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목민서의 제사(題辭) 비교와 수령정치 구상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urt sentencing records of Mokminseo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Political Propos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72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갈등을 해결하고 조정하는 것이 결국 정치라는 점에서 청송은 수령 정치영역에서 중요 부분이었다. 수령은 백성들의 갈등을 조정하고 불만을 해소하면서 자신의 역량과 정치력을 발휘하고 ...

      갈등을 해결하고 조정하는 것이 결국 정치라는 점에서 청송은 수령 정치영역에서 중요 부분이었다. 수령은 백성들의 갈등을 조정하고 불만을 해소하면서 자신의 역량과 정치력을 발휘하고 이 과정에서 수령의 정치질서를 수립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수령의 역량과 정치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제사였다. 이 글에서는 조선 후기 목민서가 제공하는 갈등 처리 원칙과 제사 내용을 분석하여 수령의 정치 구상을 살펴보았다. 조선 후기 여러 갈등 중 수령의 정치적 업무 수행과 밀접한 관속-민 갈등과 양반-민 갈등분석을 시도하였다.
      관속-민 갈등을 처리하는 방식은 『목민고』와 『선각』이 유사하였다. 관속은 수령의 행정실무자로서 대민접촉이 활발하였다. 목민서는 관속의 비리가 민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끼치고 수령 행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엄격하게 재판할 것을 권하였다. 이를 통해 수령은 관속을 통제하고 민의 지지를 얻고자 하였다.
      양반-민 갈등을 처리하는 방식은 두 서적이 상이하였다. 양반-민 갈등은 범분과 침학으로 나눌 수 있다. 『목민고』는 사건의 이면을 파악하여 신분의 고하로 먼저 결론을 단정하지 말고 누가 피해를 보는지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잔약한 양반과 소민이 피해 입지 않기를 기대하였다. 또한 『목민고』는 향전과 양반들의 등장을 처리하는 방식도 제시하여 호강한 자들을 저지하고 소민 보호를 표방하였다. 『목민고』는 향촌 사회 지역민의 동향과 입장을 고려하면서 국가의 억강부약 정책 실현을 추구하였다. 이와 같은 『목민고』식 방안은 조선 후기 강화된 수령권을 토대로 억강부약을 실시하여 수령을 정점으로 하는 정치 질서 확립을 도모한 것으로 보인다.
      『선각』 역시 양반-민 갈등을 다루었다. 범분이 발생하면 민을 엄중히 다스리라고 하였다. 『선각』에서는 범분 발생의 원인이 양반에게 있어도 민을 가볍게 태벌하라 하여 『목민고』식 방법과 차이가 났다. 『선각』은 민이 분수를 어기는 행위를 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라고 여겼다. 양반의 산림천택 사점을 둘러싼 갈등에 대해서도 경전을 인용하여 그들이 깨달아서 비리가 없기를 기대하였다. 『선각』은 기존에 형성되어 온 향촌 신분 질서가 유지되어 각자의 신분에 맞게 행동하는 것을 지향하였다. 『목민고』와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선각』이 상대적으로 풍속·윤기 관련 갈등에 관심이 많고 통치 방법으로 교화를 강조했기 때문이다. 『선각』은 『목민고』 방식에 비해 갈등 해결에 소극적일지라도 현실 질서 붕괴를 저지하는 점진적 방안이었다. 이와 같은 『선각』식 방안은 향촌사회 양반과의 우호적 관계를 구축하여 지역 사회 협조를 모색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eongsong(聽訟) was an important part of the political domain of Suryong(守令) in the sense that resolving and mediating conflict is equivalent to politics. Suryong(守令) was able to establish political order by exerting his competence and poli...

      Cheongsong(聽訟) was an important part of the political domain of Suryong(守令) in the sense that resolving and mediating conflict is equivalent to politics. Suryong(守令) was able to establish political order by exerting his competence and political power in the process of moderating the conflict and resolving the dissatisfaction of the people. The source material that allows us to identify the competence and political power of Suryong(守令) is court sentencing records(題辭).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political conceptions of Suryong which appear in Mongmin'go and Son’gak, among the Cheongsong principles and court sentencing records provided by Mongminso(牧民書)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government-public conflict and the Yangban-public conflic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political work of Suryong(守令).
      These two books handled the government-people conflict in a similar way. Gwan-sok(the government workers of Hyangri and Gwan-a), as an executive of Suryong(守令), was in active contact with the public. It was advised that Gwan-sok’s corruption be judged strictly, given that it directly influenced the people and negatively affected the Suryong administration. Through this, Suryong(守令) tried to control Gwan-sok and gain public support.
      On the contrary, the two books differed in the way they handled the conflict between the Yangban and the public. The Yangban-public conflict can be divided into a challenge of the social order and tyranny. Mongmin’go grasped the other side of the case and noted who was harmed by the situation without predicting the conclusion with respect to rank. In addition, Mongmin’go also presented a way to deal with Hyangjeon and the appearance of the Yangban members, putting a restraint on the luxurious groups and claiming to protect the people. Through this, Mongmin'go pursued the policy of “suppressing the strong and assisting the weak(抑强副弱)”, which is the nation's public policy, considering the trends and positions of local residents in Hyangchon.
      Amidst the conflict between the Yangban and the public, Son’gak focused on the public’s disruption of the social order and punished the people’s challenge of the social order, even if the reason for the conflict was the corruption of the Yangban. After that, Son’gak ordered the punishment of the Yangban according to the gravity of the offense. In particular, among the various conflicts in Hyangchon society, Son’gak paid attention to the incidents of edification. Son’gak sought to stabilize the Hyanchon order by acting in accordance with people's classes and positions. Son’gak sought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Yangban society in order to build community cooperation.
      The representative Mongminso(牧民書) of the late Joseon Dynasty, mongmin'go and son'gak contains the principle of the judgment and the contents of the court sentencing records(題辭) which were written in accordance with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 direction of governance. Through this we can identify the conception of Suryong poli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걸, "「民狀」을 통해 본 19세기 전반 향촌 사회문제" 23 : 1990

