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통부문 공공요금인 고속도로 통행료의 할인제도 중 하나인 화물차 심야할인제도의 정책효과 분석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 모색을 주요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지난 2000년에 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04182
서울 : 고려대학교, 2018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 공공정책전공 , 2018
2018
한국어
350.1 판사항(6)
352.3 판사항(23)
서울
99 p. : 도표 ; 26 cm
지도교수: 김상봉
참고문헌: p. 93-9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통부문 공공요금인 고속도로 통행료의 할인제도 중 하나인 화물차 심야할인제도의 정책효과 분석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 모색을 주요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지난 2000년에 도...
본 연구는 교통부문 공공요금인 고속도로 통행료의 할인제도 중 하나인 화물차 심야할인제도의 정책효과 분석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 모색을 주요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지난 2000년에 도입된 화물차 통행료 심야할인제도는 통행료 할인을 통한 화물차 물류비 절감과 주간시간대 교통량의 야간시간대 분산을 주요 정책목표로 하여 대형화물차를 대상으로 심야시간대(21시∼06시) 운행비율에 따라 통행료를 20%·30%·50% 할인해 주는 제도이다. 그러나 할인대상을 심야시간대로 한정함에 따라 물류비 절감 효과가 제한적이며, 교통량 분산효과도 미흡한 것에 반해 일부 영세한 화물차 운전자로 하여금 야간시간대 운행을 유도하여 졸음운전 교통사고 발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회적 문제제기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문제제기에 의거하여 본 연구는 할인제도 도입 이후 화물차 통행료 할인금액 변화, 주·야간 교통량 변화 및 교통사고 발생에 관한 데이터 분석과 정책수요자인 화물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심야할인제도의 정책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당초 정책목표인 통행료 절감효과 및 교통량 분산효과가 단기간에 그치거나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영세한 화물차 운전자의 지원과 물류비 절감을 확대하고 운전자의 생명권을 보호해 줄 수 있는 화물차 통행료 할인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현행 심야시간대로 한정한 할인대상을 주·야간 전일(全日)로 확대하고 주·야간 할인율을 조정하여 할인혜택을 강화하면서도 할인금액의 증가에 따른 정부와 공공기관의 재정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