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東文選』문체 분류의 성격 =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of Dongmoons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562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체 분류 자료들을 연구함에 있어서, 각각의 자료들이 지니고 있는 분류기준과 방법, 성격 등이 정확하게 제시되어야만 각 자료가 지닌 문체 분류 개성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

      문체 분류 자료들을 연구함에 있어서, 각각의 자료들이 지니고 있는 분류기준과 방법, 성격 등이 정확하게 제시되어야만 각 자료가 지닌 문체 분류 개성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당연히 논의되었어야 했음에도 지금까지 한번도 본격적으로 논의된 적이 없는 『동문선』이 지니고 있는 문체 분류기준과 방식 그리고 그러한 기준과 방법으로 형성된 『동문선』문체 분류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동문선』은 문학의 형식을 분류기준으로 삼고 있다. 문장을 분류함에 있어서 먼저 辭賦·詩·文의 문장 형식을 대상으로 하여 治敎에 도움이 되는 내용들을 지닌 문장들을 모아 형식 분류하였다. 文類들을 나열하는 순서에 있어서도 辭賦→詩→騈體의 奏議類→散文體의 文類→有韻文인 儒彿道의 哀祭類와 같이 형식별로 나열하여 형식 분류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보여 주고 있다.
      다음으로 『동문선』은 文類를 제시하고 그 아래에 직접 문장을 제시하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選文層次 분류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문체론이나 子目분류 없이 문장을 선집하여 직접 제시하는 선문층차 분류 방식은 詩文의 형식적 다양성을 문체론이나 자목의 제시 없이 선문된 문장으로 직접 보여주는 것이다. 『동문선』 편찬자들은 바로 이러한 선문층차 분류방식을 이용하여 중세 한문학의 다양한 형식적 모습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동문선』은 騈文과 散文의 문류들을 균등하면서도 전체적으로 포괄하여 騈散兼宗의 문체 분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동문선』이 문체 분류 대상으로 삼고 있는 문류들을 살펴보면 "詔勅→敎書→制誥→冊→批答→表箋→啓→狀→露布→檄書→箴→銘→頌→贊→奏議→箚子→文→書→記→序→說→論→傳→跋→致語→辨→對→志→原→牒→議→雜著→策題→上梁文→祭文→祝文→疏→道場文→齋詞→靑詞→哀詞→뢰→行狀→碑銘→墓誌"와 같이 분류되어 나타나고 있다. 詔勅에서 箚子까지는 四六의 騈文인 奏議類 문장이고, 文에서 策題까지는 文藝文으로서 산문의 형식을 가진 문류이고, 上梁文에서 墓誌까지는 의례에 사용되는 有韻文의 형식을 가진 문장들이다. 이렇게 『동문선』은 騈文문류와 散文문류 그리고 有韻文문류를 모두 포함하는 병산겸종의 성격을 나타낸다.
      이상의 논의 결과로 『동문선』이 『문선』의 체계를 본받았다는 평가는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시문선집들이 지니는 분류기준과 자료형태라는 보편성의 측면에서는 동질성을 가지고 있으나, 개개의 시문선집이 자료로서 지녀야 하는 개성적인 측면 즉 문체 분류 방식과 그 성격에 있어서는 『문선』과는 선명한 차별성을 지닌 개성적 문체 분류 자료라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tudying the material for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the features of the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of each work would be shown only when the standard and method of classification, specific character, and so on should be precisely sugg...

      In studying the material for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the features of the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of each work would be shown only when the standard and method of classification, specific character, and so on should be precisely suggested. Therefore,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of Dongmoonseon which have not genuinely been discussed once so far even though they should have been done.
      First of all, Dongmoonseon used a form of literature as classification standard. On classifying the sentences, they were classified after collecting the useful sentences to teach people, having the forms of writings such as Sabu, poetry, and prose as subject. According to the order arranged the kinds of sentences, it shows the clear position to classification based on form by placing them in accordance with the forms like Sabu -->poetry -->Joouiryoo of Byeonche -->sentences in prose -->Aejeryoo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r Yoowoonmoon.
      Next, Dongmoonseon takes the simplest way of classification which shows the type of sentence and presents the sentence below it directly. The way of classification like this shows the formal variety of poetry and prose with the anthologized sentences straightly without presenting stylistics or Jamok. The compilers of Dongmoonseon tries to systematically show a variety of form of Korean literatures during the medieval times by using this way of classification.
      In conclusion, Dongmoonseon is characteristic of classification by literary style like Byeonsangyeomjong, which equally and generally includes all the types of sentences such as Byeonmoon, prose, and Yoounmo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序論
      • 2. 形式主義基準
      • 3. 選文層次方式
      • 4. 騈散兼宗特性
      • 5. 結論
      • 1. 序論
      • 2. 形式主義基準
      • 3. 選文層次方式
      • 4. 騈散兼宗特性
      • 5. 結論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