      2 "論語"

      3 홍해뜸, "조선후기 수령의 향촌통치와 관민소통책 -18세기 목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49) : 123-159, 2015

      4 심재우, "조선후기 소송을 통해 본 법과 사회" 동양사학회 (123) : 87-119, 2013

      5 김선경,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조선시대사학회 (52) : 157-196, 2010

      6 심재우, "조선후기 국가권력과 범죄통제 : 『심리록』 연구" 태학사 2009

      7 심재우, "조선후기 牧民書의 편찬과 守令의 刑政運營"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1) : 83-102, 1998

      8 김호, "조선후기 ‘위핍률(威逼律)’의 적용과 다산 정약용의 대민관(對民觀)" 한국역사연구회 (87) : 541-575, 2013

      9 김명화, "조선시대 수령의 소송지침서 『詞訟類聚』의 편찬과 활용" 한국서지학회 (66) : 333-366, 2016

      10 박철상, "조선시대 詞訟法書의 編刊과 傳承"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54 (54): 235-290, 2018

      1 김인걸, "「民狀」을 통해 본 19세기 전반 향촌 사회문제" 23 : 1990

      2 "論語"

      3 홍해뜸, "조선후기 수령의 향촌통치와 관민소통책 -18세기 목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49) : 123-159, 2015

      4 심재우, "조선후기 소송을 통해 본 법과 사회" 동양사학회 (123) : 87-119, 2013

      5 김선경,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조선시대사학회 (52) : 157-196, 2010

      6 심재우, "조선후기 국가권력과 범죄통제 : 『심리록』 연구" 태학사 2009

      7 심재우, "조선후기 牧民書의 편찬과 守令의 刑政運營"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1) : 83-102, 1998

      8 김호, "조선후기 ‘위핍률(威逼律)’의 적용과 다산 정약용의 대민관(對民觀)" 한국역사연구회 (87) : 541-575, 2013

      9 김명화, "조선시대 수령의 소송지침서 『詞訟類聚』의 편찬과 활용" 한국서지학회 (66) : 333-366, 2016

      10 박철상, "조선시대 詞訟法書의 編刊과 傳承"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54 (54): 235-290, 2018

      11 심재우, "조선 후기 충청도 연기지역의 민장과 갈등 양상 1858년 『사송록(詞訟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7 (37): 8-37, 2014

      12 조윤선, "조선 후기 소송 연구" 국학자료원 2002

      13 백민정, "정약용의 형법사상에 반영된 德과 禮治의 문제의식 -『欽欽新書』 연구사의 분석 및 문제제기-" 한국실학학회 (28) : 269-325, 2014

      14 김호, "연암 박지원의 刑政論 - 주자학 교화론의 更新 -" 한국법사학회 (54) : 91-124, 2016

      15 김경숙, "안정복의 民願政策과 官民疏通" 한국고문서학회 43 : 157-179, 2013

      16 백승철, "신편 목민고" 혜안출판사 2014

      17 정호훈, "선각" 혜안 2013

      18 김용흠, "목민고・목민대방" 혜안 2012

      19 "續大典"

      20 "正祖實錄"

      21 內藤吉之助, "朝鮮民政資料-牧民編" 京城 1942

      22 김선경, "朝鮮民政資料叢書" 驪江出版社 1986

      23 노혜경, "朝鮮後期 守令 行政의 實際" 혜안 2006

      24 조윤선, "『續大典』 刑典 「聽理」條」와 民의 法意識" 88 : 1995

      25 백민정, "『欽欽新書』에 반영된 茶山의 유교적 재판 원칙과 규범 ― 「經史要義」의 法理 해석 근거와 의미 재검토" 대동문화연구원 (99) : 375-418, 2017

      26 임상혁, "『大典詞訟類聚와 朝鮮前期의 法倫理" 18 : 2000

      27 김선경, "‘민장치부책’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재판제도" 1 : 1992

      28 정호훈, "18세기 목민서牧民書의 발달 양상과 『목민심서牧民心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8) : 19-63, 2016

      29 김용흠, "18세기 ‘牧民書’와 지방통치 - 『牧民攷』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회 (35) : 129-172, 2010

      30 김선경, "17-18세기 산림천택 절수에 관한 정책의 추이와 성격" 15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82 1.92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