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학적 관습을 통해서 본 「경설(鏡說)」의 주제고 -교육 현장의 논의를 아울러- = The Themes of“Gyeongseol(鏡說)”in Relation with Literary Conven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09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이규보의 鏡說에 나타난 거울의 주제를 재고해 본 결과물이다. 그간 교과서와 70-80년대 학계에서는 경설의 주제를 ①사물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 ②남의 허물을 덮고 살아가는 德의 ...

      본고는 이규보의 鏡說에 나타난 거울의 주제를 재고해 본 결과물이다. 그간 교과서와 70-80년대 학계에서는 경설의 주제를 ①사물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 ②남의 허물을 덮고 살아가는 德의 태도로 보고 있었다. 그러나 ①의 주제는 오로지 거사가 흐린 거울 속에서 맑은 모습을 보고 있다는 하나의 상황에만 근거해 도출된 것이므로 다른 話素들과 유기적인 해석을 이룰 수 없다는 결점 이 있었다. 이에 비해 ②번 주제는 많은 話素와 유연하게 이어지기에 보다 진전된 풀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역시 한계가 없지는 않았다. 이후 90년대와 2000년대 이후의 연구에서 ‘흐린 거울’은 ‘날카로운 비판을 숨기고 살아가는 존재’로 파악되었다. 이 해석은 한 걸음 더 구체적으로 추정 되어 ‘거울은 문학의 비유’일 것이라는 데까지 나아갔다. 본고는 ‘흐린 거울’이 ‘날카로운 비판을 숨기고 살아가는 존재’가 합리적인 해석이라 보면서도 ‘거울을 문학’으로 보는 것에는 부정적인 입장에 서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다분히 근대적 관념이며 동시에 어떤 문헌으로도 증명되지 못하는 상태의 가설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규보의 ‘說’을 비롯한 여타의 說에 정치적인 요소가 흔하게 들어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우선 경설의 ‘거울’을 ‘신하’의 비유로 가정하였다. ‘맑 은 거울’은 ‘直言하는 신하’, 흐린 거울은 ‘마음을 감추고 흐리멍덩하게 생활하는 신하’로 본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문증하기 위해 이규보가 신하를 거울에 비유하는 표현 방식을 愛好한 이였음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것이 당대 의 문학적 관습으로 활용되는 정황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러한 비유는 당의 태 종이 신뢰했던 위징이란 인물의 고사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혔다. 결국 경설은 이규보가 자신이 아직 의로운 군주를 만나지 못해 거울처럼 맑은 간언을 하지 못하던 시절에 지은 자기 抗辯的의도를 담은 작품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investigates the themes of “Gyeongseol” 鏡說by Yi Gyubo 李奎報. Scholars have considered the theme of “Gyeongseol” as “the keen insight” or “the tolerance of others’ mistake.” However, the former interpretation was ...

      This paper reinvestigates the themes of “Gyeongseol” 鏡說by Yi Gyubo 李奎報. Scholars have considered the theme of “Gyeongseol” as “the keen insight” or “the tolerance of others’ mistake.” However, the former interpretation was drawn from the only one motif of the narrative, that is the monk’s clear image reflected in the dull mirror. Meanwhile, the latter interpretation corresponds to more motives of the narrative, but it also contained limitations. Since the 1990s, scholars argued that “the dull mirror” indicates a person who disguises his sharp criticism and maintains his reclusive life. Some of them also inferred that the mirror is the metaphor of the literature. However, such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dull mirror” as the literature lacks concrete evidence even though the dull mirror possibly indicates a recluse hiding his criticism.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mirror in “Gyeongseol” is the metaphor of subjects. “The clear mirror” represents subjects of forthright opinions, while “the dull mirror” is compared to the subjects who behave generously but hide their real intentions. This assumption is based on the two facts: one is that the seol 說genre often contains political content, and the other is that Yi Gyubo and his contemporary writers frequently used the metaphor of mirror to imply the king’s subjects. The metaphor of mirror originated in the story of Wijing, who gained the full trust of the King Taejong of the Dang Dynasty. In conclusion, "Gyeongseol" is inferred as a work that Yi Gyubo composed to defend his stance when he was yet to be appointed by a righteous king and could not remonstrate with the king as straightforwardly as a clear mirro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