묘와 영녕전으로 향한다는 측면에서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국조오례의』의 규정상 국왕이 영녕전의 제향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았던 반면, 전알에 있어서는 종묘와 영녕전에 모두 국왕이 직접 배례를 행한다는 측면에서도 유의미했다. 재위 국왕은 별묘 영녕전까지 모두 접함으로써 조선왕조를 이어왔던 모든 선조를 뵈었던 것이다.
      국왕은 춘 1월과 추 7월에 주기적으로 대신들을 이끌고 종묘에 들어가 배례를 행함으로써 계승의 정당성을 보이는 것은 물론, 조정 질서의 중심에 서있다는 사실을 보여줄 수 있었다. 국왕의 조상들을 향해 국왕과 함께 배례를 하는 과정에서 대신들로 하여금 국왕이 어떤 존재인지, 왕실이 어떤 위상을 가지는지 몸소 체험하는 효과가 있었다. 본래는 종묘 오향대제를 통해 이러한 형식을 구현했지만 이를 한결같이 지키기 어렵기 때문에 연간 2회의 전알을 추가적으로 시행하여 정성을 더하고자 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한 해에 국왕이 종묘 친향과 춘추 전알을 모두 행할 경우 국왕과 대신들은 연간 3회 종묘를 접하게 되었다.
      종묘는 천명을 받아 건국했던 태조부터 조선 후기의 역대조가 모두 봉안되어 있는 곳이었다. 이것은 조선 건국으로부터 숙종의 즉위까지 약 282년의 시간동안 천명을 보존했다는 사실을 상징하는 것이다. 종묘에서 제향함으로써 조선을 건국하고 통치했던 역대조로부터 전해진 왕통이 인조로부터 효종, 현종을 거쳐 숙종 자신에게까지 전해졌다는 사실을 공적으로 과시할 수 있었다. 숙종대에 이르러서는 국왕의 종묘친향 뿐만 아니라 연간 2회의 전알까지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이러한 의미를 강조할 수 있었다. 숙종대에 성립된 이러한 종묘의례의 빈도와 강도는 삼종혈맥에 대해 강조되었던 영조대부터는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띠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eonal(展謁) ceremony of Jongmyo was usually performed when they unable to perform the sacrifice cause of the situations, battle or king’s sickness.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Sookjong, it was formalized as a regular ceremony held every year...

      The Jeonal(展謁) ceremony of Jongmyo was usually performed when they unable to perform the sacrifice cause of the situations, battle or king’s sickness.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Sookjong, it was formalized as a regular ceremony held every year. Compared with the sacrifice, the Jeonal is a very simple ceremony to perform. Jeonal ceremony was simply composed with a bowing(拜禮) and observing the interior(奉審) of Jongmyo. Howev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mportance because the king heading to Jongmyo and Yeongnyeongjeon with his ministers and government officers. In the regulation of Gukjooreui(國朝五禮儀), the king didn’t perform any ceremonies or sacrifices to Yeongnyeongjeon. However, through the Jeonal ceremony, the king could contact both of Jongmyo and Yeongnyeongjeon. It means the king contacted all of ancestor’s of Jongmyo and Yeongnyeongjeon.
      After the King Sookjong ’s reign, the king did the Jeonal ceremony every year of January and July, and the king was able to show the legitimacy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by entering the Jongmyo and bowing down. It also meant that the king himself was at the center of political order.
      Jongmyo was the place where all the ancestors’ tablets were enshrined, from King Teajo(太祖), who founded Joseon with mandate of heaven(天命), to the kings of late Joseon Dynasty were established. This symbolizes the fact that, from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reign of King Sookjong, the ‘mandate of heaven’ was preserved for about 282 years. At the time of King Sookjong's reign, he was able to emphasize this meaning by performing not only the king's sacrifice but also two additional Jeonal ceremonies per yea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제훈,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2 신진혜, "조선후기 종묘의례 연구" 고려대학교 2019

      3 이왕무, "조선후기 종묘 행행의 추세와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75) : 205-232, 2015

      4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8

      5 이영춘, "조선후기 왕위계승 연구" 집문당 1998

      6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 의궤반차도와 거동기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7 한형주, "조선초기 국가제례 연구" 일조각 2002

      8 이현진, "조선시대 신덕왕후 부묘론의 의의" 54 : 2005

      9 이현진, "조선시대 다스림으로 본 성저십리" 서울역사편찬원 2019

      10 김문식, "조선시대 國家典禮書의 편찬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 (21) : 79-104, 2009

      1 강제훈,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2 신진혜, "조선후기 종묘의례 연구" 고려대학교 2019

      3 이왕무, "조선후기 종묘 행행의 추세와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75) : 205-232, 2015

      4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8

      5 이영춘, "조선후기 왕위계승 연구" 집문당 1998

      6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 : 의궤반차도와 거동기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7 한형주, "조선초기 국가제례 연구" 일조각 2002

      8 이현진, "조선시대 신덕왕후 부묘론의 의의" 54 : 2005

      9 이현진, "조선시대 다스림으로 본 성저십리" 서울역사편찬원 2019

      10 김문식, "조선시대 國家典禮書의 편찬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 (21) : 79-104, 2009

      11 김지영, "제례등록, 1 해제"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1

      12 송지원, "정조대 의례 정비와 ..春官通考.. 편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8) : 97-152, 2011

      13 이현진, "인조대 원종추숭론의 추이와 성격" 7 : 2000

      14 이현진, "인조대 丙子胡亂 직후 종묘의 정비 - 神主의 改造․改題 논의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65) : 163-202, 2013

      15 Roy Rappaport, "인류를 만든 의례와 종교" 황소걸음 2017

      16 황원구, "이조 예학의 형성과정" 6 : 1963

      17 Catherine Bell, "의례의 이해" 한신대학교출판부 2007

      18 이현진, "영정조대 종묘 世室論과 왕실의 위상 강화" 조선시대사학회 (38) : 201-234, 2006

      19 홍순민, "숙종초기의 정치구조와 「환국」" 15 : 1986

      20 윤정, "숙종대 太祖 諡號의 追上과 政界의 인식- 조선 創業과 威化島回軍에 대한 재평가 -" 국학연구원 (134) : 219-259, 2006

      21 Wechsler Howard,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고즈윈 2005

      22 박정자, "국조오례의와 그 속보편" 8 : 1974

      23 신진혜, "肅宗~英祖代 왕비․왕세자빈廟見 의례의 정치성 -明代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91) : 75-111, 2019

      24 李迎春, "朝鮮後期의 祀典의 再編과 國家祭祀" 한국사연구회 (118) : 7-220, 2002

      25 김문식, "『국조오례통편(國朝五禮通編)』의 자료적 특징" 한국문화연구원 12 : 65-106, 2007

      26 김지영, "18세기 후반 국가전례의 정비와 『춘관통고』" 30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82 1.924 0.08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