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형중, "핵문제 해결과정에서 남북관계 및 북한 경제지원 시나리오" 2003
2 조순구, "핵무기 해체사례와 북한 핵의 평화적 관리방안"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195-218, 2005
3 이상현, "제3세계 국가들의 핵정책 사례연구 : 인도-파키스탄 및 브라질-아르헨티나사례를 중심으로" 04-05, 2004.8
4 이철기, "비핵무기국가에 대한 ‘소극적 안보보장( NSA )’의 내용과 강화방안" 41집 (41집): 141-169, 2001
5 정영태, "북한의 핵 폐기 가능성과 북미관계" 2004.12
6 신진, "북한의 핵 개발에 대비한 한국의 원자력 정책" 12 (12): 431-458, 2004
7 김태우, "북한 핵문제 종합적 대처방안" 2003.10
8 김영호, "부시독트린의 의미와 한계" 26집 (26집): 449-473, 2005
9 이호령, "미국-인도 핵협정과 비확산체제의 한계" (1104) : 2006.6.19
10 홍규덕,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과 우리의 정책방향" 34집 : 93-131, 2003.12
1 박형중, "핵문제 해결과정에서 남북관계 및 북한 경제지원 시나리오" 2003
2 조순구, "핵무기 해체사례와 북한 핵의 평화적 관리방안"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195-218, 2005
3 이상현, "제3세계 국가들의 핵정책 사례연구 : 인도-파키스탄 및 브라질-아르헨티나사례를 중심으로" 04-05, 2004.8
4 이철기, "비핵무기국가에 대한 ‘소극적 안보보장( NSA )’의 내용과 강화방안" 41집 (41집): 141-169, 2001
5 정영태, "북한의 핵 폐기 가능성과 북미관계" 2004.12
6 신진, "북한의 핵 개발에 대비한 한국의 원자력 정책" 12 (12): 431-458, 2004
7 김태우, "북한 핵문제 종합적 대처방안" 2003.10
8 김영호, "부시독트린의 의미와 한계" 26집 (26집): 449-473, 2005
9 이호령, "미국-인도 핵협정과 비확산체제의 한계" (1104) : 2006.6.19
10 홍규덕,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과 우리의 정책방향" 34집 : 93-131, 2003.12
11 미국 합참, "대량살상무기 대응을 위한 합동교리" 2004.7
12 이종선, "“핵우산 개념의 변화 및 요인" 149-163, 1994년
13 "“남북합의 남들은 어떻게 보나 미 핵우산 제거문제가 사찰수용의관건" 30 : 33-37, 1992년
14 Eric A. Croddy, "Weapons of Mass Destruction : Vol. II" SantaBarbara, CA : ABC-CLIO 2005
15 Sharon Squassoni,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PSI)" 2006
16 Sarah J. Diehl, "Nuclear Weapons and Nonproliferation" Santa Babara,CA : ABC-CLIO 2002
17 윤정원, "Nuclear Nonproliferation : The Limitations of a Supply-sideStrategy" 51집 : 371-398, 1996.12
18 John C. Caker, "Non-Proliferation Incentives for Russia and Ukraine" London : IISS 309 : 1997
19 Bruce W. Bennett, "Initiatives and Challenges inConsequence Management after a WMD Attack" Maxwell Air ForceBase, Ala : USAF Counterproliferation Center 2004
20 Washington 27 September, "Deparment of State “Excerpts from a speech from President Bush" 146-152, 1991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